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9/27 19:54:38
Name 아름다운저그
File #1 97라인상금.PNG (13.8 KB), Download : 21
File #2 2015_09_27_19;54;08.PNG (325.7 KB), Download : 18
Link #1 http://aligulac.com/earnings/
Subject [스타2] [우왕] 스타크래프트2 막내 97년생의 3인방의 상금을 알아 봅시다.




PGR21 여러분 즐거운 추석 잘보내고 계십니까??
저는 일단 튀김과의 전쟁을 끝내고 조금 잉여롭게 시간이 남게 되었습니다.  심심해서 여러 사이트를 눈팅하던 도중에 스타크래프트2의 상금 랭킹 관련 사이트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거기서 여러가지 많은 흥미로운 자료를 찾게 되었고 스타크래프트2의 막내 게이머인 97년생 게이머들은 얼마나 많은 상금을 획득했는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직접 검색을 해봐서 이승현,장현우,조성주 세 선수의 데뷔때부터 지금까지 벌어들인 상금을 종합해 보았습니다.



우선 97년생 저그 이승현 선수의 상금 랭킹이 가장 높았습니다. 97년 게이머 3인방 중 최고의 커리어를 자랑하고 이승현 선수는 자유의 날개 시절부터 GSL 뿐만 아니라 MLG와 같은 상금이 높은 대회들을 우승하면서 차곡차곡 상금을 쌓아 올리는게 가장 크게 작용한  것 같습니다.

97년생 상금랭킹 2위에 자리 잡고 있는 조성주 선수는 자유의 날개 시절에는 빠른 데뷔를 제외하고는 딱히 두각을 나타낸 것이 없었으나 부단한 노력을 통해서 군단의 심장에서 테란의 차세대 주자로 활약하게 되었으며 결국 97라인 상금랭킹 2위를 확보합니다.

마지막으로 눈물의 세레모니를 선보인 장현우 선수입니다. 97년생 중에서 가장 먼저 두각을 나타낸 장현우 선수는 2012년 당시에도 팀리퀴드 스타리그에서 이승현 선수를 꺽고 우승하면서 97년생 중 가장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기세는 자유의 날개로 진행된 WCS 출범에서도 빛을 발하여 글로벌 파이널에서 준우승을 거두는 등 큰 활약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군단의 심장에 들어서면서 크나큰 부진을 겪으면서 2012년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상금의 변화가 없이 쭈욱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상금을 획득했는지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됩니다.
2011년을 제외하고 항상 10위권에 랭크된 이승현 선수의 상금 획득 내역입니다.
http://aligulac.com/players/3-Life/earnings/

자유의 날개라는 인고의 시간을 딛고 군단의 심장에서 상금 랭킹을 올리기 시작한 조성주 선수의 상금 획득 내역입니다.
http://aligulac.com/players/49-Maru/earnings/

자유의 날개에서 충분히 활약했으나 군단의 심장에서 부진한 장현우 선수의 상금 획득 내역입니다.
http://aligulac.com/players/2-Creator/earnings/

97라인 3인방 선수들 중에서는 추석에 용돈 받을 걱정이 아닌 꼬꼬마  친척들에게 오히려 더 줘야하는게 아닐지요?? 크크크
PGR 여러분 다들 즐거운 추석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근성러너
15/09/27 19:56
수정 아이콘
형을 형이라부르지못하고..!
아름다운저그
15/09/27 19:56
수정 아이콘
이승현:내 상금의 반도 안되는 녀석이!!! 크으..
놓치고나니사랑
15/09/27 20:03
수정 아이콘
부들부들부들
15/09/27 20:04
수정 아이콘
조성주랑 장현우가 2배 차이도 안나는건 놀랍네요. 워낙 장현우가 암흑기가 길어서 그런가...
아름다운저그
15/09/27 20:07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가 군단의 심장 본격적으로 전성기를 두각 했을때 WCS 2013년 상금풀이 상당히 적었습니다.(시즌 파이널이나 글로벌 파이널을 위해서 WCS 지역대회들 상금이 지나치게 줄어들었죠) 물론 조성주 선수는 그 이후로도 국내에서 꾸준히 4강,8강을 기록했으나 역시 상금은 한방이 진리입니다... 굵은 대회의 사나이 김유진 선수같은 경우는 1억 대회 두번 우승(2013 글로벌 파이널,2014 iem 월챔)으로 상금 랭킹이 상당히 높은 랭킹입니다.
Otherwise
15/09/27 21:2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장현우 선수 wcs 그파 준우승자 출신이죠.
15/09/27 22:01
수정 아이콘
글 써서 남 주기 대회 참가글은 [추천] 말머리로 시작하는 댓글을 집계합니다. 짧은 댓글도 좋으니 [추천] 많이 달아주세요~
kylemong
15/09/28 16:39
수정 아이콘
[추천] 마루 커여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858 [LOL] [OGN] 10월 3일 롤드컵 TV 생방송 지연 안내 (온라인 정상 중계) [22] 온게임넷8362 15/10/03 8362 0
57857 [LOL] 롤드컵 1,2일차 간단 점검 및 차후 예상 [22] becker9027 15/10/03 9027 4
57855 [LOL] 롤드컵 2일차 해외 분석 데스크 요약. [49] 줄리13353 15/10/03 13353 31
57854 [LOL] [롤드컵] 2일차 조이럭 요약 분석 모음 [16] JoyLuck10606 15/10/03 10606 28
57853 [스타2] 공허의 유산 10월 3일자 밸런스 패치 & UI 3.0 패치 [9] 꼬깔콘7325 15/10/03 7325 0
57852 [LOL] [롤드컵] 1일차 조이럭 요약 분석 모음 [10] JoyLuck7882 15/10/03 7882 12
57851 [LOL] 스피릿 선수 감사합니다 [42] NorthBank9493 15/10/03 9493 9
57850 댓글잠금 [LOL] 2015 LOL World Championship 온게임넷 통역에 대해서.. [481] Polar Ice20172 15/10/03 20172 13
57849 [LOL] KeSPA, 롤드컵 기념 네이버 V앱 개설! - 독한 인터뷰 첫 방송 안내 [2] 한국e스포츠협회5495 15/10/02 5495 1
57848 [LOL] 롤드컵 1일차 skt vs h2k koo vs png 레딧 반응 [26] 안암증기광11830 15/10/02 11830 4
57846 [히어로즈] 결승전 각 팀의 슈퍼리그 기록들 [15] 레가르5167 15/10/02 5167 6
57845 [하스스톤] 예능덱으로 즐겨봅시다. 볼트론 흑마! [12] 쉬군10391 15/10/02 10391 0
57844 [스타2] 공허의유산 10월1일 커뮤니티 피드백 [49] 들쾡이7912 15/10/02 7912 0
57843 [LOL] 2015시즌 LoL 월드 챔피언십 일정을 서비스합니다. [12] kimbilly8417 15/10/01 8417 7
57842 [기타] 데빌메이커:도쿄 서비스 종료. 종료 전 있었던 소소한 이야기들.. [27] 이걸어쩌면좋아9295 15/10/01 9295 4
57841 [하스스톤] 대마상시합에서의 미드냥꾼 공략 (상) [16] 신비주의9655 15/10/01 9655 4
57840 [스타1] 테프전 프로토스의 화끈한 테란 조이기라인 돌파 모음.avi [11] SKY929635 15/10/01 9635 0
57839 [LOL] 롤드컵의 숨겨진 기대주들 - "Sleepers" 알아보기 [20] becker8533 15/10/01 8533 1
57838 [기타] 큐플레이(구 : 퀴즈퀴즈)가 서비스를 종료합니다. 그리고 저의 짤막한 플레이 기억들. [24] 희야16185 15/10/01 16185 1
57837 [기타] 단군 김의중 프리선언 [85] 이홍기19962 15/10/01 19962 1
57836 [LOL] 이번 대회 한국팀의 첫 패배는 언제가 될까요? [60] 만트리안9468 15/10/01 9468 0
57835 [스타1] For the "BEST" [3] DEVGRU10892 15/10/01 10892 4
57834 [스타2] 스포티비의 사과를 요구합니다. [29] 치킨과맥너겟10498 15/10/01 10498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