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10/17 15:07:39
Name Leeka
Subject [LOL] 3년 연속 롤드컵 8강 이상 가본 팀들 목록


- EU LCS (롤드컵 역대 최고 팀 : Fnatic)

: 없음

- NA LCS (롤드컵  역대 최고 팀 : Cloud 9)


: Cloud 9  (16년 8강 / 17년 8강 / 18년 8강 진출)

- LPL (롤드컵 역대 최고 팀 : Royal Club)

* Royal Club의 경우.. 15년에 시드권 갈아끼기.. 를 해서 강등된 팀을 RNG로 바꿔끼었기 때문에..
라이엇 공식으로는 Royal Club과 RNG가 다른 팀입니다.
실제로 라이엇의 올해 롤드컵 참가팀 소개에도.. RNG는 15년에 창단한 팀으로 나옵니다. 
(RNG의 뜻도 Royal Never Give Up..  시드권 교체로 재창단하면서 붙인 이름..) 

: EDG (14년 8강 / 15년 8강 / 16년 8강)
: RNG (16년 8강 / 17년 4강 / 18년 8강 진출)

- LCK (롤드컵 역대 최고의 팀 : SKT T1)


: SKT (15년 우승 / 16년 우승 / 17년 준우승)

- LMS (롤드컵 역대 최고의 팀 : TPA)

: 없음



롤드컵에서 '3년 연속으로 8강 이상' 간 팀은

Cloud 9 / EDG / RNG / SKT.  총 4팀밖에 없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르타고
18/10/17 15:15
수정 아이콘
북체미 팀은 커리어하이로보면 TSM입니다.
물론 꾸준함은 상대도 안되지만...
다빈치
18/10/17 15:20
수정 아이콘
시즌1 준우승이 TSM이였죠?
카르타고
18/10/17 15:22
수정 아이콘
3위 였을껍니다.
2등은 AAA라고 EU(프랑스) 팀이요
다빈치
18/10/17 15:44
수정 아이콘
아.. aAa가 2위였었군요 크크크
wersdfhr
18/10/17 15:44
수정 아이콘
시즌 1 AAA 멤버인데 아직까지 현역인 대 아 즈
18/10/17 15:24
수정 아이콘
사실 시즌1은 말그대로 '그냥 역사적 의미'만 있지.. 당시 있던 수많은 대회들보다 특별히 위에 둘 구석도 없는 대회였고..

프나틱의 경우엔 그 이후에도 13 롤드컵 4강 - 15 롤드컵 4강 - 17 롤드컵 8강.. 으로 증명을 했으니 유체팀이지만..
다빈치
18/10/17 16:55
수정 아이콘
무려 프나틱 스킨이 있습니다! 크크
18/10/17 15:23
수정 아이콘
C9 리스펙
스덕선생
18/10/17 15:28
수정 아이콘
edg 웃음후보 이미지가 강한데 의외네요.
카르타고
18/10/17 15: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Edg가 저기간에 받은 평가를 보면 엄청나게 못한겁니다. 엑소더스 시절이라 중국팀이 가장 강하다는 소리를들었을때 중국내에서도 가장주목받는 우승후보였지만 4강한번 못밟았됴 같은시기 royal이 결승2회. Omg가 나진꺽고 4강간거에비하면 edg는 무기력하게 떨어졌죠. 북미의 TSM이라고나 할까요...
카바라스
18/10/17 15:43
수정 아이콘
15 edg- 스프링 우승, msi 우승. 전반기 세체팀으로 매우 기대를 모았지만 조2위로 8강, 프나틱에게 3대0 떡실신

16 edg- 스프링 준우승, 서머 전승우승, 하지만 와카팀에게 덜미를 잡히는 졸전끝에 h2k에게 1위를 내주고 2위로 8강진출. 구락스에게 3대1 완패

17 edg- skt에게 역사에 길이남을 역전패 두번을 당하고 광탈

이래서 edg가 중국에서 인기가 낮죠..
wersdfhr
18/10/17 15:51
수정 아이콘
창단 과정도 그렇게 깔끔한 팀이 아니라 어떻게든 결과로 증명해야 하는 팀인데

국내성적은 우승도 제법 많이 했는데 국제 대회 성적이 15 msi를 제외하면 좀 많이 구려서

솔직히 인기가 좋기가 힘든 팀이라고 봅니다.

만약에 8강전에 RNG 대 EDG가 펼쳐져서 천운으로 EDG가 4강간다음 타 대륙팀 만나서 떨어지면

반응이 정말 볼만할 거라고 봅니다
修人事待天命
18/10/17 15:47
수정 아이콘
EDG 14, 15, 16년도 자국 성적이 이렇습니다

LPL 2014 Spring/Summer 우승
LPL 2015 Spring 우승
2014 Demacia Cup Season 2 우승
2015 Demacia Cup Spring Season 우승
2015 Demacia Cup Summer Season 우승
2015 Demacia Cup Grand Finals 우승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6 Demacia Cup 우승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우승

그리고 그 14-16년 시즌동안 데프트-폰이 EDG 선수였죠... 둘이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롤드컵 우승하려고 왔다'라고 하니 다들 끄덕끄덕
wersdfhr
18/10/17 15:52
수정 아이콘
14는 순혈멤버로만 이룬 성적입니다.

물론 EDG에게 있어서 정말 의미있는 성적은 대부분 15~16시즌이긴 하죠
18/10/17 16:04
수정 아이콘
커리어보면 웃음후보 나올 수밖에 없죠.
커리어가 유사하게 흘러가는 팀이 바로

G2, TSM이고 킹존 커리어 얘기하면서 g2, tsm,edg 언급 되는 것도 비슷한 이유입니다.
자국내에서는 커리어가 좋은데 국제대회는 싹 말아먹는 암흑군주 스타일이니까요.
더 웃긴 건 밑의 시드 가진 팀은 성적이 좋았던 경우가 다수라는 것(g2는 h2k와 프나틱, tsm은 c9, edg는 rng와 we...)
티모대위
18/10/17 17:47
수정 아이콘
킹존은 그들에 비하면 비비기도 힘든...
18/10/17 17:52
수정 아이콘
g2는 msi 준우승 했고(...) tsm은 롤드컵 8강 가서 상대가 삼화였다는 변명이 나올 수 있는지라...
RedDragon
18/10/17 15:58
수정 아이콘
글쓴분의 분석을 다시 보자면, "3년 연속 4강 이상 간 팀"은 SKT 밖에 없군요..
NewDIctionary
18/10/17 16:33
수정 아이콘
진출한 모든대회를 결승 간팀도 SKT..
18/10/17 16:36
수정 아이콘
SKT는 그냥 3년 연속 결승...
18/10/17 17:31
수정 아이콘
롤판에서 SKT 커리어에 근접하는 팀도 없습니다.
RedDragon
18/10/17 17:35
수정 아이콘
그쵸.. 사실 13 우승도 있어서 롤드컵 3회 우승....
18/10/17 17:45
수정 아이콘
걍 벵기 3회 진출, 3회 우승
페이커 4회 진출, 3회 우승 + 1회 준우승
이게 말이 안 되는거죠...
18/10/17 18:36
수정 아이콘
팀으로서 SKT에 근접한 팀 조차 거의 없을걸요
블루태그
18/10/17 21:20
수정 아이콘
젠지가 올해 실패하는 바람에...
지금은 성적이 안좋지만 SKT의 커리어는 정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067 [LOL] 리라 보기전 간단히 알아보는 규정 설명 [17] 빛돌v8031 19/07/04 8031 7
66066 [LOL] [롤토체스]3렙~4렙 렙업골드 투자할만한가 [11] polka.8456 19/07/04 8456 0
66064 [LOL] 리프트 라이벌즈 시청 간략 가이드 및 잡담 [15] Leeka8048 19/07/03 8048 3
66061 [LOL] 롤토체스 아이템 관련 팁 [51] Leeka12137 19/07/03 12137 0
66059 [LOL] 롤토체스 패치 예정 사항들 (이번달 중) [48] Leeka17170 19/07/02 17170 0
66058 [LOL] 아케이드 패스 곧 TFT에도 적용될 예정 [6] 스위치 메이커8774 19/07/02 8774 0
66057 [lol] 롤토체스 초보유저를 위한 공략. '패'를 보면서 '메인덱' 정하기. [35] 월광의밤21185 19/07/02 21185 20
66056 [LOL] 리프트 라이벌즈 주요 일정 정리 [17] Leeka8308 19/07/02 8308 0
66050 [LOL] [번역] 29세 조커가 말하는 LCK에서의 뜻밖의 여정 [15] becker13946 19/07/02 13946 13
66049 [LOL] 리프트 라이벌즈 티켓이 안팔리는 이유 [28] Leeka10668 19/07/02 10668 2
66047 [기타] 전략적 팀전투에서 종결조합들과 그 상성 [60] polka.11028 19/07/01 11028 4
66046 [LOL] 인상깊은 롤판 어록들 [116] roqur16910 19/07/01 16910 4
66044 [LOL] TFT(전팀전) 어떤 시너지 조합이 좋을까 [88] 우르쿤14067 19/07/01 14067 7
66042 [LOL] 깃털만큼 가볍게 적어보는 롤토체스 소감 [36] 도축하는 개장수8626 19/07/01 8626 1
66040 [LOL] 롤판 선수들의 계약기간을 알아보자. [19] Leeka24885 19/06/30 24885 1
66039 [LOL] IG의 에이스, 루키가 돌아오다 [17] 신불해11052 19/06/30 11052 6
66038 [LOL] 롤챔스 휴식기 전, 4주간의 경기 종합 잡담 [15] Leeka8047 19/06/30 8047 4
66037 [LOL] SKT - 젠지 빛돌 방송 정리 [27] roqur13452 19/06/30 13452 3
66033 [LOL] 리프트 라이벌즈 앞둔 LPL 중간 순위.jpg [27] Ensis9266 19/06/29 9266 1
66031 [LOL] TFT) 모바일로 쓰는 불친절한 공략글 [19] 9128 19/06/29 9128 2
66029 [LOL] (TFT)오토체스 비숍8이 보는 롤토체스와 오토체스 차이점 [22] 마빠이10655 19/06/29 10655 0
66028 [LOL] 롤토체스 짧은 후기 [12] Leeka8515 19/06/29 8515 1
66027 [LOL] 롤토체스 오늘 오픈했습니다. [30] 월광의밤11928 19/06/29 1192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