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9/26 18:43:05
Name 자다깨고깨다자고
File #1 전설.jpg (430.0 KB), Download : 49
Subject [하스스톤] 사냥꾼은 죽지 않았습니다




22일부터 5일 동안 달려서 사냥꾼으로 전설을 달았습니다..

대머리독수리와 리로이젠킨스가 너프되어, 사냥꾼이 죽은 줄만 알았건만 아직 사냥꾼은 죽지 않았습니다.
먼저 최근 등급전의 직업동향은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방밀전사 / 죽메사제 / 죽메주술사 / 거인흑마 / 레이나드흑마 / 비밀법사

저는 이 6가지 종류의 덱을 모두 상대할 수 있게 덱을 구성하였고, 실제로 위 직업들을 상대로 높은 승률을 가져갈 수 있었습니다.



덱의 운영 중점과 코스트순서대로 카드들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 : 덱의 핵심카드로 2장 넣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 : 덱의 핵심카드로 1~2장 넣는 것을 추천합니다.
★★★☆☆ : 덱에 크게 도움이 되는 카드이나 대체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 : 덱에 도움이 되는 카드이나 대체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 : 덱에 도움이 되지만 대체해도 상관없습니다.
=======


0코스트

사냥꾼의 징표 (★★★☆☆)

개들을 풀어라, 광기의 화염술사와 시너지가 있는 카드입니다.

치명적인 사격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1코스트

오염된 노움 (★★★★★)

1코스트에 손에 잡히면 적에게 최소 2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주문도적 또는 드루이드의 경우, 오염된 노움을 제거하려 영웅능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최소 4데미지를 상대에게 줄 수 있습니다.

※첫패로 2장이 모두 잡히는것은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섬광 (★★★★☆)

비밀법사 / 사냥꾼 / 성기사를 상대할 때 크게 도움이 되며

광기의 화염술사와 같이 사용하면 시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추적 (★★★★☆)

패가 말렸을 때, 또는 지금 상황에 특정카드가 있으면 이길 수 있겠다 싶을 때

비장의 카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장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광기의 화염술사와 같이 사용하면 시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1코스트에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2코스트

폭발의 덫 (★★★★★)

어떤 직업을 상대하든, 이 카드가 첫패에 있다면 든든합니다.


눈속임 (★★★★★)

자신의 필드를 비우게 되는 덱의 특성때문에 이 카드가 효과적입니다.

적이 강력한하수인 (용암거인과같은)을 필드에 내놓은 상태라면

하수인이 적 본체를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 덫의 사용순서

폭발의 덫과 눈속임을 함께 사용한다면, 반드시 폭발의 덫 - 눈속임 순서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덫은 사용한 순서대로 효과가 발동되는데, 폭발의 덫 - 눈속임 순서로 덫을 사용할 경우

폭발의 덫에 죽을 수 있는 하수인이 사냥꾼을 공격했을 때 폭발의 덫만 발동하고 눈속임은 발동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순서가 반대로됬을경우 폭발의 덫과 눈속임이 함께 발동하지만 눈속임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습니다.


미치광이 과학자 (★★★★★)

오염된노움과 같이 첫 패에 들어오면 매우 좋은 카드입니다.


파멸의 예언자 (★★★☆☆)

사제 , 방밀전사를 상대할 경우 효율이 높으며 상대가 침묵이 없다면 적의 7딜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광기의 화염술사로 대체해도 좋습니다.


3코스트

독수리뿔 장궁 (★★★★★)

첫패에 들어와도 좋습니다. 3코스트에 바로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요즘에는 대부분의 덱에 도발이 있기때문에 공격할수있을때 아끼지말고 공격하는것이 좋습니다.


개들을 풀어라 (★★★★☆)

마무리용 , 필드정리용으로도 좋습니다.

이교도 지도자와 시너지가있는 카드입니다.


살상명령 (★★★★★)

마무리용으로 좋습니다.

적영웅에게 사용할때는 5데미지로 사용하도록 합시다.


야생의 벗 (★★★★★)

킁킁이가 나오는것이 가장 좋고, 미샤도 좋습니다.


4코스트

일제사격 (★★☆☆☆)

필드정리가 잘 안된다고 생각되면 사용하도록 합시다.

다른 광역기술 또는 하수인으로 대체해도 좋습니다.


이교도 지도자 (★☆☆☆☆)

드로우가 없는 덱의 특성상 사제전에서 후반을 도모할 때 좋습니다.

사제를 별로 만나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다른 카드로 대체해도 좋습니다.


5코스트

누더기 골렘 (★★★★★)

체력이 5인 하수인들을 처치하는데 매우 유용하고 적에게 2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암흑칼날 (★★★★☆)

통곡의벽을 넘을 수 없다면 암흑칼날을 꺼내면 됩니다.

영웅능력과 함께사용하면 적을 끝내는데도 도움을 줍니다.

핸드가 말린다고 생각되면 대체해도 좋습니다.


리로이젠킨스 (★★★★☆)

폭발의 덫이 걸려있을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다른 돌진카드로 대체하는것도 좋습니다.


9코스트

왕 크루쉬 (★★☆☆☆)

크게 필요한 카드는 아니지만 도저히 못이기겠다 싶을때 이기게 해주는 카드입니다.





덱의 운영법

덱의 운영법은 슈팅법사와 흡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영웅이 죽지않을정도의 체력과 필드를 유지하면서

적에게 최대한의 딜을 빠르게넣어 끝내버리는, 이른바 명치사냥꾼입니다.


그러나 덱에는 드로우카드가 부족하기때문에 카드를 사용하는것과 영웅능력을 사용하는것을 잘 분배해야합니다.

필드가 위험하지않을정도라면 카드를 사용하는것보다 영웅능력을 사용하는것이 좋고 마나코스트를 최대한 활용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마나코스트 활용 팁=

내 마나가 해당 코스트일때 이 순서대로 카드를 내는것이 일반적으로 가장 좋습니다.

1코스트 : 오염된 노움

2코스트 : 미치광이 과학자 > 폭발의 덫 > 영웅능력

3코스트 : 야생의 벗 > 독수리뿔 장궁

4코스트 : 2코스트카드 + 영웅능력 > 일제 사격

5코스트 : 누더기 골렘 > 암흑칼날 > 야생의 벗 + 영웅능력 > 살상명령 + 영웅능력

6코스트 : 누더기 골렘 + 섬광/추적 > 2코스트카드 2장 + 영웅능력 > 암흑칼날 + 섬광/추적


또한 하수인으로는 적하수인을 공격하는것 보다 상대의 명치를 공격하는것이 일반적으로 더 좋습니다.

※예외 : 장의사, 방어구제작자 등 기타 성장시에 위협적이거나 처리하기 매우 곤란스러운 하수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꿈꾸는사나이
14/09/26 19:09
수정 아이콘
덱 구성이 특이하네요. 재미있게 봤습니다.
저는 덱 메이킹 능력이 없어서 덱 짜시는 분들 보면 부러워요.
미움의제국
14/09/26 19:14
수정 아이콘
아직도 잡아먹을 거흑과 주술사가 많은데 냥꾼이 사라질리가 없죠.

주술사도 그 구린 드로우 엔진 가지고도 덱을 운영할 수 있는데 냥꾼이 안 굴러간다는것도 말이 안되는거였구요
14/09/26 19:38
수정 아이콘
오호 저는 제일 잘 안돌리는 덱이 냥꾼인데, 냥꾼도 한 번 해봐야겠네요.
최근에 명치 전사덱 돌려봤는데, 승률도 높고 명치덱이 때리는 재미가 좋아서 명치냥꾼덱도 재밌겠다 싶습니다.
자다깨고깨다자고
14/09/26 19:47
수정 아이콘
요즘메타에 명치덱들이 좋은것 같습니다.
명치전사도 승률이 괜찮죠.
신제품
14/09/26 19:39
수정 아이콘
이교도로 대도를 대신하는게 좋네요
작은 아무무
14/09/26 20:08
수정 아이콘
그물거미는 어떤가요??
저는 꾸준히 넣고 있는데 오염된 노움보다는 별로인가요?
미움의제국
14/09/26 21:44
수정 아이콘
그물거미가 정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잘 때리는 애는 아니라서. 좀 그럴거 같은데
자다깨고깨다자고
14/09/26 22:46
수정 아이콘
그물거미는 좋지만, 덱의 컨셉에는 맞지않아서 넣지않았습니다.
탈리스만
14/09/26 21:49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야수냥꾼도 아니고 죽메냥꾼도 아니네요.
저는 덱 메이킹 능력이 없어서 덱 짜시는 분들 보면 부러워요.(2)
14/09/29 15:28
수정 아이콘
진짜 특이하네요. 덱 구성을 봤을 때, 방밀전사랑 죽메사제 빼고는 확실히 할만 할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358 [LOL] 2015 프리시즌 변경 사항 - 잠정적인 주요 목표 및 아이템 개편 방향 [18] 마빠이6254 14/10/09 6254 0
55357 [LOL] 선의의 피해자 문제 [38] MoveCrowd8345 14/10/09 8345 1
55356 [LOL] 롤드컵은 증명하는 자리다. - 8강까지의 이야기 [15] Leeka8378 14/10/09 8378 0
55355 [LOL] 2015 프리시즌 변경 사항 – 잠정적인 정글 개편 방향 [42] 마빠이11047 14/10/08 11047 0
55353 [LOL] 현재까지의 롤드컵 예매율 [69] Leeka10817 14/10/08 10817 2
55351 [LOL] 챔피언쉽 리븐 뽑으려고 수수께끼 상자 하지 마세요! (종결) [53] 뚱밥24627 14/10/08 24627 7
55350 [기타] 플4 독점 레이싱 게임. 드라이브 클럽 후기 [17] Leeka9662 14/10/07 9662 0
55349 [LOL] 2015 프리시즌의 변경 사항이 테스트 서버에 적용됩니다. [44] 마빠이9729 14/10/07 9729 0
55348 [LOL] 전 강민 해설이 싫습니다. (본문 삭제 후 댓글 복원) [978] Sigh Dat51209 14/10/06 51209 231
55347 [LOL] 한국 LOL 프로게임계의 수익개선 [147] 삭제됨12135 14/10/07 12135 0
55346 [LOL] 나진 실드와 OMG의 밴/픽으로 보는 이야기 [104] Leeka10984 14/10/07 10984 7
55345 [LOL] 해설자 자질 논란 및 카더라 + 롤드컵 8강 나진실드 vs OMG [128] JoyLuck21305 14/10/07 21305 51
55344 [스타2] 2014년 10월 첫째주 WP 랭킹 (2014.10.5 기준) - 챔피언들의 Top20 복귀! [7] Davi4ever5528 14/10/07 5528 1
55343 댓글잠금 [기타]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불판 관련 [688] 도시의미학21295 14/10/07 21295 21
55340 [기타] [워크3] 라라의 워크이야기 6. playFFA 시즌5 종료 및 PGR 워3모임 후기 [9] 라라 안티포바10685 14/10/06 10685 4
55328 [LOL] 현 국내 롤판에서 선수들의 처우 문제. [55] 마빠이9920 14/10/06 9920 4
55327 [LOL] 한국 LOL프로게이머 할만한 직업일까요? [79] 태랑ap12784 14/10/06 12784 1
55326 [LOL] 8강 끝난 기념 여러분들이 꼽는 이번 롤드컵 Best5와 Worst5는? [55] 긴토키7546 14/10/06 7546 2
55325 [LOL]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 할시간 - 나진 코치진 [227] MoveCrowd13622 14/10/06 13622 5
55324 [LOL] 한국 VS 중국 결승전이 확정되었습니다. [143] Leeka10059 14/10/06 10059 2
55322 [LOL] 스카이라이프 보시는분 꿀팁! [7] Jinx5142 14/10/06 5142 0
55321 [기타] 모 게임 커뮤니티에 올라온 만화 하나가 엄청난 논란이 되고 있네요. [116] LingTone13974 14/10/06 13974 0
55320 [스타2] 프로게이머 후기 [44] 삭제됨23704 14/10/06 23704 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