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9/05 21:14:50
Name Un Triste
Subject [LOL]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과 관련된 여러 기록들 (수정됨)
LCK 결승이 끝났습니다. 많은 분들의 예상대로 담원이 압도적인 힘으로 DRX를 찍어누르며 우승했는데요,
이로써 담원은 LCK 1시드로, DRX는 LCK 2시드로 롤드컵 직행에 성공했습니다.
이제 올해 국내 리그 일정은 다음주 월~수 진행되는 "2020 LoL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이하 선발전)만이 남았습니다.
케스파컵이 있기는 하지만.. 로스터 변경 이후에 열리는 대회이므로 이는 내년의 시작을 알리는 일정으로 봐야 하겠죠?
이번 선발전에서 각 팀이 진출할 경우 만들어지게 될 기록(?)들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또한 이 글에서는 리그제 및 현 챔피언십 포인트 제도가 도입된 2015 시즌부터의 선발전만을 기록의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시즌3, 시즌4의 내용은 아래 따로 언급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우선 역대 선발전 결과를 정리해보겠습니다. 

2015년 (KT 롤스터 진출)
최종전에서 대기하던 KT 롤스터가 1라운드에서 나진, 2라운드에서 CJ를 꺾고 최종전에 올라온 진에어를 잡고 진출

2016년 (삼성 갤럭시 진출)
2라운드에서 대기하던 삼성 갤럭시가 1라운드에서 올라온 아프리카, 최종전에서 대기하던 KT를 잡고 진출

2017년 (삼성 갤럭시 진출)
2라운드에서 대기하던 삼성 갤럭시가 1라운드에서 올라온 아프리카, 최종전에서 대기하던 KT를 잡고 진출

2018년 (젠지 e스포츠 진출)
1라운드부터 출발한 젠지 e스포츠가 1라운드에서 SKT T1을, 2라운드에서 그리핀을, 최종전에서 킹존을 잡고 진출

2019년 (담원 게이밍 진출)
최종전에서 대기하던 담원 게이밍이 1라운드에서 아프리카를, 2라운드에서 샌드박스를 꺾고 최종전에 올라온 킹존을 잡고 진출


다음으로 각 팀이 진출할 시 세워지게 될 기록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아프리카 프릭스가 진출할 시
2018년 이후 아프리카 프릭스의 두번째 롤드컵 진출이며, 창단 이후 처음으로 선발전을 통해 진출하게 됩니다. 
참고로 2018 롤드컵은 포인트를 통한 2시드 직행이었습니다.
서머 스플릿에서 획득한 챔피언십 포인트만으로 롤드컵 티켓을 거머쥔 최초의 팀이 됩니다. 
(2016년 삼성 갤럭시는 스프링 6위, 서머 4위였지만 당시에는 스프링 6위에게도 챔피언십 포인트 10포인트를 지급하였습니다.)
아프리카 진출 = 젠지를 꺾었다는 뜻으로, 16~17 선발전의 연이은 패배를 딛고 3년만에 '선발전의 젠지'에게 복수하게 됩니다. 
또한 1라운드에서 시작해서 선발전 도장깨기에 성공한 두번째 팀이 됩니다. (첫번째 - 2018년 젠지 e스포츠)

2. KT 롤스터가 진출할 시
2015년, 2018년에 이어 KT 롤스터의 세번째 롤드컵 진출이며, 2015년 이후 두번째로 선발전을 통해 롤드컵에 진출하게 됩니다. 
15년 선발전 최종전의 상대는 진에어 그린윙스였습니다.
챔피언십 포인트 단 10포인트만으로 롤드컵 티켓을 거머쥔 최초의 팀이 됩니다. (기존 최저 포인트 - 2018년 젠지 e스포츠, 30포인트)
KT 진출 = 젠지를 꺾었다는 것으로, 16~17 선발전의 연이은 패배를 딛고 3년만에 '선발전의 젠지'에게 복수하게 됩니다.
또한 1라운드에서 시작해서 선발전 도장깨기에 성공한 두번째 팀이 됩니다. (첫번째 - 2018년 젠지 e스포츠)  

3-1. T1이 진출할 시
T1의 여섯번째 (13, 15, 16, 17, 19, 20) 롤드컵 진출이며, 이는 LCK 내 롤드컵 최다 진출 기록입니다.
현 제도 하에서는 처음으로* 선발전을 통해 진출하게 됩니다.
T1이 진출했다는 것은 젠지를 잡았다는 뜻이므로 2018 선발전의 패배를 딛고 2년만에 '선발전의 젠지'에게 복수하게 됩니다.

3-2. T1이 탈락할 시
2018년 킹존 드래곤X에 이어 스프링 우승팀이 롤드컵 진출에 실패한 두번째 사례가 됩니다. 

4-1. 젠지 e스포츠가 진출할 시
대기록의 향연입니다.
젠지의 여섯번째 (13, 14, 16, 17, 18, 20) 롤드컵 진출이며, 이는 LCK 내 롤드컵 최다 진출 기록입니다.
또한 총 여섯 번의 롤드컵 진출 중 네 번이 선발전을 통한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웁니다.**
선발전 다전제 시리즈 전적 8승 0패를 달성하게 됩니다. 
"전세계에서" LCS의 C9과 더불어 선발전 1라운드, 2라운드, 최종전 모두에서 출발해 롤드컵 진출에 성공한 유이한 팀이 됩니다. 

4-2. 젠지 e스포츠가 탈락할 시 
2017년 LCK에 어떤 한 팀이 있었습니다.
이 팀은 로스터 구성 당시 '슈퍼팀'이란 별칭을 얻을 만큼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모았습니다.
이 팀은 2017 스프링 스플릿 SKT T1을 만나 패배하고 준우승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 팀은 2017 서머 스플릿 PO 2R에서 만난 상대에게 2:3으로 석패하게 됩니다.
이 팀은 자신들을 꺾고 올라간 그 팀이 우승을 하면 2시드로 롤드컵 직행을 할 수 있었으나, 
준우승에 머물러 선발전 최종전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최종전에서 3:0으로 완패를 당하고 롤드컵 진출에 실패하였습니다.

2020년 LCK에도 어느 한 팀이 있습니다. 
이 팀 역시 영입 발표 당시 많은 이들의 기대를 모아 '반지원정대'라 불렸고, T1에 패해 스프링 스플릿에서 준우승하였으며, 
서머 PO 2R (여러 가지로) 치열한 승부 끝에 2:3으로 석패했습니다.
만약 자신들을 꺾고 결승에 올라간 DRX가 우승을 한다면 직행할 수 있었던 상황, 
그들이 준우승에 그치며 선발전 최종전행이 확정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최종전에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당시에도 선발전이 있었고 SKT T1이 이 선발전 최종전에서 KT Bullets를 잡고 롤드컵에 진출하였습니다. 언급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시즌 4의 경우 삼성 갤럭시 블루가 포인트 1위로 16강에 직행하였고, 형제팀인 삼성 갤럭시 화이트가 SKT T1 K와의 2,3위 결정전(두 팀은 포인트 동률)에서 승리하여 최종 2위로 16강에 진출했습니다. 따라서 삼성 블루의 직행을 제외하고는 현재 삼성-젠지의 롤드컵 5회 진출 중 4회가 선발전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시 언급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한 시즌이 참 빨리도 지나갔네요. 
어느 팀이 마지막 티켓을 거머쥐든 네 팀 모두 후회 없는 경기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퍼리새
20/09/05 21:16
수정 아이콘
4-1 젠지는 13년도에도 롤드컵 진출하지 않았었나요? 다데가스로 조별광탈하긴 했지만...
Un Triste
20/09/05 21:17
수정 아이콘
아 오존이 진출했었네요. 수정하겠습니다
20/09/05 21:17
수정 아이콘
젠지가 롤드컵 6년 진출로 최다 진출일텐데..
87%쇼콜라
20/09/05 21:20
수정 아이콘
4-2 '업보' 시나리오 잔인하긴 하네요 ㅠㅠ
로피탈
20/09/05 21:23
수정 아이콘
와 진짜 4-2 무섭네요...
20/09/05 21:23
수정 아이콘
올해는 lck 누가좀 월즈먹어서 티켓좀 따냈으면 하네요..
너무적다! 3장!
반니스텔루이
20/09/05 21:25
수정 아이콘
T1이 선발전에선 한번도 젠지를 못이겨봐서 크크 (14,18)
기적을 바라는수밖에. 물론 일단 2R부터..
이불베개
20/09/05 21:31
수정 아이콘
4-2 뭔가요 덜덜
소금사탕
20/09/05 21:35
수정 아이콘
진짜 선발전의 젠지네요
이겨도 져도 엄청난 대기록

(중간에 "다음으로 각 팀이 우승할 시"로 쓰여있는데 우승대신 "진출"이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Un Triste
20/09/05 21:36
수정 아이콘
수정하였습니다.
랜슬롯
20/09/05 22:35
수정 아이콘
젠지가 떨어지는 그림은 상상이 잘 안되긴 합니다. 워낙 리그 순위대로 따라간 시즌이라...
키모이맨
20/09/06 00: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어디 팬이냐를 떠나서 선발전에서 제생각에 변수는 결국 T1밖에 없습니다
여기는 스프링 우승해본 팀이고 자기들 폼이 떡락한거 되찾을 가능성이 그나마 다른팀들이 갑자기 롤실력이 올라가는것보다
훨씬 현실적인 가능성이라
1등급 저지방 우유
20/09/06 08:51
수정 아이콘
정리 추...
황제의마린
20/09/06 12:36
수정 아이콘
이번 썸머 기준으로 이변이라고 불릴만한 결과가 아프리카가 t1을 꺽은 와카를 제외하곤

그대로 예상대로 흘러간 기분이라
(젠지가 drx에게 떨어진건 이변이라곤 하기엔 애초에 두 팀의 전적이 큰 차이도 아닌지라..)

선발전도 예상대로 그냥 젠지가 무난하게 가지 않을까.. 생각중입니다
20/09/06 14:27
수정 아이콘
2014 선발전 2시드 결정전을 포함하면 젠지의 선발전 통산성적은 이미 시리즈 8승 0패 아닌가요?
Un Triste
20/09/06 16:34
수정 아이콘
본문에 언급하였듯이 시즌3, 시즌4 선발전은 현 선발전 제도와 크게 달랐기 때문에 해당 사실만 언급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907 [LOL] 플옵은 누가 가는가? kt 아프리카전 후기 [47] 와신상담15114 21/02/26 15114 3
70906 [콘솔] 포켓몬스터 25주년 기념 인기투표 결과 발표 및 자정 최신 정보 공개 예정 [28] 及時雨11018 21/02/26 11018 0
70905 [기타] 니어 레플리칸트 √ 1.5 3차 트레일러+정보 [31] Lord Be Goja13363 21/02/26 13363 0
70903 [LOL] 한화 e스포츠 영상 - RUSH TOGETHER ep.3 | 함께 달려나가야 할 때 [HLE X RAZER] [10] 캬옹쉬바나11980 21/02/26 11980 0
70902 [하스스톤] 그리핀의 해(2021 시즌) 핵심 세트 공개 및 변경점 정리 (스압) [38] BitSae16491 21/02/26 16491 4
70901 [모바일] [우마무스메] 말딸겜 영업글입니다. 메뉴 번역, 설치법, 리세 가이드. [17] 라쇼44054 21/02/26 44054 8
70900 [LOL] 쓸떼없는 롤 용 통계자료 및 시뮬레이션 [3] MelOng13911 21/02/26 13911 0
70898 [LOL] 하위티어 정글백서 [56] 리로이 스미스13859 21/02/26 13859 6
70897 [콘솔] 파이널 판타지 7 리메이크 인터그레이드 발표. [40] 김티모12810 21/02/26 12810 0
70896 [LOL] 롤 상위 5%까지 오면서 배운 교훈 10가지. txt [33] 티타늄14618 21/02/26 14618 14
70895 [LOL] 궁금해서 세어본 2021LCK 3용 통계 - 투머치 바람용 [68] estir13248 21/02/26 13248 0
70894 [기타] [앤썸] 업데이트 포기하고 서버만 유지 [15] 이런이런이런12140 21/02/25 12140 0
70893 [기타] [인터뷰] 이상헌 의원 “게임업계는 진짜 반성해야 한다” [17] 캬옹쉬바나13102 21/02/25 13102 12
70892 [LOL] 티원의 전통과 방향성을 신뢰합니다. [39] 삭제됨15233 21/02/25 15233 27
70891 [LOL] 양대인 감독의 인터뷰가 나왔네요 [507] 반니스텔루이32632 21/02/25 32632 1
70890 [LOL] 각 팀의 딜 비중 (DMG%) 지표 정리 [38] Leeka15483 21/02/25 15483 0
70888 [LOL] 오늘도 t1 선발 [147] roqur19889 21/02/25 19889 0
70887 [기타] 왜 확률로 하냐! 실력으로 해라! [16] 타카이10341 21/02/25 10341 0
70886 [LOL] 탑 라이너들의 현 시점 지표 짧게 살펴보기 [26] Leeka13648 21/02/25 13648 2
70885 [LOL] 롤판 지표에 대한 잡설들 [16] Leeka12370 21/02/25 12370 0
70884 [모바일] ?? : 회사 앞에서는 별 효과 없다고요? [46] 캬옹쉬바나14722 21/02/25 14722 11
70883 [LOL] 테트리스로 더 유명했던 1세대 게이머입니다. [39] 삭제됨13104 21/02/25 13104 17
70882 [모바일] 말딸(우마무스메) 플레이 후기 및 게임 정보 [8] 라쇼15312 21/02/24 15312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