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9/20 03:08:43
Name Davi4ever
File #1 WP(160918).jpg (761.7 KB), Download : 26
File #2 WP(160918)_race.jpg (174.7 KB), Download : 23
Subject [스타2] 2016년 9월 셋째주 WP 랭킹 (16.9.18 기준) - 크로스 파이널을 앞두고




2016년 9월 셋째주 WP 랭킹입니다.
코파 인터내셔널의 8강 이상 결과가 반영되었습니다.

박령우가 6주 연속 통합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통합랭킹 2위 김대엽과의 점수차는 905점으로 지난주와 비슷합니다.

저그랭킹 1위 역시 18주 연속 박령우입니다. (통합랭킹 1위)
저그랭킹 2위 강민수(통합랭킹 8위)와의 점수차는 1406.3점으로 100점 이상 줄었습니다.

김대엽이 4주 연속 프로토스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통합랭킹 2위)
프로토스랭킹 2위 김도우(통합랭킹 4위)와의 점수차는 298점으로 약간 줄었습니다.

전태양이 9주 연속 테란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통합랭킹 3위)
테란랭킹 2위 변현우(통합랭킹 6위)와의 점수차는 110.2점으로 지난주와 비슷합니다.
크로스 파이널 결과에 따라서는 1위가 바뀔 수 있습니다.


Top 10의 종족비는 프로토스 6, 저그 2, 테란 2로 지난주와 동일합니다.

Neeb는 코파 인터내셔널 4강에 진출하며 14위로 1단계 상승,
프로토스랭킹 역시 8위로 1단계 상승했으며
코파 인터내셔널 우승을 차지한 Snute가 17위로 11단계 상승,
저그랭킹은 4위로 5단계 올랐습니다.
준우승자 ShoWTimE은 18위로 2단계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0위로 1단계 올랐습니다.
Top 20의 종족비는 프로토스 11, 테란 5, 저그 4로 지난주와 동일합니다.
Snute가 진입하고, 이병렬이 밀려났습니다.

코파 인터내셔널 4강 진출자인 uThermal은 21위로 8단계 상승,
테란랭킹은 6위로 3단계 상승했습니다.

저그랭킹에서 저그 투톱이라 할 수 있는 박령우-강민수 바로 뒤에
Nerchio와 Snute가 있는 부분이 특이한 점인데
그만큼 한국 리그에서 최근 박령우-강민수 외의 저그들이 고전했고,
점수를 얻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erchio가 한국 선수들과의 경쟁에서도 정상급 저그의 면모를 보여줄지도
KeSPA CUP의 관전포인트 중 하나가 되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9/20 15:52
수정 아이콘
너치오 저그 3위 보고 샤웃크래프트도 반영을 한건가 했는데, 그냥 잘하는 저그가 2명 밖에 없어서 그런거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119 [LOL] 14롤드컵 MVP, 서포터의 크랙 마타. [67] Leeka13023 16/10/14 13023 4
60118 [기타] [포켓몬] 국내 배포 포켓몬 소식 정리 [5] 좋아요6367 16/10/14 6367 0
60117 [LOL] 삼성이 걸어온 길을 정리해봤습니다 (..) [62] 바스테트11169 16/10/14 11169 13
60116 [히어로즈] 성공하지 못했다고 게임의 개성이 개선해야할 단점이 되어야만 하는가 [232] 삭제됨22870 16/10/14 22870 31
60115 [LOL] 시즌2~6 북미 롤드컵 성적 [41] 오즈s8730 16/10/14 8730 2
60114 [기타] 닦이가 될 것이냐 갓겜이 될 것이냐 [14] 좋아요9847 16/10/13 9847 0
60113 [LOL] SKT VS RNG [42] Leeka13057 16/10/14 13057 3
60112 [기타] PS VR 나왔습니다. [25] 오즈s8764 16/10/13 8764 1
60111 [오버워치] 아재의 오버워치 심해 체험기 [34] 카스트로폴리스9717 16/10/13 9717 1
60109 [LOL] 롤드컵 관련 여러가지 규정들 [14] Leeka7943 16/10/13 7943 1
60107 [LOL] 페이커가 데일리닷 'e스포츠에서 가장 위대한 프로게이머'로 선정되었네요. [369] FlashVision18427 16/10/13 18427 0
60106 [LOL] Whitezz (imay의 owner) 의 실언과 사과. 한국선수들이 받는 대우에 대해. [89] 랜슬롯12178 16/10/13 12178 8
60105 [스타2] 최성훈 선수가 글로벌 파이널을 기권했습니다. [14] 보통블빠10282 16/10/13 10282 0
60103 [LOL] summoning insight ep. 78 (2) [38] 파핀폐인9796 16/10/13 9796 39
60102 [LOL] summoning insight ep. 78 (1) [10] 파핀폐인7976 16/10/13 7976 28
60101 [LOL] 점점 정이 떨어져가는 롤이네요. 아님 제가 잘못된걸까요? [147] 잔혹사14148 16/10/13 14148 1
60100 [LOL] 지극히 주관적으로 뽑아본, 역대 올스타 라인업 + 락스 스크 삼성에 대한 잡담 [38] PLoLiA11976 16/10/13 11976 2
60099 [기타] [WOW] 징징 주의. 군단 길잡이를 완료하고 군단 후기..(연금죽을맛) [33] 아침바람11048 16/10/12 11048 0
60098 [오버워치] MGA 2016 과 APEX 챌린저스, 그리고 프로팀 [8] JiAn8367 16/10/12 8367 1
60097 [LOL] 내가 RNG라면 어떻게 준비를 할까? [80] 랜슬롯13187 16/10/12 13187 5
60096 [LOL] [레딧] '북미팀은 한국에서 전지훈련을 하지 말아야 한다.' [189] The Special One17821 16/10/12 17821 6
60095 [스타1] 테저전 레메와 마인 불발 [46] 꺄르르뭥미11324 16/10/12 11324 2
60094 [기타] [WOW] 흑징징 이야기 [54] 흑마법사12715 16/10/11 127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