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두절미하고 그냥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본문의 기록 기준은 LPL이라는 리그가 그 이름으로 출범한 2013년 스프링부터 2020년 스프링까지이며, 국제무대 성적 + 선발전/승강전/컵대회 성적은 제외한 순수 LPL에서의 리그/플옵 성적입니다. (국제대회나 컵대회의 경우 LPL 리거로 뛰는 기간 동안의 성적을 넣었습니다 - 시즌1~2때 뛴 선수들은 당시 LPL이 없었으므로 그냥 당시 국제대회 성적을 기재)
TOP 10에 무조건 들 거라고 제가 생각하는 8명을 일단 나열하고 나머지는 몇몇 후보를 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List를 보고 생각하시는 랭킹을 자유롭게(1~10이 귀찮다면 1~5정도로도) 매겨주시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
-----------------------------------------------------------------------------------------------------------------------
1. Cool
- 소속팀 : OMG - Newbee - LGD - FPX
- 통산 LPL 기록 : 190승 168패 (53.1%) (LPL 미드 중 통산 6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6회 (LPL 미드 중 통산 6위)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3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NEST 2013 우승 / 14 데마시아컵 우승 / 15 데마시아컵 4강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IEM S8 4강 / 롤드컵 S3 8강 / WCG 2013 준우승 / IEM S9 4강 / 롤드컵 S4 4강
=> 시즌 2부터 시즌8까지 장기간 활약하였으며, 미사야-쯔타이 등과 함께 초창기 중국 미드를 대표하는 선수였죠. 때문에 많은 누적 기록을 쌓아올렸습니다.
2. xiye
- 소속팀 : WE - DMO - LGD
- 통산 LPL 기록 : 247승 228패 (52.0%) (LPL 미드 중 통산 4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7회 (LPL 미드 중 통산 5위)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4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3회)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1회 (2nd 1회)
- 통산 컵대회 성적 : 15 데마시아컵 4강 / NEST 2015 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IEM S9 준우승 / 17 MSI 4강 / 17 리라 우승 / 17 롤드컵 4강 / 18 아시안게임 금메달
=> 14년 섬머에 데뷔해서 지금까지 현역으로 뛰고 있는, 샤오후와 더불어 2세대(?) 중국 미드의 대표 선수입니다. 아시안게임 및 제 1회 리라, 17 롤드컵 등 국제무대에서의 활약으로 국내 팬들에게도 유명합니다.
3. 폰
- 소속팀 : EDG
- 통산 LPL 기록 : 97승 25패 (79.5%) (100전 이상 LPL 미드 중 통산 1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3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3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15 데마시아컵 우승 / 16 데마시아컵 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15 MSI 우승 / 15 롤드컵 8강 / 16 롤드컵 8강 /
=> 14년 롤드컵 우승 이후 데프트와 함께 EDG로 건너가 중국 팀의 첫 MSI 우승을 달성하고, 약 1.5년간 LPL 정규시즌을 씹어먹었습니다. 승률에 비해 우승 트로피가 하나밖에 없는게 아쉽지만, MSI와 데마시아컵 우승으로 총 4번의 트로피를 들었습니다.
4. 루키
- 소속팀 : IG
- 통산 LPL 기록 : 307승 212패 (59.2%) (LPL 미드 중 통산 2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11회 (LPL 미드 중 통산 1위, 전 시즌 진출)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7회) (LPL 미드 중 통산 4강이상 진출 횟수 공동 1위)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3회 (7회) (LPL 미드 중 통산 MVP 1위, 통산 TOP 5 공동 1위)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4회 (1st 2회, 2nd 1회, 3rd 1회) (LPL 미드 중 통산 2위)
- 통산 컵대회 성적 : 15 데마시아컵 준우승 / NEST 16 우승 / 17 데마시아컵 4강 / NEST 17 우승 / 18 데마시아컵 4강-우승 /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18 리라 우승 / 18 롤드컵 우승 / 19 MSI 4강 / 19 리라 준우승 / 19 롤드컵 4강
=> 그냥 모든 카테고리가 볼드 처리된 루키입니다. 어느 분이 어떻게 랭킹을 매겨도 아마 LPL 역대 최고의 미드 1위는 루키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5. Xiaohu
- 소속팀 : RNG
- 통산 LPL 기록 : 308승 208패 (59.7%) (LPL 미드 중 통산 1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9회 (LPL 미드 중 통산 2위)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3회 (7회) (LPL 미드 중 최다우승 1위, 4강이상 진출 횟수 공동 1위)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2회 (5회) (통산 MVP 횟수 공동 2위, 통산 MVP TOP 5 횟수 공동 3위)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3회 (1st 1회, 3rd 2회)
- 통산 컵대회 성적 : NESO 2015 우승 / 16 데마시아컵 4강 / 17 데마시아컵 우승 / 18 데마시아컵 우승 / 19 데마시아컵 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IEM S10 4강 / 16 MSI 4강 / 16 롤드컵 8강 / 17 리라 우승 / 17 롤드컵 4강 / 18 MSI 우승 / 18 리라 우승 / 18 롤드컵 8강
=> LPL 역대 최고의 미드가 루키라면, LPL 역대 최고의 중국인 미드는 그래도 샤오후를 꼽아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롤드컵에선 매번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MSI와 리라에서는 우승을 거머쥐었고, 자국리그에서는 항상 꾸준함을 보여주고 단순히 우지의 보조 옵션이 아닌 MVP 수상을 하기도 했습니다.
6. 도인비
- 소속팀 : QG - Newbee - QG - JDG - RW - FPX
- 통산 LPL 기록 : 261승 147패 (64.0%) (통산 LPL 미드 중 3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8회 (통산 LPL 미드 중 공동 3위)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6회) (통산 LPL 미드 중 4강 이상 진출 횟수 3위)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2회 (7회) (통산 MVP 횟수 공동 2위, 통산 MVP TOP 5 횟수 공동 1위)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5회 (1st 3회 / 2nd 2회) (통산 LPL 미드 중 1st팀 선정 횟수 1위)
- 통산 컵대회 성적 : NEST 2017 준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IEM S10 준우승 / 18 리라 우승 / 19 리라 준우승 / 19 롤드컵 우승 / 20 MSC 준우승
=> 커리어 내내 가는 팀마다 성적 상승을 이끌며 MVP와 높은 누적승수/승률을 기록한 도인비였고, 19 롤드컵 우승으로 드디어 커리어에 커다란 방점을 찍었습니다. 루키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롤드컵을 들어본 LPL 미드라이너고, 자국리그/국제대회 성적 밸런스도 훌륭합니다.
7. 스카웃
- 소속팀 : EDG
- 통산 LPL 기록 : 233승 142패 (62.1%) (통산 LPL 미드 중 5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8회 (통산 LPL 미드 중 공동 3위)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2회 (4회) (통산 LPL 미드 중 우승 횟수 공동 2위)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1회 (5회) (통산 LPL 미드 중 MVP TOP 5 횟수 공동 3위)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2회 (2nd 1회, 3rd 1회)
- 통산 컵대회 성적 : 16 데마시아컵 우승 / 17 데마시아컵 우승 / 18 데마시아컵 4강 / NEST 2019 3위 / 19 데마시아컵 준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16 롤드컵 8강 / 17 리라 우승 / 18 리라 우승 / 18 롤드컵 8강
=> 점점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LPL 최고의 명문 EDG를 지탱하는 스카웃 선수입니다. 소속팀의 점진적인 전력 약화와 더불어 선수 본인도 지금은 전성기에선 살짝 내려온 모습이지만, 매 시즌 꾸준히 리그 MVP 컨텐더급의 폼을 유지하고 2차례의 리그 우승과 1차례의 MVP를 수상했던 리그 내에서는 항상 최고의 선수 중 하나였습니다.
8. knight
- 소속팀 : (YM) - SN -TES
- 통산 LPL 기록 : 114승 73패 (61.0%)
- 통산 PS 진출 횟수 : 3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X (3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1회 (4회) (통산 LPL 미드 중 MVP TOP 5 횟수 5위)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3회 (1st 1회, 2nd 1회, 3rd 1회)
- 통산 컵대회 성적 : 18 데마시아컵 윈터 준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19 리라 준우승 / 20 MSC 우승
=> 쿨/미사야/쯔타이가 1세대, 샤오후/시예가 2세대라면, 차세대 중국인 대표 미드라이너의 자리는 나이트가 가장 선두에 있습니다. 아직 LPL 우승도 없는데 여기 드는게 맞느냐는 의견이 있을 수도 있지만, 나이트는 이미 샤오후를 제외하고 리그 MVP를 수상해본 유일한 순혈 미드이며 통산 다승은 이미 GODV와 쯔타이, 콘을 넘어섰습니다. 20 MSC에서의 퍼포먼스는 향후 이 선수의 커리어를 기대하게 합니다.
--------------------------------------------------------------------------------------------------------------------------------------
Sub 1. Misaya
- 소속팀 : WE
- 통산 LPL 기록 : 35승 22패 (61.4%)
- 통산 PS 진출 횟수 : 2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X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IPL 우승 / HPL 우승 / 12 G리그 우승 / NEST 2013 준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IEM S6 우승 / 12 롤인비 4강 / 12 월드인비 우승 / 12 롤드컵 8강 / IEM S8 우승 / 2013 WCG 4강
=> 시즌 1 때부터 활약한 중국의 제 1세대 레전드로, 국내에서도 유명세를 날렸고 트페 존야시에이팅으로도 화제를 끌었던 미사야입니다. 다만 LPL이라는 리그가 13부터 본격적으로 출범하면서, 자국 리그 기록은 시즌 3이 유일합니다.
Sub 2. Zz1tai (미드 기록만)
- 소속팀 : IG - Snake - RNG(탑라이너)
- 통산 LPL 기록 : 87승 90패 (49.2%)
- 통산 PS 진출 횟수 : 3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X (2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2014 데마시아컵 우승 / 2015 데마시아컵 준우승 / NEST 2016 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12 롤드컵 8강 / IEM S8 상하이 준우승 / IEM S8 싱가폴 우승 / IEM S9 4강
=> PDD와 함께 IG 초창기를 대표하는, 넓은 챔프폭과 CS 파밍력으로 유명했던 선수입니다. LPL을 최근 2~3년 전부터 보신 분들은 RNG 복귀했던 탑라이너로 더 잘 기억하실지도.....
Sub 3. U
- 소속팀 : EDG - Snake
- 통산 LPL 기록 : 80승 45패 (64.0%) (통산 LPL 100전 이상 미드들 중 승률 2위)
- 통산 PS 진출 횟수 : 4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2회 (2회) (통산 LPL 미드 중 우승 횟수 공동 2위)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NEST 2014 준우승 / NESO 2014 우승 / 14 데마시아컵 우승 / 15 데마시아컵 4강 / NEST 2015 준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IEM S9 준우승 / 14 롤드컵 8강
=> 클리어러브를 필두로 EDG가 본격적인 LPL 최고의 강팀으로 도약하던 시기, 폰의 전임자로 14년에 U 선수가 활약했습니다. LPL을 2회 이상 우승한 미드는 샤오후와 스카웃을 제외하면 이 U 선수가 유일합니다. 다만 시즌4~5 시기에만 활약하고 나머지는 크게 돋보이지는 않았습니다.
Sub 4. GODV(=We1less)
- 소속팀 : VG - LGD
- 통산 LPL 기록 : 119승 115패 (50.9%)
- 통산 PS 진출 횟수 : 4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3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NESO 2014 준우승 / WGT 2014 우승 / NEST 2016 준우승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 임프와 함께 2015년 LGD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선수이며, 한국 팬들에게는 과대평가 및 다소 놀림감의 이미지도 있는 선수입니다. 하지만 LPL에서 중국인 순혈 미드로 우승컵+자국리그 100승이상을 달성한 선수는 쿨, 시예, 샤오후, 야가오, 그리고 이 GODV 선수까지 5명 뿐입니다.
Sub 5. Yagao
- 소속팀 : JDG
- 통산 LPL 기록 : 142승 109패 (56.6%)
- 통산 PS 진출 횟수 : 4회
- 통산 우승 횟수 (4강 진출 횟수) : 1회 (3회)
- 통산 MVP 횟수 (MVP TOP 5 횟수) : X
- 통산 All Pro Team 횟수 (1st / 2nd / 3rd) : X
- 통산 컵대회 성적 : 17 데마시아컵 4위 / NEST 2018 우승 / 19 데마시아컵 3위
- LPL 활약 기간 국제대회 성과 : 19 리라 준우승 / 20 MSC 4강
=> 2018년에 데뷔해서 올해로 3년차를 맞으며, 올해 리그 우승으로 최초의 본격적인 커리어를 쌓았습니다. 팀에서 메인 1옵션이 아니고 기복으로 유명한 선수지만, 아직 어린 연차에 이미 150승 가까운 누적을 쌓았고 소속팀도 이제 본격적인 세계구급 강팀으로 올라선 만큼 앞으로의 활약이 궁금해지는 선수입니다.
LPL의 예전 리그 진행과 주요 선수들을 살펴보면 역시나 LPL도 미드라이너들이 MVP 포인트를 독식하고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많이 받아 왔던 것 같습니다.
순혈의 쿨, 시예, 샤오후, 나이트와 / 한국 선수인 루키, 폰, 도인비, 스카웃 이렇게 8명은 아마 LPL 리그 내에서 가장 뛰어난 10명의 미드를 꼽는데에 반드시 들어가겠지만, 저 선수들간의 순위는 1 루키를 제외하면 조금씩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따라서 만약 TOP 5를 꼽는다면 어떻게 될까? TOP 10을 꼽는다면 생각해보면 꽤 치열할 수도 있지 않나 싶네요. (폰 선수처럼 LPL과 LCK에 있을때 활약이 나누어지는 선수도 있고, 활동 시기에 따라 기준이나 가중치가 달라질 수도 있구요.)
아무튼 (사실 시간 때우기로 시작했지만) 시즌 4를 기점으로 해서 LPL에는 지금까지도 활약하고 있는 좋은 미드라이너들이 많이 쏟아져 나왔고, LCK의 미드들과도 MSC에서 좋은 승부들을 펼쳐보이기도 했습니다. 예전보다 점점 더 LPL 리그에도 관심이 조금씩이나마 늘어나고 있고, 진행중인 섬머시즌이나 다가오는 롤드컵, 이후 무대에서도 당분간 여기 있는 이 선수들이 활약할 텐데 앞으로 어떤 선수가 어떤 커리어와 위상을 더 쌓아나갈지, LCK 선수들 못지 않게 관심 가는 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