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9/29 15:03:27
Name bspirity
Subject [기타] PC게임은 아재들이나 하는거
PC게임이 제일 편한 게이머 한명으로서
요즘은 게임을 즐기는 플랫폼이 굉장히 다양합니다.

PC, 콘솔, 모바일 3대장을 비롯
오락실, VR, AR, 그 외 체험형 게임을 비롯해서
최근에는 Xcloud나 스테비아, 지포스 나우같은 스트리밍 서비스까지 있네요.

코로나 때문에 한산해진 pc방이기도 하지만, 언젠가부터 pc방에서 초딩들을 본 기억이 없습니다.

예전에는 초등학교 방학을 하면 초글링의 역습이라면서 온갖 짤방이 돌아다녔는데 말이죠.
저만 하더라도 초등학교 3학년때 pc방 하던 친구네에 자주 갔고 놀토 후 pc방은 국룰이었죠.

심지어 예전 pc방은 담배냄새에 쩔어 있던 공간이라 부모님이 절대 못가게 했고, 아이들 역시 다 좋은데
그놈의 담배냄새만 없었으면 했어요.

근데 지금은 담배냄새 하나 없고, 먹을건 식당 수준이며 온갖 서비스가 넘쳐 흐릅니다. 근데 가격은 더 싸졌어요.

굳이 pc방에 가지 않고 집에서 한다?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등학생들한테 물어보면 딱히 컴퓨터로 게임을 하는 것 같진 않습니다.

폰으로 하면 했지 헤비한 pc게임은 하지 않더라고요. 여기서 헤비하단건 유/무료의 개념이 아니라 플레이타임과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 정도를 뜻합니다. 가볍게 카트라이더나 어몽어스를 하면 했지 구태여 집에 가고, pc를 켜고, 게임을 하진 않는단 말이죠.

날이 뜨거운 한 여름에도 굳이 pc방에 가기 보단 학교 앞 편의점에서 한개에 천오백원 하는 아이스크림을 사먹으면서 파라솔 아래에 앉아 모바일 게임을 합니다.

이미 아재가 버린 30대 입장에선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죠. 그 돈이면 에어컨 빵빵하고 훨씬 더 규모있는 pc게임을 하면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데, 뙤약볕 아래에서 좁디 좁은 액정이나 쳐다본다고?

저는 어몽어스를 하더라도 pc에서 스팀버전으로 하는게 더 편하고 카트를 하더라도 키보드로 하는게 더 편합니다. 모바일로는 불편하고 눈아파서 못하겠어요.

근데 요즘 애들은 그렇지 않나봅니다. 그래도 요새 고딩까진 pc방에 종종 보이는데 중학생부터 좀 안보입니다.

ps. 우리동네 초등학교에서 3품제라고 방학숙제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타자 200타 넘기기입니다. 일선 학교에서 원격학습에 필요한 기기로 태블릿을 크게 선호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아이들이 마우스에 익숙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휙휙 넘기는것에 더 익숙하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9/29 15:07
수정 아이콘
왜냐면 중고딩은 지금 피씨방에 못 가기 때문...

근데 예전 초딩보다 훨씬 더 PC방을 안 가는 건 사실인 듯 합니다. 물론 개중에서도 야스오 꼴픽하는 놈들은 남아 있지만...
스타본지7년
20/09/29 15:10
수정 아이콘
저때도 타자 200타 넘기기는 기억나네요. 초4때니까... 00년?인거 같은데, 가정통신문에 분당 타자 100타 넘는 애들 적어서 보내곤 했죠.(1주마다)
하심군
20/09/29 15:12
수정 아이콘
진짜 좀 심각해지자면 PC게임의 종말을 걱정해야 할정도인가 싶어요. 특히 AAA게임이 그런데 돈은 돈대로 들고 매출은 대충만든 모바일이 훨씬 잘내고 있고 그렇다고 장비가 싸냐면 그것도 아니고...전체적으로 기술비용의 거품을 꺼뜨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요. 개발비용도 개발비용인데 소비자용 컴퓨터가 지금까지중에 제일 비싼 것 같네요. 무슨 하이엔드가 4,500이 넘어가니...
스위치 메이커
20/09/29 15:16
수정 아이콘
대신 중급 컴퓨터는 어마어마하게 싸지지 않았나요? 100만원이면 옵타 FHD로 모든 게임 다돌리면서 + 어느정도의 그래픽 작업까지 가능한 컴이 나오는 걸요...

그리고 완전 하이엔드도 3080 넣고 생각하면 200대 후반 정도지 400~500까지는 잘 안 갑니다.
하심군
20/09/29 15:20
수정 아이콘
제동생이 2080ti하이엔드급인데 400나왔더라고요. 중급도 760시리즈 기준으로 80정도 잡았던걸로 기억하는데 요즘은 뭐 제대로 하려면 120~160정도 하는 것 같고...

그건 그렇고 의외로 3080이 열관리가 잘되는건지 수냉킷은 안넣어도 될 것 같긴 하더라고요. 그 정도는 위안 삼아야 되나 싶긴 합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9/29 15: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760 기준으로도 당시에 저 100은 넘겼던 것 같은데... 제꺼 당시 견적 보니 하드 떼고 95만원 나왔네요. 당시엔 SSD가 많이 비쌌군요...

사실 물가 상승 감안하면 14년 100만원이면 지금 120~140이라 저는 성능 감안하면 엄청 싸졌다고 봐요 진짜..

하이엔드급 글카 가격 올라가는 건 좀 무섭긴 합니다만...
20/09/29 15:21
수정 아이콘
퇴근하면 컴퓨터 키고 앉아 있는것조차 귀찮아 누워서 스위치나 모바일겜 하게 되더군요...
興盡悲來
20/09/29 15:29
수정 아이콘
저는 거꾸로 퇴근하면 핸드폰 들여다보기가 귀찮아서 컴퓨터 앞에 앉는....
ioi(아이오아이)
20/09/29 15:31
수정 아이콘
우리 세대가 TV를 없어도 되는 거 취급하듯
우리 아래 세대는 PC를 없어도 되는 거 취급하는 거죠
20/09/29 15:59
수정 아이콘
첫 접근과 편리성의 차이지 않을까..합니다.
아재가 된 저도 피시로 하는 게 더 좋지만 점점 안하게 됩니다.
각 잡고 한다는 게 피로한 나이가 된 건지 다른 더 편한 게임들을 알게 되서 그런지 모르겠지만요.
20/09/29 16:12
수정 아이콘
잘 공감이 안가네요 PC방에 중고딩들 많이 보이고 유입도 충분히 잘되고 있어보이는데
20/09/29 16: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아재들은 피곤해서 잘못해요. 초딩들은 피씨게임을 못해서 접근성 좋은 모바일 게임을 더 많이 하는 영향도 있을 거구요. 부모님이 게이밍 피씨는 안 사주셔도 스마트폰은 다 사주니까요. 피씨 스마트폰 게임의 경쟁에서 스마트폰이 이겼다기 보다는 더 쉽게 접할 수 있으니 자연스레 스마트폰 게임을 더 즐겨하게 되는 거 같습니다. 그런데 이 초딩들이 커서도 계속 모바일게임만 하게 될지는 아직은 모르겠네요. 아기 때부터 스마트폰을 접한 세대가 지금 초딩 세대가 시작인 거 같아서요.

피씨게임의 주 이용층은 중고딩/ 대학생 20대 정도인데 이건 아직은 과거와 크게 다르진 않은 거 같네요. 일정 파이를 모바일 게임이 가져간 건 맞습니다만. 콘솔은 몰라도 모바일은 아직 피씨 게임을 대체할 수 없는 거 같습니다. 재미를 느끼는 포인트가 달라요. 스트리밍도 결국 피씨 게임 기반이라 봐야 하고요. 당장 피씨 게임의 종말을 생각할 정도까진 아닌 거 같습니다. 미래에 재미면에서 피씨 게임을 대체할 수 있는 플랫폼이 나온다면 모르겠는데 그게 현재 화면 터치방식의 스마트폰 게임은 아닌 거 같습니다.
이호철
20/09/29 16:39
수정 아이콘
핸드폰같은 작은 화면 + 터치 인터페이스
적응 못해서 핸드폰으론 절대 게임 안 합니다...
하는거 보면 신기하더군요.
유일하게 해 본 모바일 게임도 컴퓨터 에뮬레이터로 해 봤었네요..
두둥등장
20/09/29 17:11
수정 아이콘
좀있으면 롤 모바일 나오지않나요?뭔가 아재로서 무섭게 다가오는 글이네요....롤 유망주?들이 모바일로 옮겨가면....
연필깎이
20/09/29 17:17
수정 아이콘
PC방에 초딩이 보이지 않는건...
현 시국은 미성년자 출입 불가이기도 하지만 시끄러워서 초등학생 출입금지 시키는곳이 많습니다.
제가 다니는 곳 역시 그렇구요.
레필리아
20/09/29 17:38
수정 아이콘
요즘 게임 신작들이 모바일로 많이 나오고 있을 뿐더러, 어린 세대들은 PC보다 모바일 환경에 더 익숙하니까요.
게다가 PC방에서 할만한 게임이라고 해봤자 롤/배그/옵치 정도인데, 세 게임 다 벌써 연식이...
Polar Ice
20/09/29 17:40
수정 아이콘
모바일이 매출도 투자도 회전도 빠른데 아직 블리자드처럼 락스타처럼 큰 규모의 투자와 게임성 만으로 성공할 수 있다고 현실을 무시하는 분들이 많은거 같아요. 결국은 돈인데 모바일게임이 피시게임보다 돈이 더 된다고 생각하몀 피시로 만드는 일이 줄을 수 밖에없죠
두둥등장
20/09/29 20:43
수정 아이콘
현실성있어보이이는게..지금같이 롤이 온라인게임 파이를 다 먹어버린상황에서 만약 롤>롤 모바일로 세대교체 되어버린다면 그순간 온라인게임 파이 전부 사라져버리는거나 마찬가지라서...
이미 대다수 한국게임사는 모바일게임을 주력으로 삼고있지않나요 크크
쿠카부라
20/09/29 17:53
수정 아이콘
PC 접근하기 쉬웠던 세대는 이미 끝났고
키보드 타자 및 마우스 조작마저 어려움을 겪는 세대가 왔다는걸 부쩍 느끼고 있습니다.

PC 마우스로 게임하라고 주면
화면이 상하좌우 직각으로만 움직이더라구요 마치 모바일 게임이나 콘솔 움직임처럼.

이미 세대가 바뀌었고 바뀐세대가 자라고 있네요.
유자농원
20/09/29 17:55
수정 아이콘
'게이머'나 '사무기기' 정도 상징성이 생길 것 같긴 합니다. 다만 대학가면 놋북정도는 쓰는사람도 있고 pc방가는 애들도 있고 해서 구시대 유물이 되진 않겠지만 노 게이머 인싸들은 필요없는 아이템일듯. 지금 콘솔보다 조금 보편적인 정도 봅니다.
이십사연벙
20/09/29 18:35
수정 아이콘
이럴수가..나는 영원히 신세대일줄 알았는데..!!
맥크리발냄새크리
20/09/29 20:47
수정 아이콘
롤 선수 수명이 긴것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려나요
미카엘
20/09/29 22:14
수정 아이콘
음? 코로나 이전에는 초글링 중글링 고글링 세트로 몰려오던데요..ㅜㅜ
pzfusiler
20/09/30 15:12
수정 아이콘
글쎄요 반대 아닌가요? 게임할 시간이 없는 사람들이 모바일게임같은걸로 게임하는 기분이나마 느끼려고 과금하고 그러는거 같던데.. 정확힌 10대나 30대 중반 이상은 모바일게임을 하고 20~30초반은 PC게임 위주인거 같은데요.
겜돌이
20/09/30 18:31
수정 아이콘
초글링이 아니라 지금 막 성인이 되는 세대만 해도 피시보다 모바일에 훨씬 익숙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621 [LOL] TSM! 대기록을 달성하다 & 역시 유럽은 지투프나틱! - C조 후기 [33] Leeka13468 20/10/10 13468 0
69620 [LOL] 약간 질문 같은건데요 요네, 사미라가 많이쌘가요? [37] realcircle10869 20/10/10 10869 0
69619 [LOL] 이번 롤드컵 밸런스는 역대급으로 망한 것 같습니다 [66] 곰그릇16227 20/10/10 16227 3
69618 [LOL] 롤드컵 결승 유관증 관련 번역글? [10] realcircle9133 20/10/10 9133 4
69617 [LOL] 롤드컵 결승전 유관중이 확정되었습니다 [35] Leeka15193 20/10/10 15193 0
69616 [기타] [중세 심즈-크루세이더 킹즈2 연대기] 38화: 제2차 프라티첼리 십자군 [29] 도로시-Mk218185 20/10/10 18185 32
69615 [LOL] 역대 월즈 본선 블루/레드 승률 [38] Leeka13312 20/10/10 13312 1
69614 [LOL] 쵸비, 쇼메이커 그리고 나이트의 능력치 비교. [63] LacusClyne17085 20/10/10 17085 0
69613 [LOL] 담원 양대인 코치 "원하는 8강 상대는 프나틱, TES는 피하고 싶다" [28] 신불해15938 20/10/10 15938 3
69612 [오버워치] OWL 플레이오프 결승기념 서울 팬메이드 영상 [3] 중학교일학년8482 20/10/10 8482 0
69611 [오버워치] 혹시 아시나요? 오늘이 결승전이랍니다. [25] 모쿠카카9719 20/10/10 9719 0
69610 [LOL] 중국에서 대차게 욕 먹고 있는 징동 [77] FOLDE17605 20/10/10 17605 1
69609 [LOL] 전설의 PSG 탈론 1군과 전승은 어려운 조별리그 - B조 후기 [71] Leeka15744 20/10/09 15744 0
69608 [LOL] 승부의 신 정말 안맞네요 크크 [37] 채식부꾸꼼9768 20/10/09 9768 0
69607 [LOL] 롤드컵 옵저빙에 대한 의혹 [11] Steve Nash11800 20/10/09 11800 0
69606 [기타] 사이버펑크 2077 한국어더빙 진행 [35] 타카이10904 20/10/09 10904 5
69605 [모바일] [가디언 테일즈] 메인 컨텐츠보다 재밌게 만든 미니 게임 [17] 따라큐10723 20/10/09 10723 2
69604 [콘솔] Wii U는 왜 망했을까? [27] 스위치 메이커11121 20/10/09 11121 5
69603 [LOL] 인벤 2020 자낳대 시즌2 이벤트 매치 로스터 [29] 고민이될지도몰라11330 20/10/09 11330 0
69601 [LOL] 수닝의 괴력! G2에게 2연승 거두며 조1위 진출! [121] 스위치 메이커17995 20/10/08 17995 0
69600 [모바일] 슬램덩크 모바일 후기 [28] 하니11740 20/10/08 11740 2
69599 [LOL] 2라운드를 앞둔 LCK팀들에게 약간(?) 우려되는 점 [61] 피베14733 20/10/08 14733 2
69598 [LOL] 조별리그 진출 확률 수치로 보기. [39] Leeka14023 20/10/08 1402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