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21 15:40:19
Name 가스불을깜빡했다
File #1 restmb_allidxmake.jpeg (69.9 KB), Download : 38
Subject [LOL] 다시보니 미친 난이도의 대기록


롤드컵 3관왕 페이커-벵기...

올해 롤드컵 컨텐더로 꼽히는 팀이 G2, FPX, IG, C9(...??), LCK 우승팀 정도일 거고

기록 당사자인 페이커를 제외하면 가능성이 있는 게 1회 우승이 있는 FPX, IG, 젠지의 룰러인데

각자 올해는 어떻게든 우승해볼 수 있겠지만 3번째는 다른 팀들을 제치고 가능할 것인가 물으면 가능성은 좀 낮다고 봐야 하고...

생각해볼수록 3회 우승은 엄청난 기록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21 15:41
수정 아이콘
미친 정글신인 하나 IG에 꽝 떨어지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
R.Oswalt
20/04/21 15:53
수정 아이콘
3회 연속 롤드컵 결승 셧아웃이라는 불멸의 기록이 가능한 캡스...
20/04/21 15:55
수정 아이콘
;;앗...
20/04/21 16:30
수정 아이콘
2회 연속 아닌가요? 18롤드컵 19롤드컵
20/04/21 16:53
수정 아이콘
하지만 3회연속 셧아웃이 가능한 건 캡스 밖에 크크크
20/04/21 17:54
수정 아이콘
아 가능한을 못 봤네요.
20/04/21 16:00
수정 아이콘
더협곡..
20/04/21 16:06
수정 아이콘
상혁이 왜이리 유칼처럼 나왔냐...
20/04/21 16:08
수정 아이콘
굉장히 이상혁 외모개선 됬구나 싶은 사진;;
20/04/21 16:15
수정 아이콘
롤드컵 3연패는 갈수록 더욱 힘들어지겠죠.
게임 특성상 오래하면 상향평준화 고인물이 되서
페이커도 2020년 신인으로 나왔으면 2013년 포스는 어려웠을 겁니다.
Do The Motion
20/04/21 16:20
수정 아이콘
222222
조말론
20/04/21 17:08
수정 아이콘
20년에 13년 페이커가 보여준 실력차를 가진 선수가 나타난다면 포스는 나올거같아요 페이커를 라인전에서 갑자기 쉽게 따버리고 여기저기 로밍다니면서 터트린다면

3관왕이나 2연우승은 그럼에도 여러 조건이 갖춰져야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요
20/04/21 17:37
수정 아이콘
제 핵심이 이제 너무나 롤판이 커지고 체계화 되서 실력차가 상향평준화 되었기 때문에
2013년 페이커처럼 다른 선수를 압도하는 실력차가 나오기 어렵다는 얘기입니다.
달빛한스푼
20/04/21 18:57
수정 아이콘
그러나 이영호라면...
whenever
20/04/22 00:48
수정 아이콘
글쎄요. 고인물 끝판왕인 축구 농구에도 마라도나, 조던을 잇는 메시 르브론같은 신계 클라스의 선수가 나오는데
롤도 리그가 계속 된다는 보장이 있으면 페이커의 13포스를 잇는 또 다른 선수가 충분히 나올거라고 봐요.
다시마두장
20/04/22 07:32
수정 아이콘
이미 더샤이라는 예가 하나 나오지 않았나요? 크크
Faker Senpai
20/04/21 16:15
수정 아이콘
이제보면 뱅울프가 가지고 있는 롤드컵 2회우승도 대단한거 같아요.
20/04/21 17:37
수정 아이콘
2회우승도 2회우승인데 2회 연속우승이라 더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엄청난 포스를 뿜어냈던 IG도 2회연속 우승에 실패한걸 보고나니 앞으로 2회연속 우승도 나오기 힘들거 같아요.
20/04/21 16:22
수정 아이콘
레이안이 터지면 가능할까 싶은데 사실 ig는 이미 작년에 롤드컵을 놓쳐서 저 기록은 앞으로 깰 팀이 없을듯...
안철수
20/04/21 16:26
수정 아이콘
돈복이 없어도 너무 없는 뱅기...
10월9일한글날
20/04/21 16: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리그용 선수들을 대놓고 저평가 하는 이유로
첫째는 국제대회의 위상이고,
두번째는 국제대회로 인한 과부화
솔직히 국제대회 안 나가면, 동기부여는 부족할 지언정 리그 중간이랑 겨울 휴식기등 꼬박꼬박 가질 수 있는데
msi 롤드컵 나가면 쉴 타이밍이 따로 없고 걍 케스파컵이랑 리그중에 쉬어야..
그걸 뚫고 3관왕 했으니 이건 뭐, 롤드컵 우승은 커녕 나가서 다전제 한번 못 뚫고 은퇴한 선수들도 수두룩
열혈둥이
20/04/21 17:40
수정 아이콘
리그에서 잘뛰고 있는 선수들을 저평가 할게 아니라
저런 말도 안되는 업적을 이룩한 선수들을 찬양하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두번째 와 상향평준화의 이유로 앞으로 나오기 정말 힘든 기록일거라고 생각합니다.
10월9일한글날
20/04/21 18:37
수정 아이콘
빡세게 뛰는 선수들 고평가도 동시에 하고 있습니다.
20/04/21 16:49
수정 아이콘
본인 손으로 기록을 갈아치우지 않는한 바뀌지 않을 가능성이 높죠
2연우승만 해도 마찬가지고요
은때까치
20/04/21 17:38
수정 아이콘
어떻게든 한번만 더 해먹자 상혁아!
에너지
20/04/21 17:42
수정 아이콘
페이커 13년 커리어도 깰 수 있는 사람이 나올지 모르겠네요.

신생팀으로 데뷔해서 첫 국내대회 3위, 두번째 대회 우승, 롤드컵 우승, 3번째 대회 전승 우승.

이걸 한국나이 18세에 달성.

올해로 치면 03년생이 데뷔해서 달성한다는건데 나이제한 때문에 이제는 거의 불가능한 스펙이겠네요.
다크템플러
20/04/21 17:49
수정 아이콘
그나마 재키러브가 딱 이 루트였죠
데뷔전 컵대회우승 - 나이되자마자 첫시즌 4위, 준우승, 롤드컵우승, 자국리그 우승.
Nasty breaking B
20/04/21 19:48
수정 아이콘
페이커 사진 왜 저러죠 크크
유독 이상하게 찍힌 사진인 듯
마포고피바라기fan
20/04/21 20:54
수정 아이콘
이러다가 T1이 한번더하면 절대안깨질듯요...
블레이즈
20/04/21 20:57
수정 아이콘
보통 3관왕은 동시에 3개의 다른 타이틀을 땄을 때 쓰는 말이라서 그냥 3회 우승이라고 쓰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상하이드래곤즈
20/04/22 01:32
수정 아이콘
3관왕은 보통 3회 우승에도 쓰기 때문에 그냥 3관왕이라고 해도 됩니다.말 그대로 3번째 크라운
아기상어
20/04/21 20:57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 굴러서 나온것도...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393 [LOL] 아프리카 프릭스에 대해 1시간 30분정도의 다큐가 나왔습니다 [42] 라면14901 20/04/28 14901 0
68392 [LOL] 아무리 무관중 경기라도 승강전이면 할 짓 안 할 짓이 있는데 [226] 스위치 메이커21133 20/04/28 21133 20
68391 [LOL] 이번 첼린저스가 예전만 못하다고?!? 웰컴 투 LCK 입성!! [201] Leeka16922 20/04/28 16922 1
68390 [LOL] 15 LCK 부터 이제까지 정규시즌 1위를 달성한 팀과 선수에 관한 기록들. [5] 삭제됨10330 20/04/28 10330 0
68388 [LOL] 포지션별 LCK 우승 / 준우승 1위 [94] Leeka16208 20/04/28 16208 2
68387 [LOL] IG의 올시즌 문제점 [74] 스톤에이지17652 20/04/28 17652 1
68384 [LOL] 징동 게이밍 이야기, 그리고 로컨과 재키러브 [36] 신불해20194 20/04/28 20194 63
68382 [LOL] 올해 롤드컵은 열릴 수 있을까요? [92] 프테라양날박치기17792 20/04/27 17792 1
68380 [LOL] TES vs JDG 결승 매치 성사. 세대교체에 또 성공한 LPL [167] Leeka17677 20/04/27 17677 1
68377 [LOL] 내가 생각하는 스크림의 중요도. [40] 랜슬롯15997 20/04/27 15997 4
68375 [LOL] 조급함을 버리자. 롤드컵을 바라본다면. [76] 삭제됨15531 20/04/27 15531 9
68374 [LOL] 갑자기 고민하게된 로얄로더의 기준은? [62] 유니언스11732 20/04/27 11732 0
68373 [LOL] 참다참다 못참아서 최우범 체제를 규탄하는 글 [233] 스띠네25938 20/04/27 25938 30
68372 [LOL] LCK 승강전 샌드박스가 다이나믹스 지명 [28] kapH10985 20/04/27 10985 0
68370 [LOL] 4월 26일 씨맥 방송 조금만 요약 (t1전 씨드백) [59] 현은령19208 20/04/27 19208 21
68368 [LOL] 7번의 시리즈, 1번의 승리. 22번의 승부, 15번의 패배 [38] 신불해18833 20/04/27 18833 17
68365 [LOL] 페이커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록들 [27] Leeka15571 20/04/26 15571 3
68364 [LOL] LCK 결승이 끝난 후. 7일간 볼 롤 경기들 [26] Leeka14006 20/04/26 14006 1
68363 [LOL] 수상 방식 개편 후 첫 파이널 MVP, '커즈' 문우찬 [32] 신불해14600 20/04/26 14600 2
68362 [LOL] 플레이오프 방식이 바뀌었으면 하는 이유 [38] Leeka12396 20/04/26 12396 0
68361 [LOL] Lck 결승에 대한 넋두리- 다전제 경험 [36] 서가을11855 20/04/26 11855 1
68360 [LOL] C9 래퍼드 '복한규' 2022년까지 계약 연장 [43] 키류15143 20/04/26 15143 0
68359 [LOL] LCK 결승 감상 - 느낌표와 물음표의 교차 [70] 베스타15280 20/04/26 15280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