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5/22 20:30:22
Name Leeka
Subject [LOL] 프렌차이즈 추가 정보들에 대한 정리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36&aid=0000202265


1. 프차 의향서를 받아간 팀은 25팀.

(받아갔다고 신청 확정은 아님)


2. 현재는 10개팀 유지를 기본 목표로 하고 있음 (줄거나 늘어날 수 있음)

3. 프렌차이즈가 되면, 케스파는 리그에서 빠지게 됨.


4. 1군과 2군의 자유 이동이 가능한 방식을 목표 (연봉등의 세부 이슈는 논의 중)

5. 가입금은 LCK팀 / 비 LCK팀.  2단계로 구분 됨.


6. 프차에 떨어지는 팀의 선수들은 드래프트 or FA 방식 중 고민


7. 선정 기준에 LCK 기여도가 포함됨 (LCK에서의 역사 + 국제대회 성적)
물론 자금, 비전등은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8. 대관은 이스포츠가 우선순위가 밀려서 쉽지 않음 ( 스포츠-케이팝-국가 주도 문화 행사등보다 우선순위가 낮아서 밀림)



정도라고 하네요.

이왕 시작된거, 프렌차이즈가 잘 마무리되었으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22 20:33
수정 아이콘
12개 팀 정도로 늘리는 건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치토스
20/05/22 20:33
수정 아이콘
케스파가 빠지는게 의외로 마음에 드는군요
코우사카 호노카
20/05/22 20:36
수정 아이콘
포시좀 풍성하게 12팀 6강 했으면 싶네요
비오는월요일
20/05/22 20:38
수정 아이콘
8번은 몰랐는데... 뉘앙스가 먼저 대관을 해놔도 큰행사가 잡히면 양보를 해야하는걸로 보이네요.
대규모 체육시설이 전부 국가나 지자체거다보니까 예약만으로 돌아가진 않는가봐요.
나뭇가지
20/05/22 21:11
수정 아이콘
신청 들어온거 종합해서 심사하고 결정할때 일자가 겹치는 행사가 있으면 우선순위가 밀린다는 말이겠죠
지성파크
20/05/22 20:39
수정 아이콘
근데 LCK에서도 자본력이 있다고 생각되는 팀은 별로 없다고 생각해서 진짜 검증 철저하게 해서 참가팀이 많다고 억지로 12팀으로 늘리기보다는 10팀 유지해보이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폰지사기
20/05/22 20:40
수정 아이콘
결승 화정 체육관의 이유가 밝혀지네요
야외는 무리수이고 실내는 체조뿐인데 우선순위가 밀린다
아쉽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이네요
20/05/22 20:53
수정 아이콘
12팀은 애매하게 많은 느낌이긴 하네요
20/05/22 20:54
수정 아이콘
12팀하면 작년 진에어처럼 재미없는경기 속출할거같아서 10팀이 적당해보이네요 8팀으로 줄이면몰라도
1등급 저지방 우유
20/05/22 20:57
수정 아이콘
- 3번
케스파가 어떤 걸 해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겉핥기식 이미지로는 그닥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했기에
라이엇에 휘둘린다고 하더라도 3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 부분은 알못이기에 패스..

-7번
저번에 유게였던가요? 농담삼아 슼이 지원할경우 지원내용에 [faker]란 단어만 쓰면 만사가 해결.
만약 빈 종이(?)를 내더라도 알아서 채워줄거라고 하는 농담까지 봤는데..
진짜 그게 팩트군요. 크크..롤 역사에서도 너무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슼과 페이커이기에..
키모이맨
20/05/22 21:00
수정 아이콘
과연 한국의 선수풀이 12팀을 유지할수있을지는 꽤 회의적입니다.

프차가 된다고 해서 유입되는 유망주의 숫자가 늘어날거라고 생각하지는 않고요(딱히 늘어날 구석이 없습니다. 기존에도
점유율50%이상 찍던 게임이 프차 한다고 여기서 더 늘어나긴 힘들죠) 앞으로도 계속해서 LPL을 위시로 해외리그에 꾸준히
선수들이 유출될텐데 그걸 감안하면서 LCK에서 12팀을 굴릴수있을지는 꽤 회의적이네요. 물론 12팀을 굴린다고 해서 팀
들의 자본만 충분하다면야 문제생길일은 없지만 선수풀이 12팀을 못버텨내면 바닥 깔아주는게 심해지죠.
테크닉션풍
20/05/22 21:08
수정 아이콘
탈케스파 좋네요
20/05/22 21:11
수정 아이콘
탈케스파하면 라코도 좀 변하려나요
20/05/22 21:19
수정 아이콘
17팀이나 되는 lpl도 하위권애들은 챌코수준이여서 10+@ 가능하죠.
BlazePsyki
20/05/22 21:25
수정 아이콘
선수협같은 이야기는 시옷자도 안나오네요.
북미는 프랜차이즈 되면서 선수협 만들어진거로 아는데
미카엘
20/05/22 22:15
수정 아이콘
선수협은 선수들이 나서서 만드는 게 맞는 거라... 구단주님이 나서야겠죠.
아카시아꽃이활짝폈네
20/05/22 21: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7번 기준에 의하여 확실하게 수혜를 얻을 팀은 역사와 커리어로 보아 T1 DRX KT (+추가) 젠지 한화 정도로 보이네요 (어쩌면 브리온까지)
CJ가 지금까지 남아있으면 이 부분에서 가점은 확실히 받았을텐데 안타깝습니다
20/05/22 21:46
수정 아이콘
T1 다음으론 젠지 가점이 가장 쎄죠.. 롤드컵 2회 우승, 1회 준우승 + LCK 2회 우승, 3회 준우승인데..

그리고 한화도 ROX 커리어 계승이라 1회 우승 + 2회 준우승 & 롤드컵 준우승+4강이 들어갑니다.
아카시아꽃이활짝폈네
20/05/22 22:37
수정 아이콘
아 젠지가 삼성을 이었고 한화가 rox를 계승했었죠 크크크 너무 1차원적으로 생각했네요
스포트라이트
20/05/22 21:49
수정 아이콘
사실 체조경기장은 가수들도 대관하기 힘든 곳이죠. 연차나 인지도, 티켓파워를 고려하는데 그걸로 기획사들 ppt발표까지 보기 때문에...
자몽맛쌈무
20/05/22 22:06
수정 아이콘
근본팀들은 일단 안고가겠다는마인드네요
미카엘
20/05/22 22:12
수정 아이콘
라코나 케스파나... 썩은 건 비슷한 것 같지만요.
20/05/22 22:33
수정 아이콘
저는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12팀이 성공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 롤의 인기가 식고 플레이어 풀이 줄어들기 시작하면 12팀 로스터가 단점이 커질 것 같네요.
기사조련가
20/05/22 22:40
수정 아이콘
케스파가 빠지는건 정말 좋네요.
어떻게든 케스파가 삥뜯으려는거 극혐이었는데요
20/05/22 23:11
수정 아이콘
drx의 경우 자본에서(건전성 투명성등) 조금 후달릴꺼라 생각해서 떨어질지도 모르겠다 싶었는데
수상경력이나 역사쪽에서는 후달릴게 없는팀이라 또 괜찮을거 같기도 하네요. IM도 역사가 긴 팀이니깐요
Dreamlike3
20/05/22 23:4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DRX가 가장 불안합니다
모기업이 있는게 아니라 펀드의 투자유치를 받아서 운영되는지라... 재정이 너무 불안정하거든요
자몽맛쌈무
20/05/23 00:24
수정 아이콘
drx는 팀 구성원 단체로 투자하려는 기업이 무조건 있을거같은 그래서 별로 걱정안하는중
스덕선생
20/05/23 07: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DRX 선수와 코칭스탭들은 이미 LCK 수준에서 막기엔 너무 거물이죠.

그 구성원 그대로 이식하고 싶어하는 팀들도 있겠고, 설령 그걸 LCK에서 막는다고 해도 그 경력과 명성을 바탕으로 흩어져서 LPL이나 LCS로 가면 그냥 자리 나올테니까요.

라이엇 자체가 밴해버리면 모르겠는데, 라코도 아닌 라이엇이 그럴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굳이 따지면 그 사단 일으키면서 판 들어온 DRX 보드진이 새될수는 있겠는데 히라이 갑질사건부터 시작해서 그 짧은 시기에 각종 사건사고 일으킨 DRX 보드진 좋아하는 팬들은 거의 없을거라 보고요. 사견으론 모기업 바뀌면 더 낫지않을까 싶어요.
프테라양날박치기
20/05/22 23:45
수정 아이콘
12팀이 되면 하위권이 너무 승점 자판기같은 경기를 할것같습니다. 지금보다 선수 풀이 크게 좋아질 이유가 별로 없어서.
20/05/23 05:31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죠. 올해 스프링은 덜하긴 했지만 대대로 승점 자판기 팀은 항상 있어왔으니
스덕선생
20/05/23 06: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그건 팀을 6개로 줄여도 마찬가지일겁니다. 이러면 KT나 아프리카가 맛집이 되겠죠.

팀을 마구 늘리면 경기수준이 내려가서 소위 양산형 경기들만 왕창 나올 순 있지만, 그렇다고 팀을 줄인다고 리그전에서 균등한 성적이 나오는건 구조상 거의 불가능하죠. 결국 깔아주는 팀, 버리는 경기가 나옵니다.

이게 없으려면 토너먼트로 가야되는데 이건 프랜차이즈의 의미가 없고, 라이엇도 싫어하니까요.
파란무테
20/05/23 00:25
수정 아이콘
12팀 양대리그하자
리그별로 개성있게 하던데 괜찮잖아요
소금사탕
20/05/23 03:06
수정 아이콘
탈케스파 덜덜
lck프차의 대박 순기능...
비역슨
20/05/23 07:25
수정 아이콘
12팀 하기에 선수풀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데, 이정훈 팀장 말대로 일단 10팀으로 시작하고 그 뒤에 확장 결정을 내려도 늦지는 않을것 같네요.

프차 떨어진 선수들을 드래프트로 수용한다는건 처음 들었을때도 이게 큰 의미가 있을까? 싶었는데..
라이엇 측에서 새 자리를 찾는걸 도와주고 중개해주면 물론 좋겠지만 그 방식이 굳이 드래프트일 필요는 없을것 같네요
興盡悲來
20/05/23 09:26
수정 아이콘
팀이 적든 많든 승점자판기와 노잼학살경기는 있을 수 밖에 없어서 그 점은 별로 중요한건 아닐 듯 하네요...
Albert Camus
20/05/23 09:45
수정 아이콘
전 자본력만 된다면 12팀 정도 해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뿌엉이
20/05/23 10:13
수정 아이콘
파이가 커지면 사람이야 몰리겠죠 다만 어느정도 리그가
인기리에 유지되냐 인데
롤도 거진 10년이 되서 하락기라고 봐도 무방한데
고라파덕
20/05/23 12:18
수정 아이콘
롤 정도면 훨씬 더 오래 갈거 같아서 아직 하락기 걱정할때는 아닌거 같아요
20/05/23 18:35
수정 아이콘
어제 기준으로 PC방 점유율 49%를 기록했는데,
하락기라고 보시는 근거가 있으세요?
20/05/23 18:35
수정 아이콘
어제 기준으로 PC방 점유율 49%를 기록했는데,
하락기라고 보시는 근거가 있으세요?
shooooting
20/05/23 12:14
수정 아이콘
케스파 빠지는게 너무 좋네요
20/05/23 13:41
수정 아이콘
7번 크크크 농담으로 T1은 페이커가 싸인만 해도 되겠네요
bongsala
20/05/23 22:06
수정 아이콘
라이엇에서 미리 t1 적어뇠을 것 같네요 ㅣㅣㅣ
LOL STAR
20/05/23 14: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승점 자판기 역할은 지금까지도 꾸준히 있었는데요. 갑자기 사라질까요? 예전엔 심지어 10위를 제외하고 나니 9위가 전패, 9위를 제외하고 나니 8위가 전패.. 이런 식으로 상위권까지 시즌말까지 쭉 이어졌던 적도 있었는데요. 그리고 리그에서 승점 자판기가 사라진다는건 상향 평준화가 아니라 하향 평준화에 가깝다는 생각이라 국제전을 생각하면 그냥 있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다시마두장
20/05/25 05:48
수정 아이콘
케스파 빠지는 것 때문이라도 프랜차이즈는 해야겠네요.
개인적으론 프랜차이즈 자격 되는 팀이 10팀을 상회하더라도 미래의 인수자 후보로 남겨두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 일이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653 [LOL] LCK에서 페이커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일까요? [177] 삭제됨21270 20/06/08 21270 2
68652 [LOL] CK 일정 공개? [6] 비오는풍경11421 20/06/08 11421 0
68651 [LOL] 이번 LCK 서머부터 패널티 관련 규정이 개정됩니다. [39] 삭제됨12947 20/06/08 12947 2
68649 [LOL] LCK 서머 1라 공식 로스터 최종 정리 [10] Leeka11217 20/06/08 11217 0
68648 [LOL] LCK 서머 예상 순위, 우승팀은??(1라운드 로스터) [48] 라면12519 20/06/08 12519 0
68645 [LOL] T1 CEO 조 마쉬 스트리밍 추가 내용 정리. [14] 삭제됨14864 20/06/07 14864 0
68640 [LOL] 페이커가 우지에게 보내는 영상.twt [17] 삭제됨13837 20/06/06 13837 5
68637 [LOL] C9 레퍼드, 개막 전 인터뷰 요약 [19] 삭제됨13308 20/06/06 13308 0
68635 [LOL] 후...너희는 여사친하고 롤 하지 마라.... [49] 키류19234 20/06/06 19234 1
68634 [LOL] LCK 현 시점 기준 라이엇 공식 로스터 정리 [20] Leeka13127 20/06/06 13127 0
68631 [LOL] 리그오브레전드 e스포츠에도 드롭스가 생깁니다 [21] 타바스코17260 20/06/04 17260 3
68629 [LOL] 프차 진행상황에 대한 짧은 정보 [99] 다크템플러17108 20/06/04 17108 2
68627 [LOL] 우지가 싸워왔던 길 [121] 신불해69896 20/06/04 69896 329
68625 [LOL] 우지의 슈퍼플레이 No.1이 될거 같은 장면 [19] 라면14164 20/06/03 14164 0
68623 [LOL] LPL의 시대를 열었던, Uzi out ('-')7 [18] Leeka12962 20/06/03 12962 0
68622 [LOL] (오피셜) LCK 서머 일정 및 개막전이 발표됐습니다. [20] 삭제됨11979 20/06/03 11979 0
68621 [LOL] (오피셜) 우지 은퇴 + 우지 트위터(추가) [75] 삭제됨17238 20/06/03 17238 4
68620 [LOL] T1 팬이 이번 MSC를 보며 굴려본 거대한 희망회로 [23] 삭제됨12773 20/06/03 12773 13
68618 [LOL] LCK는 변화해야 한다. 반드시 [51] 키토11386 20/06/03 11386 1
68616 [LOL] (스왑) 클템의 MSC 리뷰 [110] 삭제됨17731 20/06/02 17731 9
68615 [LOL] 우지의 FPX행 썰이 돌고 있습니다. [58] 굿럭감사16365 20/06/02 16365 0
68614 [LOL] 서머 플옵 8/26~9/5, 선발전 9/7~9/9 일 예정 [50] Leeka11296 20/06/02 11296 0
68613 [LOL] 19스프링부터 시작된 개막전의 T1.jpg [29] 삭제됨13278 20/06/02 132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