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7/18 00:02:47
Name 후추통
Subject [LOL] 오리겐의 상황이 정말 좋지 않은 듯 합니다.
며칠 전, 오리겐의 사무국에 있는 GM , 치프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의 오리겐 사무국 내의 주요 인사들이 팀을 줄줄히 이탈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데일리닷이 관련자의 발언을 통해 보도한 기사가 있는데요.

http://www.dailydot.com/esports/origen-staff-exodus-problems/

오리겐 스태프들의 잇다른 팀 이탈 문제는 다름아닌 사무국 내의 고위 직급자들과 하급자들간의 갈등 문제도 있지만 주요 이유는다름아닌 보수와 임금 체불 문제때문이라는 군요. 일단 직원들에게 2개월 이상 임금이 체불된 경우도 있고, 심지어는 지난 롤드컵에 팀에서 코치를 하던 사람들에게도 아직 그때의 임금을 지불하지 못하고 있다네요.

한국의 대기업 위주의 프로게임단 창설도 장단점이 있지만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하지만 팀을 음지에서 묵묵하게 지원하고 있는 사무국 직원에 대한 임금체불이 심각한 상황인데...

TIP의 경우는 아예 선수들 식비까지도 지급하지 않아서 문제였고, 오리겐은 기본적으로 주어야할 직원 월급이 체불되는 상황이니...1부팀이 이러니 2부팀 상황은 안봐도 블루레이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18 01:49
수정 아이콘
그 동안 재정난이 문제였다면 팀원들이 탈주하고 오랬동안 대체원딜을 못구해서 페케가 직접 원딜로 뛰었던게 이해가 가네요.
그나저나 엑스페케가 팀 창립자이자 소유자로 알고 있는데 운영을 어떻게 했길레 이지경이.....
情神一到何事不成
16/07/18 02:21
수정 아이콘
준우승팀의 봇듀오가 준우승 직후에 타팀으로 이적한다는게 정말 이해가 안갔는데 이런 속사정이 있었네요.
엘에스디
16/07/18 14:25
수정 아이콘
오리헨 해명글 올라왔네요. 긁어 부스럼 느낌이지만...
https://origen.gg/2016/07/clarification-of-the-rumors-of-origen-staff/

이탈한 사람들은 정식 계약을 맺지 않은 자원봉사자였으니 지불할 임금도 없다는 주장인 것 같은데...
실제로 부려먹으면서도 정식 계약도 안하고 악덕고용주 노릇 했다는 소리 아닌지 이거 원 =_=;;;
후추통
16/07/18 15:5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탈한 사람들 직위를 보면 오리겐의 해명은 일견 이해가 되질 않는게 이탈한 주요 4인의 직위를 살펴보면 팀 사무국 전체를 책임지는 GM , 팀 홍보를 책임진다고 보는 치프 에디터인데 이 사람들이 과연 정식계약 안맺은 자원봉사자라고 보긴 어렵죠. 무언가 눈가리고 아웅하는 느낌같습니다.
엘에스디
16/07/18 16:06
수정 아이콘
케바케일 것 같아요. 데일리닷 원문에서 '주기로 한 장비를 받지 못했고, 정규 임금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라고 언급한 걸 보면 일부 스태프들에게는 스폰서받은 장비 등을 보수로 주기로 구두 계약을 한 다음, 제대로 지급하지 않고 부려먹기만 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GM이나 코치진의 경우에는 '임금 받을게 밀려 있다'라는 주변인의 언급, '계약서를 제공하지 않았다'라는 증언 등이 언급되는 걸로 봐서는 뭐...
유럽쪽 구단들이 주먹구구로 운영되는 건 (그리고 엑스페케 엄마가 오리헨을 맘대로 운영한다는 건)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라서, 1. 넷상에서 모집한 자원봉사자들한테 감투만 그럴싸하게 씌워주고 일 부려먹었다 2. 인맥으로 모은 사람을 계약서 안 쓰고 적당히 부려먹다가 잘라버렸다의 두 경우가 동시에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 것 같아요.
후추통
16/07/18 16:58
수정 아이콘
저번에 팀리퀴드의 오너인 LiQuiD112가 SI에 출현해서 한 말인데, 유럽지역에서 "organization", 그러니까 조직화 된 프로게임단은 오로지 프나틱 뿐이다 라는 말을 한적 있습니다. 즉 단순한 프로게임단이 아닌 전문적인 게임단"기업"체제를 갖춘 유일한 유럽팀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기업팀이 뛰어들면서 판이 발전한 한국이나 점차 게임단이 아닌 종합게임스포츠"기업"이 되가는 북미에 비하면, 유럽은 아직까지도 "게임단"이라는 측면이 너무 강한게 점차 커지는게 아닌가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773 [LOL] ROX와 KT를 응원합니다. [94] 다크템플러8499 16/08/17 8499 6
59772 [LOL] SKT T1은 우승경력/세체급 코치, 선수를 영입해야 한다 / 김택용을 기억하며 [97] 쮸쀼쮸쀼쮸쀼11392 16/08/17 11392 0
59771 [히어로즈] 스타크래프트 테마 "기계 전쟁"이 공개되었습니다. [24] 은하관제8508 16/08/17 8508 5
59769 [기타] 대항해시대3 연재(10) - 성창과 흡혈귀 [12] guldan15318 16/08/16 15318 10
59767 [LOL] 2016 LCK 최고의 선수 [145] 딴딴13507 16/08/16 13507 4
59766 [기타] 블리자드의 큰 숙제라고 생각하는 스타2와 히어로즈 [53] Encablossa16120 16/08/16 16120 4
59765 [기타] [WOW] 아트 오브 워크래프트 다녀왔습니다. [6] Sgt. Hammer7810 16/08/16 7810 0
59764 [히어로즈] 진입장벽으로 사기치다 망한 케이스 [115] 정신차려블쟈야13609 16/08/15 13609 5
59763 [기타] [PS4] 나의 콘솔 입문기 4 - 용과 같이 극 [15] 탈리스만7751 16/08/15 7751 0
59762 [스타1]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테란 3인방.. [49] 삭제됨19260 16/08/15 19260 2
59761 [스타2] 스타2는 애시당초 차원관문부터 설계가 잘못된 게임이 아닐까 싶네요. [37] 에버그린15736 16/08/15 15736 2
59760 [기타] 상반기 국내 게임사 매출순위 Top20 (굳건한 3N) [16] 뀨뀨8724 16/08/15 8724 1
59759 [스타2] 이번 변화 예고. [16] mooooon8034 16/08/15 8034 3
59758 [스타2] 공허의 유산 - 멀티플레이어 디자인 변화 예고 [72] Forwardstars11772 16/08/15 11772 2
59757 [LOL] 유럽에도 퍼즈메타가 나왔습니다. [8] MystericWonder8866 16/08/15 8866 0
59756 [LOL] SKT T1 게임단에게 감사합니다. [44] 소녀시대811771 16/08/14 11771 14
59755 [오버워치] 조금은 이른 시즌1 경쟁전 리뷰 : 현실적인 평점 상승법 [11] 오만과 편견11054 16/08/14 11054 3
59754 [기타] [WOW] 커먼그라운드 - 아트 오브 워크래프트 전시회 간단 후기입니다. [8] The xian8306 16/08/14 8306 3
59753 [LOL] 어제 블랭크 명장면.gif [213] Vesta23077 16/08/13 23077 11
59751 [하스스톤] 카라잔 1주차 카드들 후기 [54] Ataraxia111470 16/08/13 11470 1
59750 [기타] [포켓몬] 색이 다른 디안시 배포 이벤트 후기 [11] 좋아요6500 16/08/13 6500 0
59748 [기타] (스압) 방 안에서 세계여행 - GeoGuessr [18] 다혜헤헿7137 16/08/13 7137 4
59747 [LOL] kt가 SKT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한 경기였던거 같습니다. [30] 비타10008021 16/08/13 8021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