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4/20 23:03:52
Name Rated
Subject [기타] [스타1] 그 선수를 아시나요? 망테 박정욱
슈퍼파이트때 우승기라인 사람이 망했어요만 수십번 해서 욕먹던 시절 그 망한사람이 바로 박정욱 이죠

Ever클랜 의 테란유저였고 세탁소(STX SOUL) 에 2006년 1차지명 되어서 세탁소에 영입이 되었습니다.

2007년 전기리그 신인왕

진영수와 테란라인 원투 펀치 강력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전무후무한 저그전 전승의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정욱 선수의 저그전 기록은 8전 8승입니다.


    2007년 4월 7일 11차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32강 2회차 1경기 박정욱 승 이제동 패
    2007년 4월 7일 11차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32강 2회자 승자전 박정욱 승 박찬수 패
    2007년 5월 10일 곰TV MSL 시즌2 32강 1경기 박정욱 승 변은종 패
    2007년 6월 18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2라운드 공군 vs STX 2세트 박정욱 승 성학승 패
    2007년 8월 7일 곰TV MSL 시즌3 서바이버 토너먼트 44강 박정욱 승 변은종 패
    2007년 10월 2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1라운드 STX vs 위메이드 4세트 박정욱 승 심소명 패
    2007년 11월 4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1라운드 STX vs 르까프 2세트 박정욱 승 이제동 패
    2007년 12월 15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2라운드 KTF vs STX 1세트 박정욱 승 정명호 패

실버벨 2번

박찬수(조작범) 1번

이제동 2번

심소명 성학승 정명호 1번

정명호 선수 제외하면 날고 긴 선수들이였죠 거품이 아니였습니다.

하지만 박정욱이란 이름보다 기억되는 "망테"

슈퍼파이트때 임요환에게 벌쳐 난입당해 유린

이성은 선수에게 초패스트핵으로 패배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다크템플러 마인역대박 당해 프영호에게 역전당하고

신상호에게 마인 역대박나서 탈락..

저그전은 특 A급 테란전은 준수했으나 프막기질이 좀 있는편이였고

마인이랑은 철천지 원수가 되신분...

군입대후 코치하셔서 세탁소를 우승시켜 대리만족 하셧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참 아쉬운 선수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4/20 23:16
수정 아이콘
해설 한 명이 선수 하나를 망치다니 ㅠㅠ
개과종굴이
15/04/20 23:35
수정 아이콘
그 해설분에 대해서 조금 옹호하자면, 당시에 유행하던 개인방송 스타 토너먼트 또는 랭킹전 진행하던. 지금으로치면 아프리카 BJ셨죠... w 플레이어시절에.
원래 해설스타일이 그렇게 소리지르고 하시는 분이 아니었어요. 평소 방송인원 100명도 안되는데 자신이 pgtour A 랭크 섭외해가면서 하루에 10시간씩 목쉬어가면서 그냥 재미로 방송 열심히 하던 분이었어요. 그러다가 섭외가 들어온거죠.(엠겜에서도 테스트 보라고 연락 왔던걸로 아는데...) 대회에 꽤나 가까운 날짜에 섭외요청이 들어왔고 그래서 긴 시간 준비할 여유나 맞춰볼 시간이 없었을겁니다.
거기다가 첫 대회+카메라 보고 하는 해설이라 많이 긴장하셨나봐요. (그리고 수많은 짤을 양산하고 그것이 대회 해설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을겁니다. 제가 알기론)
우프님 잘 살고 계시죠? ㅠㅠ 제가 매니저 였었는데. 정말 재미있었어요. 철 없던 10대 때 같이 잘 놀았습니다.
15/04/20 23:39
수정 아이콘
슈퍼파이트가 문제였군요...
개과종굴이
15/04/20 23:45
수정 아이콘
그렇죠. 이 대회가 천하제일무술대회? 이런 느낌으로 진행된 대회인걸로 아는데.
하루 이틀만에 라이브로 급박하게 진행되는 대회라 해설중 잘못된 습관같은거 피드백도 힘든데, 생방송 처음인 해설을 섭외해서 쓴게 문제였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몇몇 발언이 유머게시판 같은곳에서 너무나도 화제가 되어버려서... 다시 기회를 얻기조차 힘들어졌죠.(아님 그분께서 해설을 다시 할 생각이 없어지셨거나)
15/04/20 23:48
수정 아이콘
결국 슈파의 유일한 유산은 엔준영인 걸로...
15/04/20 23:3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개인에겐 꽤나 큰 상처일텐데.. 유머코드로 밖에 기억을 못해서 미안해지네요..
E.D.G.E.
15/04/20 23:36
수정 아이콘
신인왕 출신 아닌가요? 2006년인가 2007년인가였던것 같은데...
당시에 이제동이 신인이면서 막 치고 올라오는데 박정욱이 제압했던?것 같은 기억이 납니다.
15/04/20 23:39
수정 아이콘
본문에 2007년 전기리그 신인왕 이라고 써 있네요.
E.D.G.E.
15/04/20 23:4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박정욱이란 이름보고 댓글부터 휘갈겨버렸습니다...(_ _)
15/04/20 23:48
수정 아이콘
이영호가 스 1에서 이뤄내지 못한 몇안되는 커리어가 바로 프로리그 신인왕과 로얄로더인데 바로 이 선수가 이영호선수와의 경쟁에서 이기고 신인왕을 탔었죠
15/04/21 00:26
수정 아이콘
STX는 신인왕 배출 팀 명가중 하나 였지요. SKY 프로리그 2004 박종수 선수를 시작으로 박종수, 김구현,박정욱,백동준,조성호까지 5명이나 신인상을 받았었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15/04/21 07:06
수정 아이콘
백동준,이신형, 김도우.. 뭐 STX가 부도만 안났다면 꽤나 든든한 팀이였을겁니다
15/04/21 01:25
수정 아이콘
바이오닉의 로망을 아는 선수죠 낄낄
신용운
15/04/21 08:41
수정 아이콘
본인도 그게 상처가 되었는지 성춘쇼엔가 나왔을때 길가다 우승기를 만나면 어쩔거냐는 질문에 짤없다면서 거의 죽여버릴 기세로 말했던게 생각나네요..... 쌓인게 많았구나가 느껴지더라구요.
15/04/21 10:57
수정 아이콘
망했어요. ㅜㅠ
The Seeker
15/04/21 11:13
수정 아이콘
방금 망했어요 영상을 보고 왔는데 눈물이 날 뿐이네요...
라라 안티포바
15/04/21 14:49
수정 아이콘
엠겜에서 성춘쇼였나 어디에서 게스트 섭외되서 우승기 해설에게 밤길 조심하라고 드립 날리던거 생각나네요. 흐흐
15/04/21 22:48
수정 아이콘
그 당시 본방으로 봤었는데 정말 배를 부여잡으면서 봤었었죠 크크크
광개토태왕
15/04/21 19:14
수정 아이콘
우승기는 반성해야 됩니다. 이거 보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385 [스타1] 후로리그의 추억... [60] 아싸라비아11741 15/12/12 11741 6
58383 [기타] [철권] 홀맨의 증언.txt [61] 이시하라사토미17127 15/12/12 17127 0
58382 [LOL] TSM 옐로우스타 [16] 솔루8377 15/12/12 8377 0
58381 [스타1] BGM이 정말 좋았던 숨겨진(?) 엠겜 프로리그 시즌.avi [6] SKY9213630 15/12/11 13630 1
58380 [LOL] LoL 프로선수 이모티콘 설문조사 이벤트 안내 [30] 한국e스포츠협회8573 15/12/11 8573 1
58379 [기타] 미디블 토탈워2, 연재시작 예고? 및 리뷰. [14] 랜슬롯10329 15/12/11 10329 5
58377 [스타2] 2015년 12월 첫째주 WP 랭킹 (15.12.6 기준) Davi4ever7754 15/12/11 7754 1
58376 [LOL] 게임맨 수필 - 1 [13] ReSEt7867 15/12/11 7867 7
58375 [기타] 여러분의 필살기는 무엇입니까? (킹오브파이터즈) [76] 토다기9157 15/12/11 9157 2
58374 [하스스톤] 신카드 <생매장> 관련 버그 이슈'들' [15] 신예terran12676 15/12/10 12676 0
58372 [기타] 최근 한 발표글의 논란을 보고 - 게임사업의 영원한 숙제, 개발과 사업 [46] The xian11163 15/12/10 11163 6
58370 [기타] [워크3] 신플래폼 한글패치 ver 2 [5] 이홍기18452 15/12/09 18452 2
58368 [LOL] 스포츠서울 기사에 대한 한국e스포츠협회의 입장 및 사실관계 확인 [267] 한국e스포츠협회22244 15/12/09 22244 15
58367 [LOL] LCS NA, EU 섬머 시즌 개편안 [73] Smiling Killy9518 15/12/09 9518 0
58366 [LOL] [펌글] 롤이 쉬운 게임인 이유, 그리고 재능러 게임인 이유 [50] 삭제됨13735 15/12/09 13735 1
58365 [히어로즈] 12월 9일자 패치 노트가 나왔습니다. (부제 : 패치야? 이게 서프라이즈야?) [28] 은하관제7721 15/12/09 7721 2
58364 [LOL] 알면 재밌고, 몰라도 상관없는 올스타전 이야기 8개 [21] aSlLeR9782 15/12/09 9782 1
58360 [LOL] 분할중게 이슈는 케스파의 설계? [39] PlanB9315 15/12/09 9315 1
58358 [기타] 군 내 게임채널 송출금지 결정에 대한 한국e스포츠협회의 입장 [63] 한국e스포츠협회12113 15/12/08 12113 47
58357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106] 은하관제15684 15/12/07 15684 3
58356 [하스스톤] 뭐? 어그로 쓰랄이 1등이라고? [36] 세이젤14388 15/12/07 14388 2
58355 [LOL] TG 호진 선수와 위즈덤 선수가 팀을 떠납니다 [30] 철혈대공11056 15/12/07 11056 0
58354 [LOL] 겜빗의 다이아몬드프록스가 페이스북에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21] 시나프10700 15/12/07 10700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