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10/25 23:20:39
Name Leeka
File #1 c9981f969f1a734249a52ea851d064af.jpeg (110.3 KB), Download : 56
Subject [LOL] 역대 월즈 우승 선수들의 만 나이 + 담원/수닝 선수들 나이 (수정됨)



- 만 23세를 넘겨서 우승한건 15 마린 / 17 앰비션이 전부입니다..
어찌보면 마린하고 앰비션이 그 뒤에 폼이 급격히 내려간것도 나이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였을수도.. 


- 담원 
너구리 (21) / 캐니언 (19) / 쇼메이커 (20) / 고스트 (21) / 베릴 (23)

- 수닝
빈 (18) / 소프엠 (22) / 엔젤 ( ) / 후안펭 (19) / 소드아트 (23)


양팀 모두 23세 초과는 없습니다. 


슬프지만 현재까지 롤판은 '세계 최고레벨' 폼은 23세 이상에선 거의 안나온다고 봐야.... 


특히 원딜은 '22세부터' 우승한 사례가 없습니다........ 어우야..



+@ 월즈는 '만 17세 이상' 만 참가 가능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폰로니에
20/10/25 23:21
수정 아이콘
이야 벵기가 진짜 눈에 띄네요
신불해
20/10/25 23:23
수정 아이콘
카사도 참 롤판에서 이렇게까지 오랜 시간 동안 상위 티어 유지 중인 정글러가 없다 싶어서 나름 한번쯤 월즈 들길 기대하고는 있었는데, 참 아쉽긴 하네요. 정말 호감인 친구인데. 이 선수도 내년이면 이제 노장 소리 들을 나이인데
아름다운
20/10/25 23:41
수정 아이콘
끝나고 소드아트랑 포옹 후 눈물 흘리는 거 보고 짠했습니다. 앞으로 또 오기 힘든 기회일텐데..
20/10/26 00:07
수정 아이콘
클럽 피넛 스코어 정도 생각나네요 그중에 그나마 커리어 챙긴건 클럽 피넛 정도려나요 정글은 잘해봤자 팀빨 같기도 합니다
FRONTIER SETTER
20/10/25 23:26
수정 아이콘
고스트는 CJ 시절부터 봐왔는데 아직도 되게 어리네요. 어린 나이에 재능으로 주목 받고 인기 팀에 데뷔했다가 나락으로 떨어지면 다시 일어서기 쉽지 않을 텐데 대단합니다.
라쿤맨
20/10/25 23:29
수정 아이콘
고스트랑 비디디랑 둘다 나이가 안 되어서 못 나오고 CJ에서 연습생 생활을 꽤 오래 했습니다.
그래서 둘다 경력은 꽤 긴데 아직 나이는 어리구요.
지금 클로저랑 구마유시랑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스덕선생
20/10/25 23:31
수정 아이콘
반대로 베릴은 신성같은 느낌인데 오히려 노장(?)축이네요.
20/10/26 11:58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베릴 나이 알고는 깜짝 놀랐었네요 막내라인인줄 알았습니다 ;;
이미지만 보면 고스트랑 베릴이랑 나이가 바뀐거 같아요.
예킨야
20/10/25 23:28
수정 아이콘
소프엠 (22, 9년차)
크림커피
20/10/25 23:33
수정 아이콘
소프엠은 나이보면 재능과 실력에 비해 너무 늦게 빛을 보는 느낌도 있네요 크크
엘롯기
20/10/25 23:35
수정 아이콘
엠비션 대단하네
wersdfhr
20/10/25 23:36
수정 아이콘
스타 개인리그도 23세 이상 우승자 거의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 신기하네요
피지알러
20/10/25 2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롤드컵 우승하려면 23세가 마지노선이라고 봅니다. 그 이상은 정말 자기 관리가 뛰어난 경우라 생각해요.

선수들 저평가라 생각되는 부분은 자삭합니다. 죄송합니다.
기사왕
20/10/25 23:54
수정 아이콘
그거랑은 딱히 상관이 없었다고 봅니다. 그 당시 마린은 그냥 롤잘잘 느낌이어서 피오라 다리 이런 거 잡고 그냥 피지컬부터 오진다는 느낌이어서...그거보단 차라리 정글이 보살이었던 벵기여서가 아니었을까요 크크크
20/10/26 00:21
수정 아이콘
앰비션이 보조정글러는 뭔 말이에요? 결승전 1깃 2창 안보셨어요?
조미운
20/10/26 00:31
수정 아이콘
누구는 룰러의 팀이라고 하지만, 17 삼성은 엠비션의 팀이었다고 봅니다. 보조 정글러라뇨...
마린은 불가사의할 정도로 15시즌에 그냥 다 잘했습니다. 탱커부터 칼챔, 텔포 운영까지...

그냥 나이 고려하지 않고 봤을때, 엠비션/마린 둘 다 그 시기 최고의 경기력을 보여줬어요. 평가 절하할 필요는 없습니다.
트윈스
20/10/26 00:42
수정 아이콘
어디 다른곳가서 선수, 대회 평가 같은거 하시면 큰일날듯.....
사이퍼
20/10/26 00:47
수정 아이콘
완벽히 반대의 얘기만 하고 있어서 좀 황당하네요 크크크크
부질없는닉네임
20/10/26 01:07
수정 아이콘
일부러 이러시는 거 아닐까요? 거의 메시는 최고의 수비수였다 이런 얘기인데
사이퍼
20/10/26 01:29
수정 아이콘
엠비션 저평가도 이상하지만 그렇다 쳐도 마린은 당시 메타픽 피오라 숙련도 같은건 낮았지만 그냥 롤 실력으로 찍어눌렀고 남들 사이드 픽 쓸때 홀로 럼블로 불지져서 캐리한 분인데 운 좋게 메타빨을 탔다니..
오늘하루맑음
20/10/26 07:18
수정 아이콘
그때 부여받은 옵션 순서로 가자미 롤이 누구였냐 하면 크라운이 맞을건데요.
다니 세바요스
20/10/26 08:03
수정 아이콘
잉.. 앰비션이 보조 정글러 였다뇨 크크 핵심 중에 핵심이었는데..
피지알러
20/10/26 13:16
수정 아이콘
물론 나이에 못지 않게 엄청 잘한 것은 인정합니다. 자신들의 시그니처 픽으로 분명히 캐리한 장면도 있고 이름을 날린 것도 맞죠.
저 두 사람을 평가절하 하려는게 아니라 정말 특출난 경우이고 대부분 23세 이하가 우승컵 나이의 마지노선이라는 뜻이었습니다.
20/10/25 23:37
수정 아이콘
베릴이 생각보다 나이가 있네요
이십사연벙
20/10/25 23:41
수정 아이콘
다른스포츠는 신체를 단련한다면 이스포츠는 신체를 소비하는 느낌이죠
아우어케이팝_Chris
20/10/25 23:41
수정 아이콘
사실 팀 구성에서 나이를 신경 쓰는 건 유독 LCK 뿐이긴 한데.. (쑤닝이 젊은 건 젊은 팀을 추구해서라기 보다 어쩌다 보니 그런 팀이 잘 된거에 가깝죠.) 그럼에도 워낙 빨리 게임이 바뀌다 보니 쌓이는 경험보다는 유연함이 더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추가로 우지나 데프트를 보면 건강관리 이슈도 큰거 같아요. 울프, 폰 처럼 정신건강 이슈도 있고요. 그런 의미에서 기량이야 의견이 갈리지만 일단 건강해보이는 페이커가 프로 의식이 대단한 거 같습니다.
Locked_In
20/10/25 23:55
수정 아이콘
고스트 우승가즈아
20/10/25 23:56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 생활 자체가 몸을 망가뜨리기 딱 좋아서 롱런하려면 운동으로 관리를 해주는게 필수일거 같습니다.
아이폰텐
20/10/25 23:56
수정 아이콘
전 뭐 25살까진 상관없다고 보는편인데 원딜은 좀 느낌이 다르긴해요. 확실히 원딜은 21살도 많아보임 크크
20/10/25 23:58
수정 아이콘
집중력 유지를 위한 운동 같은 노력으로도 커버가 안되는 뭔가 있긴한가보네요.
20/10/26 00:05
수정 아이콘
부상 아니면 나이가 크게 중요하진 않다고 보는데 롤판 길어지면 더 나이 많은 우승자도 나올거 같습니다
20/10/26 00:16
수정 아이콘
전부터 롤판 에이징커브는 25살이고 그래서 올해 페이커 선수가 꼭 월즈 나가서 우승하길 바랐던건데.. 내년이 정말 마지막이라 생각드네요
20/10/26 00:22
수정 아이콘
전 일반적인 메타라면 원딜만큼 미드도 나이가 중요하다고 보는데 그런 면에서 루키의 괴력이 언제까지 갈지 궁금하네요.
더치커피
20/10/26 00:57
수정 아이콘
이미 루키도 정점에서는 조금 내려왔죠
헤나투
20/10/26 01:08
수정 아이콘
루키도 기복이 상당히 심해졌습니다
정점을 찍고 내려오고있다는게 확 체감이 되요
나는너의환희
20/10/26 00:24
수정 아이콘
다른건 다 통계 범위 안인데 15마린이 거의 아웃라이어급이네요
미드 원딜정도는 아니지만 나이 영향 잘 받는 탑이란 포지션에서 듀크 김군 같이 희생 포지션이 아니라 15skt에서 1~2옵션으로 상대 선수 다 잡아먹고 스물넷에 역대급 탑으로 남은게 정말 대단한듯
김근성1
20/10/26 00:24
수정 아이콘
마린이 정말 대단하네요 저나이에 캐리롤로 mvp따면서 우승까지 했으니..
20/10/26 00:29
수정 아이콘
푸만두는 카오스시절부터 선수생활했던거로 기억하는데 그때 나이 속였었나요? 엄청 젊었었네요 몸이 안좋아서 은퇴한다길래 당연히 나이많은줄..
20/10/26 01:21
수정 아이콘
선수라고 해봐야 나이제한 있던 시절도 아니라서
찾아보니 ccb3가 2009년이니 18살이었네요
승률대폭상승!
20/10/26 00:31
수정 아이콘
소드아트 시즌3 롤드컵도 나왔으면서 베릴이랑 나이가 같네 크크
올해는다르다
20/10/26 01:15
수정 아이콘
다른 종목중에 이렇게 조로하는 종목은 대부분 유연성이 필요한 쪽이던데..
반응속도와 협응력이 생명인 야구 배드민턴 테니스 이런 계열은 이정도로 에이징커브가 극심하지는 않고요.
20/10/26 01:23
수정 아이콘
바둑이 그나마 비슷하지 않나 싶네요 일반 스포츠중에는 체조가 피겨같은 종류가 더 빨라보이긴 합니다 이건 뭐 몸이 성장 다 안한게 유리한 면도 있고하니..
20/10/26 01:25
수정 아이콘
저만의 뇌피셜인데 해마다 새게임을 만드는게 크지않나 생각합니다
던짐과 슈퍼플레이가 한끝차이인 게임인데
패치두세번 지나면 슈퍼플레이 각이 슈퍼초던짐 각으로 바뀌는게 허다해서
안철수
20/10/26 01:19
수정 아이콘
나이속인 중학생 데뷔하면 엄청날지도...
manbolot
20/10/26 01: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웃긴거는 반응속도 더 중요한 csgo에는 20대 중반 프로들도 꽤 있습니다 상위권팀에
device s1mple niko 모두 24세를 향하는 시즌이고 뭐 여전히 최상위권
guardian은 30대를 바라봄에도 작년에 top10이었는데요 뭐
나는너의환희
20/10/26 02:19
수정 아이콘
그냥 뇌피셜이지만 같은 이스포츠 내에서도 차이가 있는게

나이가 들수록 뇌가 외부 자극에 대응해서 판단-운동 명령-처리가 잘 안되는데, 이런 과정을 두뇌회전이라고 표현했을 때 판단-운동 명령 부분이 단순하고 직관적인 게임일수록 에이징 커브가 늦고, 그렇지 못할 수록 빠르지 않을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manbolot
20/10/26 02:42
수정 아이콘
가장 피지컬에 직관적인 e스포츠라 보통 23세에 절정기라고 본다면 lol판은 결국 몸 관리 문제라 봅니다

그냥 lol판 프로들 생활보면 관리가 되는게 이상한거기는 해요
큐브큐브
20/10/26 10:25
수정 아이콘
그건 겜잘잘들이 롤로 유입되서 그런거라고 봅니다.
시장이 제일크니까요.
스타에서 아직도 이영호가 우승하는건 에이징 커브를 극복한게 아니라 게임유망주가 유입이 안되서 그런거죠.
manbolot
20/10/26 10:37
수정 아이콘
csgo가 유입이 없는 스포츠가 아니라서요
오히려 신인들 나오는거보면 lol은 고인물 수준입니다
큐브큐브
20/10/26 12:54
수정 아이콘
유입의 양보다 유입의 질이 중요한거죠.
게임 잘하는애는 무슨게임을 해도 잘합니다.
돈이 제일 큰 시장에 재능충들이 쏠리니까요.
manbolot
20/10/26 13:11
수정 아이콘
카스씬이 시장이 lol과 비교하여 작은 규모는 아닙니다
동양 제외하면 큰 차이없고 애초에 주류 선수들도 대부분 유럽이여서요

fps에서 1티어들만 있는곳이라 뭐 질은 더 좋을수도요
블레싱
20/10/26 01:24
수정 아이콘
제가 평범한 회사원인데도 30대부터 손목 어깨 허리가 아픈걸 생각하면 4~5년만 해도 고질적인 문제가 생길것도 같네요
말랑요괴
20/10/26 01:35
수정 아이콘
바둑선수들이랑 에이징 커브 비슷한거보면 피지컬보다 뇌지컬이 더 영향이 클지도
플리트비체
20/10/26 02:00
수정 아이콘
얼마전 루키도 객원해설로 나와서 쑤닝선수들의 젊음을 부러워하는 듯한 멘트를 하더군요. 경쟁이 심화될수록 결국 피지컬이 결정하나봅니다. 내년 롤드컵은 무명의 10대들만 출전할 수도 있겠네요
미카엘
20/10/26 02:25
수정 아이콘
폰 페이커 잭가 // 엠비션 대단하군요
일이사사이
20/10/26 02:43
수정 아이콘
베릴이 의외로 나이가 많네요
20/10/26 03:18
수정 아이콘
저는 이걸 피지컬 하락으로 인한 결과라고 봐야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로지컬+멘탈에서의 소모적 측면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걸 다스릴 수 있다면 25세 이후에 트로피 드는 것도 전혀 이상할게 없다고 봐요.
천혜향
20/10/26 03:50
수정 아이콘
전 나이든 선수들은 논타겟챔프보다 타겟챔프를 주력으로 연습해서 선수연장을 할수있다고는 보는데..
만약에 그해 시즌이 논타겟챔프가 0티어로 올라가는순간 은퇴각 잡히는거 같아요.
벌점받는사람바보
20/10/26 06:23
수정 아이콘
바둑이랑 거의 같아서 신기하네요
20/10/26 07:21
수정 아이콘
앰비션은 cj때 진짜 너무 고생해서 삼성가서 롤드컵 우승은 못할줄 알았는데 저 나이에 우승한거보면 정글러로써 피지컬 챔프폭이 미세하게 부족한걸 뇌지컬로 메꾼게 엄청난거 같네요
오늘하루맑음
20/10/26 07:24
수정 아이콘
마린이나 앰비션이나 저 이후에는 거의 폭락을 경험했으니 저 나이대가 현재로선 마지노선이라고 봐야...
오늘하루맑음
20/10/26 07:24
수정 아이콘
웨이트를 자주 하면서 대성한 친구가 그렇게 없어서 에이징 커브는 더 지켜봐야하긴 하죠

우리나라에 트할도 사실상 은퇴수순이고 브록사도 좀 커리어가 낮아진 느낌이라...
handrake
20/10/26 08:02
수정 아이콘
두뇌스포츠인 바둑도 속기바둑일수록 나이든 기사가 힘들어집니다.
제한시간이 여유있는 장고바둑은 나이들어도 버틸만 한데, 30~40초내에 수십가지의 수를 읽어야 하는 속기바둑은 나이들수록 실수가 많아지더군요.
아무래도 빠른 두뇌회전은 10대후반~20대초반이 정점으로 보입니다.
다니 세바요스
20/10/26 08:16
수정 아이콘
와 이거 보니까 원딜은 진짜..
20/10/26 11:07
수정 아이콘
나이와 실력은 분명한 관계가 있습니다.
반응속도나 집중력에서 어린 친구들 못따라가요.
롤드컵 우승 원딜러들 나이를 보니 더 체감되네요.
게임단들이 연습생 받을때 나이제한을 괜히 두는게 아니죠.
StayAway
20/10/26 11:25
수정 아이콘
다른 포지션은 크게 상관없어 보이는데 원딜이 문제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830 [LOL] 드디어 마지막 한 조각이 모였습니다. [22] 먹설턴트14369 20/11/01 14369 1
69829 [LOL] 롤드컵 끝났지만 의문이 든 LPL 경기 [34] TranceDJ13837 20/11/01 13837 1
69828 [기타] e스포츠 발생지는 미국 아이오와주 오텀와 [47] 삭제됨13700 20/11/01 13700 0
69827 [LOL] T1 감독 자리는 독이 든 성배일까요? [188] 삭제됨16192 20/11/01 16192 1
69826 [LOL] 어디어디 스타일을 따라가야하는게 맞을까요?? [95] 갓럭시13880 20/11/01 13880 4
69825 [LOL] 롤드컵 끝! 스토브리그 시작 [72] 스위치 메이커13755 20/11/01 13755 0
69824 [LOL] 롤드컵 우승은 리그의 수준과 관계없다고 생각합니다. [310] Pokemon19934 20/11/01 19934 1
69823 [LOL] 역시 LCK 에 프랜차이즈 라는건 [94] Initium13805 20/11/01 13805 3
69822 [LOL] 이번 롤드컵 소소한 감상과 바램들 [42] 삭제됨13567 20/11/01 13567 6
69821 [LOL] 15 SKT, 14 삼성, 18 IG...그리고 20 담원은 어떤 팀으로 기억될까요? [119] 삭제됨16825 20/11/01 16825 0
69820 [LOL] DWG vs SN 경기별 간단 소감 [16] Black Clouds13071 20/11/01 13071 0
69819 [LOL] 징동 옴므 윤성영 감독 FA [14] 신불해15293 20/11/01 15293 1
69818 [LOL] 롤드컵 결승 쑤닝 패배 인터뷰 번역 + 쑤닝 팬의 소감 [34] 삭제됨14968 20/11/01 14968 13
69817 [LOL] 롤드컵 결승 - 미디어 인터뷰 담원 전문 [23] 먹설턴트12935 20/11/01 12935 9
69816 [LOL] 담원 우승하는걸 보면서 든 생각 [49] 기도씨14924 20/11/01 14924 4
69815 [LOL] 중국 홈에서 우승했던 순간들.jpg [19] 반니스텔루이11607 20/11/01 11607 5
69814 [LOL] 2020시즌 세체포지션을 뽑아본다면? [258] 껌정16106 20/10/31 16106 1
69813 [LOL] 12~20 월즈로 보는 1~4부리그 [19] Leeka11527 20/10/31 11527 2
69812 [LOL] LOL은 잘하는 애들이 잘한다니깐? [21] 갓럭시11852 20/10/31 11852 1
69811 [LOL] 고스트 장용준 인간승리를 써내다. [111] TAEYEON15565 20/10/31 15565 73
69810 [LOL] LPL의 심장에서 쑤닝을 쏘다!!! [212] 스위치 메이커16767 20/10/31 16767 16
69808 [LOL] 담원의 결승을 응원합니다 [25] 황제의마린11684 20/10/31 11684 5
69807 [기타] [WOW] 클래식 낙스라마스 12/3 오픈 [43] 올해는다르다12135 20/10/31 1213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