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8/02 00:38:46
Name 及時雨
Subject [스타2] 스타 2 10주년 기념, 개발진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경기들 (수정됨)
1. 2010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8강, 이정훈 vs 한준
1세트 샤쿠라스 고원





2. 2011 Blizzard Cup 결승, 문성원 vs 박수호
7세트 샤쿠라스 고원





3. 2012 HOT6 GSTL Season 2 결승, FXOpen vs SlayerS
1세트 안티가 조선소, 고병재 vs 문성원





4. 2013 WCS Season 2 Final 16강, 윤영서 vs 이신형
3세트 뉴커크 지구






5. 2014 SanDisk SHOUTcraft Invitational 준결승, 정우용 vs 이영호
3세트 기착지





6. 2015 롯데홈쇼핑 KeSPA Cup Season 2 준결승, 박령우 vs 조중혁
2세트 코다





7. 2016 HomeStory Cup XIV 32강, Scarlett vs 김대엽
1세트 다산기지
https://www.twitch.tv/videos/101589666?t=09h09m


8. 2017 HOT6 GSL Season 3 준결승, 이신형 vs 박령우
3세트 애컬라이트





9. 2018 GSL Season 3 32강, 김도우 vs Reynor
3세트 로스트 앤 파운드





10. 2019 마운틴듀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16강, 조성주 vs 김대엽
4세트 이어 제로







https://news.blizzard.com/ko-kr/starcraft2/23485202
https://news.blizzard.com/ko-kr/starcraft2/23485203
https://news.blizzard.com/ko-kr/starcraft2/23485204/


선정 이유 및 경기에 대한 자세한 코멘트는 링크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2016년의 경기로 뽑힌 홈스토리컵 경기는 음성 없는 트위치 다시 보기 링크만 존재하네요.
원래는 좀 경기별로 자세하게 소개할까 싶었는데, 선정 자체도 좀 애매할 뿐더러 승부조작에 가담한 선수 게임을 선정해서 굳이 첨언은 않고 경기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딱총새우
20/08/02 01:14
수정 아이콘
와 단 2명만 한국인이 아니네요. 펄럭-
NORTHWARD
20/08/02 01:15
수정 아이콘
걍 유저가 선정하는 명경기 모음이 더 나을지도
及時雨
20/08/02 01:17
수정 아이콘
아마 그럴거 같습니다.
중복체크
20/08/02 01:22
수정 아이콘
애컬라이트 저 경기는 분명 있을거라 생각했죠 크크. 서로 기지 바꾸고 침착하게 빌드 이어나간 박령우가 진짜 돋보였어요
이정재
20/08/02 01:24
수정 아이콘
1경기 방패업안한해병 레전드였죠
3경기는 저경기만 되게 치열하고 나머지는 스무스하게 끝났던걸로 기억합니다
정종현박현우경기는 5셋 7셋 둘다없네요 식상해서그런가
及時雨
20/08/02 01:25
수정 아이콘
1경기는 해병왕 비긴즈 크크크크
저때까지는 짭복서였던 이정훈이 해병왕 캐릭터 얻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경기였죠.
MiracleKid
20/08/02 12:15
수정 아이콘
5세트가 12년의 '그 외 명경기'에 소개되긴 했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0/08/02 01:25
수정 아이콘
12년부터 보기 시작한 제가 한번 선정해보자면

12년: 박현우vs정종현 GSL 결승(모선 소용돌이)
13년: 최성훈vs송현덕 IEM 쾰른 결승 전세트, 스칼렛vs최지성 레드불 배틀그라운드(순간 잠복 맹독충)
14년: 주성욱vs어윤수 GSL 결승 전세트
15년: 조성주vs주작러 IEM 타이페이 결승 전세트
16년: 박령우vs변현우 블리즈컨 결승 전세트
17년: 이신형vs박령우 GSL 4강(령케르크)
18년: 세랄vs김대엽 그대월 결승 전세트
19년: 김도우vs이병렬 블리즈컨 8강(점멸 다크)
MiracleKid
20/08/02 12:18
수정 아이콘
진짜 순간 잠복 맹독충은 미친 명장면이죠
하후돈
20/08/02 12: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14년 최성훈 vs 송현덕 보다는 4강에서 정윤종 vs 최성훈이 좀 더 명경기가 아닌가요?? 진짜 당시 모점추가 테란 상대로 악명이 높았는데 그걸 기어이 뚫고 탑클래스 정윤종 토스를 3대2로 이긴 그 4강전은 하나하나가 진짜 다 대박이었는데 말이죠.
실제상황입니다
20/08/02 12:55
수정 아이콘
당시 모점추 깨부순 걸로 최성훈 대 협회토스 경기가 더 화제가 되긴 했지만 저는 결승이 훨씬 더 명경기였다고 봅니다.
근데 찾아보니까 13년이 아니라 14년이었네여
잉여신 아쿠아
20/08/02 01:28
수정 아이콘
맨 처음 gsl 떄
울트라 버그가 없었으면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을지가 궁금하네요
살려는드림
20/08/02 02:28
수정 아이콘
정종형 박현우 경기가 없다니 놀랍네요
한글날기념
20/08/02 10:49
수정 아이콘
초창기때 고위기사 부적업 있을 시절 강초원 김승철 경기였나 그게 기억나는데...
20/08/02 11:05
수정 아이콘
추억돋네요 크크
하후돈
20/08/02 12:50
수정 아이콘
그게 없네요. 2013년 WCS 시즌2 파이널 8강 정윤종 vs 윤영서. 이 경기는 군단의 심장에서 최상급의 유령-바이킹 운영을 볼 수 있는 역대급 경기였습니다. 군심때도 후반가면 테란이 토스를 이기는 게 거의 불가능이라고 할 정도로 토스가 후반 운영이 워낙 좋고 탄탄했었죠. 그 유일한 대안이 유령-바이킹인데 워낙 컨트롤과 운영이 어려워서 아무도 완성시키질 못했는데 그걸 이 경기에서 윤영서가 해냈죠. 이 당시 안준영 해설이 경기를 하면서 윤영서를 계속 극찬했던게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20/08/02 21:53
수정 아이콘
저도 그 게임기억나네요. 엄청난 경기였죠.
Wcs 시즌2 파이널은 명경기가 참 많았던거 같아요. 조성주와 스칼렛 경기도 기억이 나고
가루맨
20/08/02 15:07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를 통틀어 최고의 엘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정명훈 대 어윤수의 경기도 들어갈 만하다고 봅니다.
화려비나
20/08/02 19:06
수정 아이콘
레이너 대 김도우 경기가 선정될 줄은 몰랐네요.
역대로 꼽힐만 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상당히 재밌었고 기억에 남는 경기이긴 했습니다.
20/08/02 21:50
수정 아이콘
4번은 다섯번 이상 풀경기로 봤네요. 역대 최고 테테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유독 기억에 남는 경기는 조군샵 gsl 16강 이신형 박수호 돌개바람 경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067 [LOL] 대리충전 밴 웨이브 [93] bspirity17056 20/08/06 17056 2
69065 [LOL] (펌) 중국의 LCK 담당 해설 "올해도 LPL이 우승할것" [109] 삭제됨22469 20/08/05 22469 0
69064 [모바일] 왜 리니지를 한다고 말을 못하니!! [56] 맛똥산15272 20/08/05 15272 3
69063 [LOL] 황부리그. 플옵 막차 경쟁 살펴보기 [13] Leeka85105 20/08/05 85105 1
69062 [모바일] (전)하드 유저 입장에서 보는 이번 가테사태 [75] 프테라양날박치기14053 20/08/05 14053 3
69061 [기타] 가디언테일즈 '페미 사냥'에 게임업계 "더는 휘둘리지 말자" [213] 거짓말쟁이20706 20/08/05 20706 0
69060 [LOL] T1이 트위치와 다년간 독점 스트리밍 계약을 체결했네요. [20] 삭제됨11915 20/08/05 11915 0
69059 [기타] 갑자기 쓰는 파이널판타지14 글. 칠흑뉴비 드디어 절 알렉산더 깨다... [20] 아타락시아19708 20/08/05 9708 0
69057 [LOL] 와리가리, 오늘 1위(DRX)부터 4위(T1)까지 이야기했던 것 전문. [46] 삭제됨15439 20/08/04 15439 7
69056 [LOL] 말나온 김에 적어보는 lol-Metrics 2 : 롤타고리안 승률 [100] 오클랜드에이스13972 20/08/04 13972 25
69055 [모바일] [명일방주] 니엔 뽑은 이야기 [39] Rorschach8331 20/08/04 8331 2
69054 [스타2] [GSL S2 4강 프리뷰(1)] 화려한 점막이 나를 감싸네 [14] RagnaRocky11896 20/08/04 11896 3
69053 [LOL] 19 스프링 ~ 20 서머 팀 15분 글골 격차 확인해보기 [24] Leeka11180 20/08/04 11180 2
69052 [기타] 카카오게임즈 9월 상장 예고 [31] 칠리콩까르네11403 20/08/04 11403 2
69051 [LOL] ESPN 파워 랭킹 (~8월 3일) [26] 삭제됨14117 20/08/04 14117 1
69050 [LOL] 마지막 슈퍼위크를 남겨둔 LEC 팀별 관전포인트 [29] 비역슨10757 20/08/04 10757 7
69049 [오버워치] OWL 26주차 리뷰 [16] Riina9496 20/08/04 9496 3
69048 [콘솔] 페이퍼 마리오 간단 후기 (짤,움짤 많음) [12] 고라파덕13939 20/08/04 13939 1
69047 [LOL] 'LPL 노답 3형제' 중 한 팀, 드디어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다 [19] Ensis12978 20/08/03 12978 0
69046 [LOL] 아직 페이커를 놓아줄 때가 아닙니다 [62] 니시노 나나세15748 20/08/03 15748 15
69045 [LOL] 말나온 김에 적어보는 lol-Metrics 구상과 팀게임과 솔랭의 차이 [36] 오클랜드에이스14499 20/08/03 14499 20
69044 [PC] PC온라인MMORPG는 모바일만큼의 힘을 내지 못하는걸까 [55] 맛똥산11183 20/08/03 11183 0
69043 [LOL] LOL판에서 지표가 가지는 가치는 얼마나 되는가? [91] 삭제됨12988 20/08/03 1298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