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29 18:14:28
Name 及時雨
Link #1 https://liquipedia.net/starcraft2/China_Team_Championship_2019
Subject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3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정규 시즌 경기는 기본적으로 2세트씩 3번의 경기를 펼칩니다.
각 세트가 해당 경기 스코어로 누적이 되며, 3경기까지 끝난 시점에서 양팀 스코어가 동점이면 단판제 에이스 결정전으로 승부를 가립니다.
에이스 결정전 없이 승리한 경우 승점 3점, 에이스 결정전까지 가서 승리한 경우 승점 2점이 적립됩니다.
총 8개팀 중 4위까지의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 기회를 얻습니다.




3주차 첫 경기는 Team LP와 PSISTORM Gaming의 대결.
한국인 선수들끼리의 대결에서, Team LP의 김준혁과 조지현이 모두 2승씩을 챙기며 4:2 승리에 성공했습니다.
PSISTORM Gaming은 간판 고병재가 3승 3패, 신희범이 1승 3패로 부진하는 사이 리그 2연패를 기록합니다.





지난주 Team LP를 상대로 리그 첫승을 신고한 진에어 그린윙스가 이번주에도 승리했습니다.
김유진과 조성호가 각각 2승씩을 올려주었는데, 특히 조성호가 TSG의 김준호를 잡아낸 게 큰 역할을 했네요.
Rex는 이번주도 2패를 적립하며 현재 0승 6패...




중국인 선수만으로 구성된 유일한 팀, Invictus Gaming이 지난주에 이어 2연승에 성공했습니다.
베테랑 iAsonu가 원이삭에게 2승을 따낸데 이어, 에이스 결정전에서도 정명훈을 잡아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네요.
현재 리그에서 비중국인 상대로 5승 3패의 호성적을 거두며 중국의 자존심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2승이 모두 에이스 결정전까지 간 끝에 거둔 승리라, 향후 세트 스코어를 따지는 시점이 된다면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Player 1은 저그 플레이어가 없는 3인 로스터의 한계를 이번에도 보여주고 말았네요.




3주차 마지막 경기는 Ocean Gaming과 Newbee의 대결.
Newbee가 드디어 리그 첫승을 따냈습니다.
Scarlett이 눈 수술에도 불구하고 2승을 가져와 준게 컸네요.
TIME 또한 주성욱을 2:0으로 제압하며, 백동준만 살아나면 더 높이 올라갈 가능성을 보여준 경기였습니다.




현재 시점의 리그 순위표.
2연승을 거둔 TSG도 패배했고, 2연패 중이었던 Newbee도 첫 승을 따내며 살얼음판 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남은 절반의 리그 기간 동안, 어느 팀이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낼 수 있을지.
점점 흥미로워져 가는 리그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ORTHWARD
19/04/29 18:17
수정 아이콘
북부리그와 남부리그
가루맨
19/04/29 18:31
수정 아이콘
스칼렛이 이번 WCS 북미 챌린저에 불참해서 무슨 심경의 변화라도 생긴 게 아닌가 걱정했는데, 눈을 수술했나 보군요. 빨리 회복해서 예전 기량 보여주길 기대합니다.

그건 그렇고 이번 중국 팀 리그에서 가장 우려하던 부분이 중국 선수들의 집단 샌드백화였는데(개인적인 예상 승률은 타임과 아이소누만 한국인(스칼렛 포함) 상대로 4할 정도에 나머지 중국 선수들은 끽해야 2할 정도였습니다), 아직까지는 예상보다 훨씬 선전하고 있고 특히 이번 주는 엄청난 활약을 보여줬네요.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도 더 재밌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리그를 통해 중국 선수들의 기량이 전반적으로 향상된다면 스타2 판에 선순환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기대하는 바가 크네요. 잘만 된다면 차기 리그에서는 더 많은 팀들의 참여로 대회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요.
화려비나
19/04/29 18:42
수정 아이콘
Sakura, firefly : 1승만 하라고 한국 스막들아

아이소누 원이삭한테 군숙 매섭게 쓰던데 저날 활약이 대단했군요.
19/04/29 19:01
수정 아이콘
에결 초갓은 눈물났습니다. 정말 정명훈 팬인지라 잘했으면 싶습니다 항상 응원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725 [기타] 내침 김에 저도 고전 게임을 찾습니다. [13] 도축하는 개장수8854 19/05/18 8854 0
65724 [LOL] IG 탈락 후 인터뷰와 중국 내 몇가지 반응들 [45] 신불해23063 19/05/18 23063 47
65723 [LOL] 빠르게 올려보는 레딧 반응 [40] aDayInTheLife15058 19/05/18 15058 7
65722 [LOL] IG 4강탈락을 보고 떠오른 명언 [52] 토론시나위13853 19/05/17 13853 2
65721 [LOL] 역대급 업셋을 보면서 드는 밴픽에 대한 짧은 생각 [61] Bemanner10408 19/05/17 10408 1
65720 [LOL] TL의 승리: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업셋? [39] 비역슨10325 19/05/17 10325 10
65719 [LOL] 역대 최강 팀들의 쇠락? 과정 [51] freely9653 19/05/17 9653 0
65718 [LOL] 더블리프트. 9년간의 도전끝에 첫 국제대회 결승전 진출! - 4강 1일차 후기 [314] Leeka23329 19/05/17 23329 15
65717 [기타] 고전 게임을 찾아주세요 (난이도 : 極上) [99] goldfish15816 19/05/17 15816 2
65716 [LOL] 이번주 간단소식 [13] 후추통10111 19/05/17 10111 0
65715 [LOL] ESPN 그룹스테이지 탑 10 [91] 삭제됨11398 19/05/17 11398 2
65714 [기타] 토탈워 삼국 발매일까지 1주일 남았다, 촉나라의 한을 풀기 위해.. [37] 랜슬롯10061 19/05/17 10061 3
65713 [LOL] MSI 4강 SKT vs G2 짧은 프리뷰 [29] Leeka10349 19/05/16 10349 2
65712 [LOL] MSI 4강 TL vs IG 짧은 프리뷰 [61] Leeka11962 19/05/16 11962 5
65711 [LOL] 이번 MSI 기록들 [49] 삭제됨8825 19/05/16 8825 2
65710 [LOL] Mid Season Invitational 4강 간단 Preview [52] 어제의눈물10742 19/05/16 10742 14
65709 여러분들의 인생 게임은 무엇인가요? 저는... [503] 아유아유23924 19/05/15 23924 11
65708 [LOL] 속도전? 메타차이? lpl-lec식 운영법? 그리고 LCK [162] ChaIotte17530 19/05/16 17530 18
65706 [LOL] 유미 라이브 핫픽스가 적용되었습니다. [49] Leeka12465 19/05/16 12465 2
65705 [LOL] 겨우 플레4찍은 원딜이 경험한 유미 [31] 아타락시아111237 19/05/16 11237 1
65704 [LOL] 리치 이재원, 젠지 아카데미 입단 [25] MiracleKid11505 19/05/16 11505 2
65703 [LOL] 이번주 소식들 / MSI 긴급사고 속보 추가 [31] 후추통13060 19/05/15 13060 3
65702 [LOL] 소수 교전 유도가 무조건 정답인가? [62] GogoGo12375 19/05/15 1237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