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14 05:21:50
Name 니시노 나나세
Subject [LOL] LCK커리어 정리 (수정됨)
1위 페이커

7회우승 1회준우승

-13섬머 우승 (SKT1 K)
-13~14윈터 우승 (SKT1 K)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16스프링 우승 (SKT1)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19스프링 우승 (SKT1)


2위 뱅기

5회우승

-13섬머 우승 (SKT1 K)
-13~14윈터 우승 (SKT1 K)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16스프링 우승 (SKT1)


3위 프레이

4회우승 2회준우승

-12~13윈터 우승 (나진 소드)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4위 뱅  울프

4회우승 1회준우승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16스프링 우승 (SKT1)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6위 고릴라  

3회우승 3회준우승

-14스프링 준우승 (나진화이트 쉴드)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7위 피넛  마타

3회우승 2회준우승

>피넛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마타
-13스프링 우승 (MVP 오존)
-13~14윈터 준우승 (삼성 오존)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19스프링 우승 (SKT1)


9위 스맵

2회우승 3회준우승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10위 칸

3회우승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19스프링 우승 (SKT1)


11위 데프트  다데

2회우승  2회준우승

>데프트
-14스프링 우승 (삼성 블루)
-14섬머 준우승 (삼성 블루)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다데
-13스프링 우승 (MVP 오존)
-13~14윈터 준우승 (삼성 오존)
-14스프링 우승 (삼성 블루)
-14섬머 준우승 (삼성 블루)


13위 고동빈

1회우승 4회준우승

-13섬머 준우승 (KT B)
-15섬머 준우승 (KT 롤스터)
-16섬머 준우승 (KT 롤스터)
-17스프링 준우승 (KT 롤스터)
-18섬머 우승 (KT 롤스터)


14위 블랭크

2회우승 1회준우승

-16스프링 우승 (SKT1)
-17스프링 우승 (SKT1)
-17섬머 준우승 (SKT1)


15위 쿠로

1회우승 3회준우승

-15스프링 준우승 (GE 타이거즈)
-16스프링 준우승 (락스 타이거즈)
-16섬머 우승 (락스 타이거즈)
-18스프링 준우승 (아프리카 프릭스)


16위 임팩트 피글렛 푸만두 마린 커즈 비디디

2회우승

>임팩트 피글렛 푸만두
-13섬머 우승 (SKT1 K)
-13~14윈터 우승 (SKT1 K)

>마린
-15스프링 우승 (SKT1)
-15섬머 우승 (SKT1)

>커즈 비디디
-17섬머 우승 (롱주 게이밍)
-18스프링 우승 (킹존 드래곤X)


@우승=2.5준우승


페이커는 이제 7번째 LCK우승을 차지하면서 넘사벽인 존재로 거듭남.
은퇴한지 3년이 다되가는 벵기가 아직도 2위.
비SKT소속으로 3위와 6위에 오른 프레이 고릴라도 대단하지만
LCK커리어를 정리하면서 느낀건 SK를 거쳐간 선수들의 커리어가 어마어마하다는 생각만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마데
19/04/14 05:37
수정 아이콘
넌 그저 하루하루 우승컵 모으는 기계일 뿐이지!

대단하다는 말로도 모자랍니다.
탐이푸르다
19/04/14 06:03
수정 아이콘
갑분고동빈 크크크
19/04/14 08:24
수정 아이콘
어제 페이커 기량보면서 참.. 전무후무한 선수입니다.
19/04/14 09:25
수정 아이콘
고동빈 4회 준우승은 콩보적이네요...
카르타고
19/04/14 09:48
수정 아이콘
그리핀 5인팟으로 무섭게 추격중입니다...
율리우스카이사르
19/04/14 12:31
수정 아이콘
섬머 준우승하면 그것도 대기록이겠네요
오안오취온사성제
19/04/14 09:57
수정 아이콘
뱅기 lck 5회우승 롤드컵 3회우승 준우승x 덜덜
트리거
19/04/14 10:32
수정 아이콘
페이커 진짜... 저정도 우승했으면 매너리즘에 빠질만도한데....
19/04/14 11:47
수정 아이콘
커리어로만 보면 블랭크가 스코어보다 위 아닐까요?
마법사9년차
19/04/14 12:32
수정 아이콘
1우승=2.5준우승으로 기준잡으셨다고 되어있으니
그러면 스코어는 6.5준우승, 블랭크는 6준우승이네요 크크
19/04/14 12:38
수정 아이콘
아 기준 잡으신 게 있군요...
비익조
19/04/14 11:54
수정 아이콘
이거 볼 때마다 벵기 간지가 가장 쩌는..크크
동굴곰
19/04/14 13:40
수정 아이콘
이지훈 빠졌어요
교자만두
19/04/14 14:37
수정 아이콘
skt t1이 맞긴한데.. skt1 도 되려나요
19/04/15 02: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후보 선수들의 우승 커리어는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네요. 벵기의 16스프링은 성적이 좋지 못했고, 블랭크의 17스프링과 커즈의 18스프링은 승률은 좋지만 출전 수가 너무 적죠. 하루나 작년 듀크의 롤드컵 우승도 인정하기 어렵고요. 개인적으로 서브 선수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출전 횟수 또는 플레이오프(롤드컵의 경우 토너먼트)에서의 충분한 활약이 있지 않으면 같은 우승 횟수로 여기긴 어렵다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511 LPL의 JDG 선수들의 LCK 선수들과 클리드 에 대한 언급 등등 [37] 신불해16404 19/04/15 16404 15
65510 [LOL] 서머시즌에 개선되었으면 하는 MVP 제도 [17] Leeka11443 19/04/17 11443 13
65509 [LOL] 스프링 시즌 몇몇 선수에 대한 단평 2 [42] Vesta13165 19/04/17 13165 2
65508 [LOL] 재미로 보는 선수들의 다양한 분류? [31] Leeka9793 19/04/17 9793 1
65507 [LOL] 스프링 시즌 몇몇 선수에 대한 단평 [76] Vesta14239 19/04/17 14239 2
65506 [기타] Apex 레전드 1.1.1패치 업데이트 [6] 헛스윙어7158 19/04/17 7158 0
65505 [LOL] 높은 사일러스인기는 영구적일 것이다? [22] 고기천사9918 19/04/17 9918 1
65504 [LOL] MSI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78] Leeka11500 19/04/17 11500 0
65503 [기타] 집에 vr 혹은 mr이 있다면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게임 [26] AUAIAUAI9701 19/04/17 9701 0
65502 [기타] xcom 2 클리어 후기 [10] 잘생김용현11371 19/04/17 11371 0
65501 [기타] [레인보우 식스] 돌아온 사자 [5] 현실순응8245 19/04/17 8245 1
65500 [LOL] "누가 더샤이를 죽일 것인가" [202] 신불해24810 19/04/17 24810 12
65499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1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3] 及時雨10140 19/04/17 10140 3
65498 [LOL] SKT의 식스맨은 누구인가? [62] roqur11720 19/04/16 11720 0
65497 [LOL] 역대 승강전 히스토리 [4] Leeka6971 19/04/16 6971 1
65495 [LOL] 1년만에 돌아온 LCK와 CK의 차이 - 1일차 후기 [28] Leeka9813 19/04/16 9813 4
65494 [LOL] 승강전 1일차 후기와 CK의 미래 [3] 비오는풍경8912 19/04/16 8912 0
65493 [LOL] 승강전과 챌코팀들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 [36] pony11291 19/04/16 11291 16
65492 [LOL] 요정의 부적*4 카르마 약팔이 [92] Bemanner15372 19/04/16 15372 5
65491 [LOL] 드디어 승강전이 시작됩니다. [48] Leeka11955 19/04/16 11955 3
65490 [LOL] 최근 핫이슈가 되고 있는 소나타 조합에 대한 평가 [72] 라이츄백만볼트24339 19/04/16 24339 6
65489 [기타] 세키로, 액션 게임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다. [57] 불같은 강속구14603 19/04/15 14603 14
65488 [LOL] 2019 LCK 시청자수 top5 경기 + SKT 해외 시청자수는 어느정도인가? [26] 내일은해가뜬다13304 19/04/15 1330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