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2/08 11:24:21
Name 파핀폐인
Subject [LOL] 2017 라이엇 주관 국제 대회 정리
라이엇이 새로운 국제대회 포맷을 내놓았습니다. 그런데, 찾아보기 힘드시고 정리가 깔끔하게 되어있지 않아 혼란스러운 분들이 많으실거라 예상됩니다. 이 글은 새로운 포맷을 깔끔하게 글과 그림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유익하게 읽으시면 좋겠네요! :)

2017년을 맞아 라이엇이 국제대회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아직 먼 미래의 대회지만 미리미리 살펴보는 재미가 있겠죠? 그럼 알아봅시다.

-들어가기에 앞서....-

- 이번 MSI와 롤드컵은 모든 지역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또한, 더 이상 와일드카드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2015 MSI, 2015 Worlds, 2016 MSI 그리고 2016 Worlds의 결과에 따라 시드권을 제공합니다.

- 새로운 포맷 : Play In

-MSI와 롤드컵에 모든 지역을 참여시기키 위해 새로운 제도, Play In 이라는 제도를 사용합니다.
-Play In은 조별예선 전에 치뤄질 예정입니다.

-MSI 2017-

- 기간과 장소 : 4월 28일 ~ 5월 21일, 브라질

Play In Stage : 4월 28일 ~ 5월 1일 / 5월 3,4일 / 5월 6일 - 상파울로 CBLOL 스튜디오
조별 예선        : 5월 10~14일 - 리우 Jeunesse Arena
토너먼트 스테이지 : 5월 19~21일 - 리우 Jeunesse Arena

- 참여하는 지역 (메이저 지역은 볼드체로 표기했습니다):

BR
CN
CIS
EU
JP
KR
LAN
LAS
NA
OCE
SEA
LMS
TUR

총 13팀 참가

-시딩
라이엇의 시딩은 지난 2년 (15, 16년)의 성적을 기준으로 제공.



보시면 알겠지만, NA와 LMS는 EU, CN, KR보다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못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 두 지역은 Play In Stage에 참여해야 합니다.

- Play In 포맷



1라운드 : BR, CIS, JP, LAN, LAS, OCE, SEA, TUR 8개의 지역이 임의로 두 조로 나뉘어 단판제 -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쟁합니다.

2라운드 : 1라의 두 승자 (1조, 2조의 승자들)가 임의로 NA 혹은 LMS 지역의 팀과 붙게 됩니다. 5전제를 펼치게 되며 승자는 자동적으로 국제대회 조별예선에 안착하게 됩니다.

3 라운드 : 2라운드에서 패배한 두 팀이 맞붙습니다. 역시나 5전제를 펼치며 승자가 조별예선에 안착하게 됩니다.

정리 : Play In 제도에서 총 3팀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죠.

- MSI 결과로 인한 롤드컵 시딩은?
(예시입니다.)



결과가 이렇다고 가정할 경우 :

작년처럼 1~4등 지역에겐 롤드컵에서 1시드가 자동적으로 주어집니다.

5~6등에 속해있는 CIS같은 시드를 한 장 더 받게됩니다.즉, 1등팀이 롤드컵 조별예선 자동 진출, 그리고 CIS 2등팀은 Play In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왜냐면, 소위 말하던 와일드카드 지역에서 최고의 성적을 냈기 때문이죠.

-그래서, 본선은 몇 팀이 경쟁하는건데?

설명이 길었습니다. 본선 (조별예선부터)은 총 6팀, KR+CN+EU+ Play In 3 팀 = 6팀,이 참여하게 됩니다.

-World Championship 2017-

기간과 장소 : 9월 23일 ~ 10월 29일, 11월 4일 , 중국

Play In Stage : 9월 23~26일 / 9월 28~29일 , 우한 Wuhan Sports Center Gymnasium
조별 예선       : 10월 5~8일 / 10월 12~15일 , 우한 Wuhan Sports Center Gymnasium
8강               : 10월 19~22일 , 광저우 Guangzhou Gymnasium
4강               : 10월 28~29일 , 상하이 Shanghai Oriental Sports Center
결승              : 11월 4일 , 베이징 Beijing National Stadium (Bird's Nest)


- 참여하는 지역 (메이저 지역은 볼드체로 표기했습니다):

BR
CN
CIS
EU
JP
KR
LAN
LAS
NA
OCE
SEA
LMS
TUR

총 24팀 참가

여기서 주의할 점 :

-이제 LMS지역은 3장의 시드를 받습니다.

-한국은 Play In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잘하니까 ^^

-MSI 결과는 롤드컵에 영향을 줍니다.

-몇몇 지역들은 MSI 결과로 인해 두번째 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위 와일드카드라 불리던 지역은 MSI에서 그 지역들 중 최고의 성적을 낸 지역에게 한장을 더 줍니다. (MSI 참조)

-포맷

-Play In Stage




Play In Stage를 살펴보죠. 총, 12지역에서 한 팀씩 뽑아, 12팀이 참여합니다.

참여 지역은 : BR, CIS, JP, LAN, LAS, OCE, SEA, TUR 에서 한 팀씩 + CN, NA, EU, LMS의 3번째 시드 (즉 롤드컵 팀들 중 3위로 올라온팀들) 이 경쟁합니다.

1라운드 : 3팀씩 임의로 갈라져서 4개의 조를 이룹니다. 단판제 -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하여 한 조에서 2팀, 즉 총 8팀이 2라운드에 진출합니다.

2라운드 : 8개의 팀이 임의로 짝지어져 5전제를 펼칩니다. 이기면 조별예선에 진출합니다. 그렇게 4개의 팀을 조별예선에 진출시킵니다.

Q: 응? 저 공석 하나는 뭐니? 
A: 와일드카드라 불리던 지역에서 최고의 성적을 낸 팀에게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자리입니다. 와카 지역 (지금은 사라진 개념)에게 인센티브를 준 셈이죠.

그렇게 총 16팀이 뽑힐 예정이며, 그 후는 전과 같습니다.

그럼, 더욱 풍성해진 2017 라이엇 국제 대회, 재밌게 즐겨봅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hysiallergy
17/02/08 11:28
수정 아이콘
일본팀이 선전해서 그룹 스테이지 진출하면 한일전도 나오겠네요;
17/02/08 11:38
수정 아이콘
한 눈에 들어오는 룰은 아니지만, 익숙해지면 더 재밌어질거라 믿습니다
다만 롤드컵 플레이인 2라운드 매칭 운이 조금 아쉽긴 하네요. 저것도 조별리그로 치루면 좋을텐데... 너무 길어지려나
결정장애
17/02/08 11:45
수정 아이콘
중국 유럽 대만 북미 팀에게 2장의 시드를 주고 play-in을 통과할 경우 추가적으로 지역별 한 팀이 더 올라올 수 있는 방식은 맘에 드네요
어리버리
17/02/08 12:24
수정 아이콘
롤드컵이 한국과 가까운 중국에서 벌어지고 한국팀들은 라운드별 중간에 휴식시간 4일 동안 급하게 한국 왔다갔다 할 수는 있겠네요. 하지만 왠만하면 현지에서 장소 옮기고 연습하겠죠. 중국에서 한국 솔랭하면 할만한가요? 괜히 중국솔랭 할 필요 없이 한국거 하는게 더 좋을거 같은데...
루키즈
17/02/08 12:37
수정 아이콘
지금도 중국에서 한국솔랭하는 선수들 꽤있죠
아마존장인
17/02/08 12:43
수정 아이콘
그쵸 롤드컵나올정도로 수준있는선수는 거의다한다고봐도되죠
17/02/08 12:39
수정 아이콘
한국에 베이스캠프를 언제 차리려나
아마존장인
17/02/08 12:42
수정 아이콘
지금이랑 거의 똑같은데
그냥 예선도 본선처럼 중계해서
1)예선에 대한 관심도 증폭
2)1과 연계하여 play in진출팀에 스토리를 만들어줘서 [진짜 본선]에서의 무관심경기를 줄여보겠다
는 작전인것같네용
gallon water
17/02/08 12:50
수정 아이콘
한국은 Play In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잘하니까 ^^ 크크 이건 맘에 드네요
뭔가 더 다른 지역에 기회를 많이준다는 점에서 기대됩니다
엔타이어
17/02/08 13:09
수정 아이콘
한국을 제외한 나라들끼리 열심히 경쟁해서 한국과 붙을 팀을 뽑는 방식이군요.
파란무테
17/02/08 13:09
수정 아이콘
더블 라운드 로빈이 뭐죠? 풀리그라는 말인가요?
17/02/08 13:14
수정 아이콘
경기를 두 번씩 하는 풀리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호리 미오나
17/02/08 15:44
수정 아이콘
각 팀과 홈앤어웨이처럼 2번씩 붙는 풀리그입니다.
레드/블루 차이 때문에 롤에선 거의 정착됐죠.
희노애락..
17/02/08 13:18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롤드컵전에 한국으로 많이 오겠네여
달걀먹고빵구빵
17/02/08 13:25
수정 아이콘
lck에서도 play in에 들어가면 재밌을텐데 아쉽네요. 볼수있는 경기 수도 줄어들게되고 게다가 양학하는 재미, 다른지역이 어떻게든 잡아보겠다고 하는 발악에 겨운 깜짝 전략같은것도 볼수있으면 참좋았을 텐데요.
17/02/08 13:54
수정 아이콘
정리 감사합니다!
17/02/08 14:23
수정 아이콘
중국이니까 죄다 한국으로 전지훈련 올삘...
꾸르륵
17/02/08 14:59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msi 결승이 5월 21일이면 결승까지 간 팀은 대체 언제 쉬고 섬머시즌을 준비하라는건지..
으촌스러
17/02/08 15:15
수정 아이콘
4강전과 결승 사이에 3,4위전을 3판2선승으로 해서 3위팀과 4위팀을 각각 결정했으면 좋겠는데..결승전 일정 조정없이 전날이나 전전날에요.
그건 안되나 보군요.
어리버리
17/02/08 16:28
수정 아이콘
8강과 4강 사이에 5일 휴식. 4강과 결승 사이에도 역시 5일 휴식이 있으니 한국팀들은 마지막 경기 마치고 비행기 타고 한국 넘어와서 연습하다가 전 날쯤 다시 중국 해당 도시로 넘어가도 되겠네요. 가까우니까 이런건 좋군요 크크.
17/02/09 08:58
수정 아이콘
3팀에서 서로2판씩풀리그해서 계속 1:1:1 나오면 무한재경기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816 . [34] 삭제됨10146 17/02/20 10146 0
60815 [히어로즈] 약 한달간 히오스를 해보면서 느낀점 이것저것 [56] 김블쏜11465 17/02/20 11465 3
60814 [LOL] 콩두는 물론이고 방송을 하는 팀들은 채팅매니저부터 구하는게 어떨지? [74] 바스테트11874 17/02/20 11874 4
60813 [기타] 중국에서 넘어오는 모바일게임들 [55] 바이휴10282 17/02/20 10282 0
60812 [스타2] [깜짝소식] 트위치의 VSL 스타2 리그가 다시 시작하네요. [15] 삭제됨11799 17/02/20 11799 4
60811 [히어로즈] L5vsMVPB. 이번주 금요일 6시, 운명의 대결. [12] 꽃이나까잡숴6709 17/02/20 6709 3
60810 [기타] [섀버] 2/13~2/19 마스터 기준 직업별 승률 [18] Leeka7434 17/02/20 7434 0
60809 [기타] [조조전] 무과금 유저 섬멸전 1% 달성 [17] HJK10241 17/02/20 10241 0
60808 [스타1] ASL 팀배틀에서 개인적으로 보고싶은 대결방식들 [9] 성수9421 17/02/19 9421 0
60807 [스타1] 점점 늘어나는 Proleague, 늘어나는 Problem(수정) [192] 갓영호신16556 17/02/19 16556 6
60806 [기타] [스파5] 재능이 꽃피는 모습은 참 아름답더라 [22]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097 17/02/18 12097 4
60805 [히어로즈] 쉽고 강한 탱바리안 공략. [17] 세이젤8245 17/02/18 8245 2
60804 [기타] [PS4] 블러드본이 어렵다고 접은 게이머들에게 바치는 영상 [32] 탈리스만12964 17/02/18 12964 2
60803 [기타] [섀버] 돌겜 대신 섀버를 하게 된 이유 [76] Leeka12896 17/02/18 12896 3
60802 [LOL] (구)카르마를 기억하십니까? [39] LowCat14105 17/02/18 14105 2
60801 [LOL] [자챔발] 침입자 '크렉클' [2] 을씬5710 17/02/18 5710 0
60800 [기타] 섀도우버스의 선후공 승률 이야기 [34] Leeka9202 17/02/17 9202 0
60799 [LOL] [후추통신] 호주2부 대대적인 징계 웨이브 외 [16] 후추통9901 17/02/17 9901 0
60798 [기타] [포켓몬고] 이브이 -> 에브이, 블래키로 진화 시키기 [17] homy13362 17/02/17 13362 0
60796 [LOL] G2가 유럽 LCS 1년 무패의 대기록을 달성했습니다. [30] Leeka9801 17/02/17 9801 0
60795 [하스스톤] 매머드의 해가 곧 시작됩니다 [125] 김치보단단무지15485 17/02/17 15485 2
60794 [하스스톤] 요새 느끼는 하스스톤의 단점 [54] 아이군13031 17/02/16 13031 2
60792 [LOL] 아무도 안 궁금한 군인 근황!! [20] ReSEt11185 17/02/16 1118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