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9/14 23:19:15
Name 비역슨
Subject [LOL] 2년만에 롤드컵 무대로 돌아온 기가바이트 마린즈




엄밀히 말하면 지금의 팀 명칭은 GAM 이스포츠로 부르는게 맞습니다만, 아무튼 과거의 마린즈를 전신으로 두고 있는 GAM이 오늘 결승전에서 팀 플래쉬를 상대로 3:0의 압승을 거두며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직행 티켓을 따냈습니다.

사실 팀 플래쉬도 기가바이트 마린즈의 옛 유산들(옵티머스, 스타크)을 공유하는 팀이라, 구 기가바이트 마린즈 멤버들 간의 시빌워 느낌도 드는 결승전이었는데, 그냥 순수하게 손가락 차이로 GAM이 압승했습니다. 그나마 1, 2세트는 어떻게 싸우면서 비볐다 느낌도 있었지만 3세트는 처음부터 끝까지 압살당했고 멘탈도 많이 갈려나간 느낌.

구 기가바이트 마린즈의 또다른 유산 팀 플래쉬는 내일 로우키 이스포츠와 롤드컵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을 건 최종전을 치릅니다. 대싱 버팔로는 떨어졌고, 멘탈만 잡으면 팀 플래쉬가 무난하게 롤드컵 갈 거라고 생각하는데, 오늘 너무 대패해버려서 그게 변수가 되겠네요.


제로스(요시노) - 리바이 - 키아야 - 진 - 슬레이(히우3)

상체가 압도적으로 강합니다. 물론 국제무대에서는 지금과는 다르긴 하겠지만, 17 기가바이트나 18~19 스프링 퐁부, 이전의 베트남 맹주들과 비교했을때 올해 GAM의 상체가 가장 파괴적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바텀은 그에 비하면 분명 실력이 떨어지지만, 그때그때 임시방편으로 비원딜 카드와 유미/볼베/럭스같은 특정 서포터들을 잘 활용하면서 버텨왔습니다. 진의 블라디미르 비원딜 성적은 엄청나게 좋고, 오늘 결승전에서는 3연속 캣타워로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강력한 상체와 꾸역꾸역 버텨온 하체라는 점에서는 여러모로 2018년의 G2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습니다. 물론, 세세하게 들어가면 퍽즈와 키아야의 실력을 비교하는것 자체가 불가능하지만요.

미드의 키아야는 2001년생의 유망주로, 서머 초에 영상들 접할때는 긴가민가한 면이 있었는데 최근의 모습과 결승전을 보면 확실히 잠재력 있는 선수라는게 눈에 보입니다. 난전 상황에서도 판단이 빠르고 과감하고, 컨트롤도 좋고, 챔프폭도 넓고. 롤드컵에서 A급 미드라이너를 만나서 라인전부터 박살나지 않는다면 제몫은 충분히 할 수 있는 선수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로스의 백업인 탑라이너 요시노도 거의 제로스에 근접한 수준의 재능이라 식스맨 활용의 여지가 큰 팀이라는 점도 강점입니다. 시즌 중에도 실제로 세 명의 솔로라이너, 제로스, 요시노, 키아야를 탑과 미드에 이리저리 돌려 쓰면서 실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일반적인 전술로 자리잡은 탑-미드간의 픽 스왑에서도 매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팀입니다.


물론 그 무엇보다도 제로스와 리바이의 존재감이 압도적이고, 교전에서 이 두 선수들이 킬을 하나씩 쓸어담기 시작하면, 어떤 강팀들이라도 어어 하다가 휩쓸려버릴 수 있겠다 싶을 정도로 두 선수의 캐리력은 일품입니다. 조금 엉성해 보이다가도 일단 교전에 돌입해서 싸우는 모습을 보면 너무 잘하는데? 하고 감탄이 나오는 장면들이 많습니다. 

웬만한 메이저 지역의 강팀이라도, GAM에게 초반 주도권을 내주게 된다면 이리저리 끌려다니고 얻어맞다 완패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팀이 지니고 있는 폭발력, 파괴력이 매우 인상적인 팀입니다. 라인전 구도에서 무난히 찍어누르는게 아니라면 전투에서는 얼마든지 변수를 낼 여지가 있는 팀이고, 리바이가 '이기는 싸움'의 구도를 찾아내고 실행하는데에 미친 재능을 보여줍니다.


개인적으로는 작년의 퐁부보다도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력은 더 강한 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약팀이 단기전 변수를 내기 위해서는 강한 바텀보다는 강한 상체, 특히 정글러의 힘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조편성까지 봐야겠지만 조금 우호적인 조가 나온다면 얼마든지 8강 가능성을 내다볼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팀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좀 깨알같은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이번 롤드컵의 리바이는 라이엇 TOP20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최초의 베트남 선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전망도 해봅니다. 베트남의 최고 정글러, 최고 선수가 누구다 당분간 설왕설래 하던걸 복귀하자 마자 한방에 정리해 버리는걸 보면 그냥 다른 베트남 선수들과는 다른 티어에 있는 재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다표범
19/09/14 23:27
수정 아이콘
리바이의 재능은 다시 생각해도 놀랍네요. 자국리그 떠난 뒤 행적을 보면 프로씬에서 제대로된 활동을 못했거든요.

냉정하게 말하면 용병슬롯 때문이든, 실력 때문이든 주전 경쟁 밀리고 커리어 꼬여서 시간 날리고 자국리그로 복귀한건데 본인이 떠나 있는 사이에 베체정 경쟁하던 멜리오다스 이진 다 서열정리하고 다시 베체정으로 올라섰습니다.
비역슨
19/09/15 03:46
수정 아이콘
이진은 스프링, 서머 내내 베체정 수준 폼이었던걸로 알고있는데 바로 결승에서 서열정리 당해버리니 좀 아쉽긴 하네요
로우키 팀 정글러도 호평받던거 같은데 베트남은 어쨌든 어린 정글러 재능들은 계속 나온다는게 긍정적이네요. 아직까진 아무도 리바이를 못 넘는다는게 함정이지만
삼겹살에김치
19/09/14 23:29
수정 아이콘
리바이가 북미갔다 리턴했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다시 롤드컵으로 오네요! 제로스 vs 너구리 존버해봅니다.
오티엘라
19/09/15 00:02
수정 아이콘
기사 뜬거 보니까 GAM 쪽에서 3연 캣타워를 했다고 써있더군요 크크 3연은 역시 위험해요 국제무대 기대됩니다
비역슨
19/09/15 03:39
수정 아이콘
캣타워가 그냥 얹혀가기만 한것도 아니고 유미 정말 잘 썼는데 계속 밴 안한건 좀 의아하긴 하더라고요
하하맨
19/09/15 00:05
수정 아이콘
제로스 리바이 상체는 진퉁이라 기대되네요
피카츄 배 만지기
19/09/15 00:28
수정 아이콘
보고싶다... G2 IG 담원 GAM의 조별리그를...
이론상 불가능한 거겠죠?? 크크크크 이렇게 나온다면 핵꿀잼일텐데 탑라인에 피바다 흥건~
하하맨
19/09/15 00:29
수정 아이콘
이거 궁금해서 물어보니 된다던데요 크크
피카츄 배 만지기
19/09/15 00:34
수정 아이콘
아 가능한 조합이에요??? 와우!!!!!!!
비나이다 비나이다 죽음의 조 핵꿀잼조를 원합니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니나노나
19/09/15 10:35
수정 아이콘
보기만해도 피터지는 싸움!!
스톤에이지
19/09/15 02:08
수정 아이콘
리바이는 북미에서는 언어+용병슬롯때문에 못 뛰다가 중국 JDG가자마자 시즌 첫 경기에 나올정도로 신뢰를 받았는데 언어문제때문에.. 옴므도 리바이가 플로리스보다 더 폭발적이라고 했는데 언어때문에 많이 못 나온게 아쉽
비역슨
19/09/15 03:39
수정 아이콘
결과적으로는 메이저 지역에서 보낸 시간이 아쉬운.. 특히 100T에서는 ㅠㅠ
딱총새우
19/09/15 06:58
수정 아이콘
북미 솔랭 폭격한 리바이 기대하겠습니다.
더치커피
19/09/15 07:05
수정 아이콘
오른쪽이 리바이인가요? 잘생겼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19/09/15 13:18
수정 아이콘
궁금합니다. 그리고 기대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081 [LOL] 와디드&리라가 말하는 LCK 프리뷰 + 분석데스크 없어진다네요. [32] 삭제됨15546 20/03/23 15546 0
68080 [LOL] IG와 이스타의 혈전(?)이 끝났습니다 [46] 라면14730 20/03/23 14730 2
68079 [LOL] 클템&동준&강퀴&빛돌의 LCK 1라운드 스프링 결산 [20] 삭제됨12003 20/03/23 12003 1
68078 [기타] [POE] 3.10 빌드 소개 - 독블볼(을 가장한 독성운반자) 어쌔신 [20] Chronic Fatigue14890 20/03/23 14890 0
68077 [LOL] LCS 8주차 요약 - 북미의 균형의 수호자들 [17] 비오는풍경9745 20/03/23 9745 1
68076 [LOL] lck가 재미없다는건 정말 프레임 일까요? [149] 꼼햇19386 20/03/22 19386 16
68075 [LOL] 씨맥 감독의 내부고발 행위와 소드선수의 고발 행위는 개별적인 행위인가? [40] 삭제됨15294 20/03/22 15294 2
68074 [LOL] 구약식 처분 관련 씨맥 방송 전문을 텍스트로 옮긴 것입니다. 긴 글입니다. [300] boijsf12325128 20/03/22 25128 5
68073 [LOL] LEC 플레이오프 진출팀 확정 [14] 비오는풍경9980 20/03/22 9980 0
68072 [LOL] 배당률로 보는 국제대회 다전제 [22] ELESIS17567 20/03/22 17567 1
68071 [LOL] IG에게 미칠듯한 상성이 잡힌 TES + 퍼프의 인터뷰 [23] 신불해18414 20/03/21 18414 9
68070 [LOL] 최근 LPL 글로벌 중계진들이 가장 배신감 느끼는 팀 [16] Ensis13387 20/03/21 13387 0
68069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3세트 - 승부사 [5] 나주임13747 20/03/21 13747 11
68068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2세트 - 스타일리스트의 종말 나주임13348 20/03/21 13348 2
68067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1세트 - 스타일리스트에서 올라운더로 [4] 나주임11784 20/03/21 11784 8
68066 [LOL] 씨맥에게 다시 징계가 내려진다면 합당한 수위는 어느정도일까요? [125] 스니스니15052 20/03/21 15052 0
68065 [LOL] LCK 스프링 1라운드 강퀴,빛돌,김동준,클템의 강중약 평가 [31] 삭제됨11064 20/03/21 11064 0
68064 [LOL] [LJL] 블랭크,피레안선수의 팀 센고쿠게이밍에 대해서 [9] 타바스코10401 20/03/21 10401 2
68063 [기타] GoTY의 위기? [69] 스위치 메이커15727 20/03/21 15727 0
68062 [오버워치] 오버워치 올해 추가 영웅 계획 없다 [37] CastorPollux13719 20/03/21 13719 0
68061 [기타] [소녀전선] 근황 및 잡담 - 우중PD가 불을 지피다. [48] Finding Joe12116 20/03/21 12116 0
68060 [기타] 아무도 올리지않으셔서 올리는 명일방주 리뷰 [26] Way_Admiral14325 20/03/21 14325 2
68059 [LOL] 구약식 처분 관련 씨맥 방송 요약입니다. [16] 삭제됨12057 20/03/21 120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