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2 11:32:34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19_11_02_오전_11.13.22.png (146.2 KB), Download : 28
File #2 스크린샷_2019_11_02_오전_11.15.11.png (140.8 KB), Download : 30
Subject [LOL] 라이엇이 시청시간대를 배려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수정됨)




위에는 시청시간 배려 아에 안한 17 MSI
아래는 시청시간 배려한 19 MSI


중국시청자를 빼고도.. 시간대 배려한거 만으로도 결승전보다 4강 시청자가 2배가 늘어나는 기적이 탄생합니다. -.-

(같은 SKT vs G2 매치업인데)



시청시간대 배려 아에 안했던 17 MSI가 흥행에 참패.. 한 뒤로는 라이엇은 전세계 시청시간대 배려에 엄청 신경 쓰게 된...

그나마 시간대가 좀 나았던 북미나 좀 보는 바람에.. TSM 조별 경기가 4강 경기보다 시청자가 훨씬 높은 웃지못할 대회가 된게 17 MSI...입니다.
(심지어 시청자수 2위가 플레이인 경기입니다.. 시간대가 안맞다보니 주요 지역에서 경기 자체를 잘 안봐서..)


그 뒤로는 중국과 서양. 두 지역에서 어느정도 볼 수 있는 시간대로 잡으면서.. 전체적인 시청자수 자체가 확 올라갔습니다.


지금 일정만 해도 '유럽 기준으로 낮에' 하기 때문에  아시아에선 '밤에' 볼 수 있게 되서 뷰어가 나오는 상태인데 (이번 롤드컵은 200만을 가볍게 달리고 있죠..)

이걸 결정한 이상은 애초에 8강 - 4강 - 결승은 주말밖에 할 수 없는 구조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시청자수 조금 차이나는 정도가 아니에요..  시청시간대 배려 안하면 반토막 바로 갑니다...  


월드컵이 타이트하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선수들을 클럽에 다시 보내줘야' 되기 때문인거고.  (빨리 끝내야 돌아가서 클럽 경기를 하니까)

롤은 '이제 일정이 없기 때문에 그럴 이유가 없는 상태' 인 대회라서..
(실제로 MSI의 경우엔 시청 시간대는 배려해도 일정은 타이트합니다.. 빨리 보내줘야 서머시즌을 하니까.. 라는 이슈가 커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말론
19/11/02 11:34
수정 아이콘
주최하는 입장이나 많은 사람들이 어떨지를 생각해보면 답은 명확하긴한데..
창술사
19/11/02 11:38
수정 아이콘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발전하네요.
이불베개
19/11/02 11: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청자수가 잘나오기도하고 주로 피드백받는 레딧은 암말도 없어서.. 바뀔 것 같진 않습니다.
위르겐클롭
19/11/02 11:56
수정 아이콘
EPL이 대낮축구를 하던이유
19/11/02 12:14
수정 아이콘
북미 기준 시청 시간이 정말 안 좋죠. 앞으로도 배려 받기도 힘들고요. 롤드컵 시즌3 때 한국 기준 시청이 헬이였던걸로 기억나네요
Rorschach
19/11/02 12:25
수정 아이콘
시청시간대야 요즘은 월드컵도 조정하죠.
지난 월드컵 때 우리 조별예선경기 하나도 새벽 3시에서 자정으로 바뀌기도 했고요.
소주의탄생
19/11/02 12:26
수정 아이콘
유럽시간에 낮에 게임하면 최소한 요일은 주말로 가는게 맞죠. 일정이 루즈해서 우리가 좀 지루하다고 평일 낮에 경기하라는건 현장관객은 가지마라는 소리랑 다름없습니다. 평일낮에 경기보러 갈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최소한 시간대 배려해줬으면 현장관객이 즐길수 있는 요일만큼은 당연히 주말로 가져가는게 맞습니다. 인터넷 뷰어수도 차이가 많이 나고요
19/11/02 12:27
수정 아이콘
이건 방법이 없는게, 파리 - 서울 - LA 기준으로 시차가 서로 딱 8시간씩 차이가 납니다. 중국 기준으로 해도 9/7시간 차이가 되는거라 큰 변화는 없고...

결국 전 세계 시청 고려하면 답은 개최지 주말 12시-2시 / 한 지역은 오전 4시-6시(올해 북미동부 기준으로는 오전 7시) / 다른 한지역은 오후 8시-10시 배분 빼고는 선택지가 없습니다. 아니면 어디 한군데 버려야 하는데 이건 라이엇이 절대 안하겠죠
기도씨
19/11/02 12:34
수정 아이콘
절대적인 시청자 수가 늘어난건 아닌가요?
19/11/02 13:11
수정 아이콘
플레이인을 그룹보다 더 많이 보고, 4강보다 더 많이 본다는건 절대적인 시청자와 관계가 없습니다....

17 MSI는 주요지역 시간이 아에 안맞아서 북미쪽 빼곤 시청률 자체가 바닥 쳤습니다.
기도씨
19/11/02 17:1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별사
19/11/02 13:02
수정 아이콘
라이엇은 대회 시간을 유럽 현지 시각으로 치면 오후 1-2시쯤 하는 거에서 이미 동양권 시청자 충분히 배려해주고 있다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캬옹쉬바나
19/11/02 13:51
수정 아이콘
페이커도 경기를 생각보다 너무 일찍해서 컨디션 조절에 애를 먹었다고 했죠
기사왕
19/11/02 14:13
수정 아이콘
배려도 배련데 사실 같은 유럽 롤드컵이었던 15년도 때도 제 기억으로는 저녁 8시-9시부터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파란무테
19/11/02 15:12
수정 아이콘
그 결과로.
1. 자국의 최고팀인 프나틱 그룹경기가 평일 낮에 배정되고
2. 자국 평일저녁이라는 프라임시간대를 버려서 경기일정이 루즈했졌죠.
3. 또 항상 개최국의 상황이 우선이 아니게 되어 매해 시간대가 유동적인 대회가 되었죠.

뭐 라이엇은 기업이니 이해합니다.
그들의 이익추구가 맞겠죠. 소수는 피해볼거구요.
블레이즈
19/11/02 16:05
수정 아이콘
베를린에서 그룹 경기 다 보고 왔는데 평일 경기도 경기장이 거의 꽉차긴 했습니다. 다국적 팬들이 많이 와서 그런것도 있겠고 업무 환경이나 휴가 일수가 한국과는 제법 차이나서 그런것도 있겠죠. 그리고 현지 시각으로 오후 2~3시에 시작할수밖에 없는게 기본 6시간이라 끝나는 시간 감안하면 그렇게 할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재경기 있는 날은 밤 10시에 끝나고 그랬어요.
파란무테
19/11/02 16:42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적절할수도 있겠군요
루데온배틀마스터
19/11/02 17:3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지금 경기 수 적거나 일정 텀 길다는 건 우리 입장에서 하는 얘기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4강 티저 영상 만들고 8강 티저 영상 만들고 심지어 유럽이라 나라 이동해야 하고 숙소 다시 차리고...주말이 최선이에요 그냥
19/11/02 22:13
수정 아이콘
북미가 떨어진게 다행일지도..시카고인데 아침 6시에 일어나서 4강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637 [LOL] C9 레퍼드, 개막 전 인터뷰 요약 [19] 삭제됨13719 20/06/06 13719 0
68636 [기타] 발로란트는 성공할 것인가 [59] slo starer16718 20/06/06 16718 4
68635 [LOL] 후...너희는 여사친하고 롤 하지 마라.... [49] 키류19911 20/06/06 19911 1
68634 [LOL] LCK 현 시점 기준 라이엇 공식 로스터 정리 [20] Leeka13639 20/06/06 13639 0
68633 [기타] 요즘오락한 일기 (feat. 옵치 발로란트) [21] 바보왕12469 20/06/05 12469 9
68632 비밀글입니다 삭제됨12514 20/06/05 12514 2
68631 [LOL] 리그오브레전드 e스포츠에도 드롭스가 생깁니다 [21] 타바스코17771 20/06/04 17771 3
68630 [PC] 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 이번 이슈에 대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94] 삭제됨19391 20/06/04 19391 2
68629 [LOL] 프차 진행상황에 대한 짧은 정보 [99] 다크템플러17592 20/06/04 17592 2
68628 [기타] 레전드 오브 룬테라 향후 업데이트 계획이 공개되었습니다 [13] Leeka12854 20/06/04 12854 2
68627 [LOL] 우지가 싸워왔던 길 [121] 신불해71347 20/06/04 71347 329
68626 [콘솔] 기대했지만 아쉬움이 남는 리메이크-성검전설 3 TRIALS of MANA- [15] 쿠보타만쥬10513 20/06/04 10513 0
68625 [LOL] 우지의 슈퍼플레이 No.1이 될거 같은 장면 [19] 라면14514 20/06/03 14514 0
68624 [PC] 등급 분류를 받지 않은 스팀 게임들이 이제 차단당하게 될까요? [82] Misaki Mei14316 20/06/03 14316 7
68623 [LOL] LPL의 시대를 열었던, Uzi out ('-')7 [18] Leeka13411 20/06/03 13411 0
68622 [LOL] (오피셜) LCK 서머 일정 및 개막전이 발표됐습니다. [20] 삭제됨12407 20/06/03 12407 0
68621 [LOL] (오피셜) 우지 은퇴 + 우지 트위터(추가) [75] 삭제됨17755 20/06/03 17755 4
68620 [LOL] T1 팬이 이번 MSC를 보며 굴려본 거대한 희망회로 [23] 삭제됨13232 20/06/03 13232 13
68619 [콘솔] 세가 창립 60주년 기념 세일 [18] 及時雨10766 20/06/03 10766 0
68618 [LOL] LCK는 변화해야 한다. 반드시 [51] 키토11850 20/06/03 11850 1
68617 [콘솔]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익스팬션 패스 1탄 6월 17일 발매 [21] 及時雨10614 20/06/02 10614 2
68616 [LOL] (스왑) 클템의 MSC 리뷰 [110] 삭제됨18247 20/06/02 18247 9
68615 [LOL] 우지의 FPX행 썰이 돌고 있습니다. [58] 굿럭감사16854 20/06/02 168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