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13 15:00:19
Name Leeka
Subject [LOL] 16강 제도 이후. 홈팀의 롤드컵 성적은?


14 롤드컵 (한국) -  홈팀 우승 (삼화)


시작 전부터 삼화가 우승 확정...  막는다면 삼블밖에 없다 (자국리그에서도 평과는 별개로 스프링, 서머 모두 삼블이 이겼기도 하고)

라는 분위기에

선발전에서 페이커를 4연 솔킬.. 내면서 3:0으로 박살내고 나온 삼화의 모습은 외국에서도 설레발을 떨지도 못하게 만듬..


마지막 보루라는 삼블을 일방적인 학살극으로 3:0으로 보내버린 순간..  이미 결승전에서 중국팬들조차 중국이 이길거라는 생각을 못하게 만듬..

덕분에 홈팀이 홈에서 결승전을 하는데, 홈팬들이 중국을 응원하는 웃지못할일이....




15 롤드컵 (유럽) - 홈팀 4강 (프나틱, 오리젠)


역대급 유럽팀 탄생!! 과 함께 프나틱의 기세가 하늘을 찔렀고..

뱅피셜로도 조별리그 스크림도르 수상등..  엄청난 모습을 보여줬지만

4강에서 KOO에게 막히면서...  마무리.




16 롤드컵 (북미) - 홈팀 8강 (C9)


결말은 씨나인이 그나마 8강가서 홈팀 모두 16강 광탈은 면했는데..

당시 북미의 TSM은 '한국 감코진들조차' 역대 최고 북미팀이라고 인정했고. 조별리그는 뚫을거라고 다 생각했지만..

덥맆의 전설적인 앞대쉬와 함께 TSM은 16강에서 광탈을 하게 되고.....

북미의 영원한 희망인 씨나인이 그나마 8강을 가줌.



17 롤드컵 (중국) - 홈팀 4강 (RNG, WE)


이번엔 RNG와 WE가 결승 내전한다!
우리 리라도 한국 이겼다!

하면서 분위기가 하늘을 찔렀지만...   RNG가 결국 5연갈과 함께 2:3으로 패배하고
WE마저 지면서 역대급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 무대를 한국팀 결승전으로 양보하게 됨.



18 롤드컵 (한국) - 홈팀 8강 (KT, AFS)

6년 연속 롤드컵 결승 진출
5년 연속 롤드컵 우승
3년 연속 롤드컵 결승 내전


18 MSI에서 킹존이 준우승하면서 삐끗.. 하긴 했지만
대퍼팀 KT가 자존심을 살려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1년간 RNG에 눌려있던 IG가 토너먼트에서 만개하면서 8강에서 광탈을...



19 롤드컵 (유럽) - 홈팀 준우승 (G2)

기원전 11 롤드컵 우승 이후.  유럽에게 첫 국제대회 트로피를 가져다주고.  그랜드 슬램에 도전하는 G2!!

8강에서 담원 - 4강에서 SKT를 연달아 꺽고. 그랜드슬램까지 단 한걸음만 남겨두면서 홈팬들의 마음을 불태웠습니다만

결승전에서 주제곡 이름에 맞는 펀플러스 피닉스에게 0:3으로 무너지면서 준우승..







신기하게도 14~19년 모두 '홈팀이 역대급 팀들' 을 다 만들어내긴 했습니다.

결말이 14 삼화빼고 전부 우승을 못하는 결말로 끝나긴 했는데...

14 삼화 - 15 프나틱 - 16 TSM - 17 RNG - 18 KT - 19 G2..   다 당대 선수들 평가도 좋았고...



과연 2020년..   2년 연속 패권을 거머쥔 중국에서 열리는 롤드컵은 과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1/13 15:07
수정 아이콘
홈팀이 우승을 (거의) 못한다는 게 징크스 아닌 징크스가 되어버렸네요. 내년에도 이 징크스가 이어질지 궁금하네요.
스톤에이지
19/11/13 15:35
수정 아이콘
17RNG가 만약 결승갔으면 삼성이 3:0으로 이겼을지 아직도 궁금합니다
19/11/13 15:38
수정 아이콘
15년 이후 생긴 징크스가 3회 연속 우승을 노리는 LPL을 막아낼지 궁금하네요
19/11/13 15:49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국내 개최 롤드컵은 한 번도 못나왔는데 22년에는 가능할런지...
랜슬롯
19/11/13 15:57
수정 아이콘
18년도가 정말 최악이였죠. 이번년도는 4강은 둘째치고 나름 다 조별리그 1위로 진출하고 떨어질만한 상대들한테 떨어졌는데 18년은 젠지 1학년5반으로 광탈. 아프리카 2경기 말도 못하게 유리했는데 그걸져 라는 말 나올정도로 어이없이 광탈. 그나마 KT에 모든 희망이 다 모였는데 역대급 상체와 각성한 봇듀오에 광탈할뻔 했으나 더샤이의 뇌절과 넥서스 한방차이로 기적적으로 2승 거두고 탈락까지.

개인적으로 전 가장 충격적이였던 유칼의 8강에서의 기죽은 모습이였습니다. 조선제일검으로 LCK가 낳은 무려 스코어를 우승시킨 유칼이라면 루키와 해볼 수 있을지 않을까 싶었는데 가드 올리고 두들겨 맞다가 탈락..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295 [LOL] 이제 감독과 선수간에는 완벽한 갑을 관계가 형성 되었습니다. [44] 종결자250469 19/11/25 250469 19
67294 [LOL] E스포츠 언론들은 아직도 수동적이네요 [25] 지성파크9800 19/11/25 9800 20
67292 [LOL] 문체부에 스포츠비리신고가 가능합니다 [7] 이로치10659 19/11/25 10659 14
67291 [LOL] 문체부에서 LCK에 관여할 수 없다는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38] 블리츠크랭크14795 19/11/25 14795 12
67289 [LOL] 우리은행에서 답변이 왔습니다. [28] 기도씨14928 19/11/25 14928 40
67288 [LOL] 라이엇 코리아와 라이엇 본사를 굳이 분리해서 볼 이유가 있습니까? [49] YNH13034 19/11/25 13034 20
67287 [LOL] 한 때는 내편 이라고 생각했던 당신들에게(+카나비 국민청원 17만 중반!) [30] GGMT14577 19/11/25 14577 35
67286 [LOL] 헛소리 작작하세요 제발 [212] 스위치 메이커26563 19/11/25 26563 128
67285 [LOL] 미스틱의 중국내 성적에 대해 알아보자. [28] Leeka17362 19/11/25 17362 1
67284 [LOL] 국민일보에서 카나비 계약문제에 대해 간략하지만 잘 정리된 기사를 냈습니다. [23] Rorschach14103 19/11/25 14103 26
67283 [LOL] 피넛, 오창종의 LGD 입단 비하인드 스토리 [103] 신불해30949 19/11/24 30949 7
67282 [LOL] LCK 운영 위원회는 누구누구 일까 -오상헌 팀장, 이재균 전감독? [118] 발틴31414 19/11/24 31414 38
67281 [LOL] LCS 골든 가디언즈 로스터 공개 [17] 반니스텔루이14636 19/11/24 14636 0
67280 [LOL] 11/24일 0시 기준 LCK 공식 로스터 정리 [11] Leeka14213 19/11/24 14213 3
67279 [LOL] LCk 운영규정을 살펴보며.. [9] 맥스훼인11791 19/11/23 11791 11
67277 [LOL] 북미 롤 씬의 육성제도 현황 소개 [12] Le_Monde13109 19/11/23 13109 1
67276 [LOL] 관계자들의 이번 사건에 대한 발언들 정리 [21] Leeka16150 19/11/23 16150 15
67273 [LOL] 라이엇코리아 대표 박준규씨 당신 뭐하는 사람입니까? [73] 스니스니23598 19/11/23 23598 92
67272 [LOL] 안녕하세요 Gen.G 이지훈 단장입니다. [171] Gen.G 이지훈44947 19/11/23 44947 125
67271 [LOL] T1, 10인 로스터 구축 [57] Leeka18784 19/11/23 18784 0
67270 [LOL] 씨맥감독 국민청원이 15만을 돌파했습니다. [36] Leeka15275 19/11/23 15275 25
67269 [LOL] 변화된 원소 드래곤의 선호도 조사 [49] 기세파13277 19/11/23 13277 0
67267 [LOL] 문체부 88억의 정체는? 부처를 움직이는 예산 편성 시즌 [17] fallsdown10770 19/11/23 10770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