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8/31 02:12:54
Name 콩쥐팥쥐
Subject [LOL] 몇가지 재미있을 기록들

1. KT Arrows는 언젠가 NLB를 우승할 것이다?

현재 한국 롤 서킷 챌린지는 2개 리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나라도 1,2부리그 형태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고 하지만 2부리그까지 롤드컵에 관여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그만큼 롤챔스와 NLB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재밌는 것은, 우승팀 간에도 재밌는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2012 롤 챔피언스 스프링 우승팀 Mig Blaze -> 2013 NLB 윈터 우승팀 CJ Blaze

2012 롤 챔피언스 서머 우승팀 Azubu Frost -> 2014 NLB 스프링 우승팀 CJ Frost

12-13 롤 챔피언스 윈터 우승팀 Najin Sword -> 2013 NLB 스프링, 섬머 우승팀 Najin Sword

2013 롤 챔피언스 스프링 우승팀 MVP Ozone -> 2012 NLB 섬머 우승팀 MVP White

2013 롤 챔피언스 섬머, 윈터 우승팀 SKT T1 K -> 2014 NLB 섬머 우승팀 SKT T1 K

2014 롤 챔피언스 스프링 우승팀 Samsung Blue -> 12-13 NLB 윈터 우승팀 GSG

이렇게 각 팀간의 연관관계가 있습니다. (연관관계는 '서킷포인트'의 계승을 기준으로 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GSG라고 할 수 있죠. 현 Samsung Blue의 전신은 강퀴, 노페, 선자, 헤르메스, 미오의 MVP Blue가 아닌 천주, 하트가 있는 GSG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이번 NLB에 SKT T1 K가 우승하면서 '모든 롤챔스 우승팀은 NLB 우승을 한다.'는 공식이 맞아들어갔습니다. 그게 물론 1주일 후 KT A의 우승으로 다시 깨졌지만요. 현재의 징크스를 따른다면 KT A도 언젠가는 NLB 우승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p.s)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현재까지의 모든 NLB 우승팀 중 롤챔스 우승을 하지 않은 팀은 단 한팀. 최초 우승팀 거품게임단입니다. 이 멤버들이 갑자기 모여서 기적의 롤챔스 우승을 하지 않는 이상, NLB와 롤챔스 우승팀이 완벽히 겹치는 일은 일어나지 않겠죠. 반대로 생각해보면 거품게임단의 후신인 CJ Entus도 언젠가는 롤챔스 우승을 할 수 있는 팀이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죠. (삼성 블루는 무려 1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2. 롤드컵 우승자 징크스. 그렇다면 다른팀은?

롤드컵 우승자 징크스는 이번에도 적중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준우승팀은 어떻게 됐을까요? 그들은?

시즌 1 준우승팀 aAa -> 시즌 2 참여 불발


 


시즌 2 준우승팀 AZF -> 시즌 3 참여 불발


 


시즌 3 준우승팀 로얄 -> 시즌 4 중국 롤드컵 예선 참가 중


 


로얄마저 만약 롤드컵 진출에 실패한다면 영고인섹이 문제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롤드컵 우승팀 뿐만이 아니라 롤드컵 결승에 진출하면 다음 시즌 롤드컵은 진출 못한다는 징크스로 확대될 수 있다고 봅니다.


 


3. 8강 밸런스는, 유지되어야만 한다?


 


시즌 1은 현재 지역이 유지되지 않았으니 패스한다면 시즌 2부터 8강에서 각 지역별 통과 팀은 어땠을까요?


 


시즌 2 - 북미 1 (TSM), 유럽 2 (M5, CLG.EU), 중국 2 (WE, iG), 한국 2 (AZF, NJS), 대만 1 (TPA)


 


시즌 3 - 북미 1 (C9), 유럽 2 (FNATIC, Gambit), 중국 2 (로얄, OMG), 한국 2 (NJS, SKT), 대만 1 (Gammania Bears)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 중 결과가 다른 지역은 한국. 한국만 1,2위가 아닌 1,3위가 진출하는 정도의 변화만 있었지 각 지역별 진출팀은 동일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이번에도 이 밸런스가 유지가 될까요? 흥행을 위해서는 이 정도의 밸런스가 유지가 되는 것이 좋다고 보지만 한국 3팀 중 한 팀이 4팀 중 3위,4위를 할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8/31 02:29
수정 아이콘
롱판다 보고있나?
자네 다시한번 정상을 노려보지 않겠는가?

신기한 징크스들이 있네요, 로얄이 과연 진출 할수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14/08/31 09:07
수정 아이콘
거품게임단이 롱판다, 페코, 미마, 인섹, 낀시였나요? 미마 대신 현재의 다데를 넣고 페코 대신 스페이스를 넣으면 구맛밤인데 롱판다억제기가 크긴 참 컸네요. 참 좋아하던 팀이었는데 이 멤버에서 탑만 갈았어도 어떻게 우승권에서 비벼봤을 듯요.
카르타고
14/08/31 09:15
수정 아이콘
솔직히 1번은 좀 억지라고봐요
어느한쪽을 우승하고 그다음 다른쪽을 우승 한것도 아니고 애초에 저팀들이 강팀이기때문에 결승에서 서로만나기 때문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597 [하스스톤] 하스스톤 코리아 마스터즈 1주차 후기 및 잡설 [10] sonmal11766 15/04/01 11766 0
56596 [스타2] 태자와 붐을 응원합니다.. [3] 삼성전자홧팅5689 15/04/01 5689 0
56595 [기타] [CK2] 크루세이더 킹즈2 - 위대한 페르시아여, 부활하라! [49] 도로시-Mk218072 15/04/01 18072 23
56593 [기타] 블러드본 엔딩을 봤습니다.(스포일러 없어요) [21] 잔 향10159 15/03/31 10159 0
56592 [기타] [퀴즈] 프로게이머 사인 [22] 공룡7015 15/03/31 7015 2
56591 [기타] 오랜 떡밥, PC VS 콘솔 [53] 미라클양13415 15/03/31 13415 2
56590 [LOL] 흔한 PGR 유저의 LJL 결승 관전기 [12] snoopy6424 15/03/31 6424 1
56588 [LOL] 그들이 돌아왔다! 5.5 패치 기점 꿀챔들을 소개합니다! [24] 뀨뀨8639 15/03/31 8639 0
56587 [기타] [COC] 고급져 클랜에서 열정가득한 클래셔 모집합니다. [22] 함박웃음오승환4882 15/03/31 4882 1
56586 [LOL] LCS NA 9주차 - TSM vs C9 경기 분석 [12] 빠른별6401 15/03/31 6401 8
56584 [하스스톤] 검은바위산 31장 카드 총정리+시연회영상 [25] burma11310 15/03/31 11310 0
56583 [기타] 진정한 클래식 RPG의 재림 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19] Pax8409 15/03/31 8409 3
56582 [하스스톤] 검은바위 산의 카드가 모두 공개되고 있습니다. [27] 저퀴8704 15/03/31 8704 0
56581 [기타] 스포TV 게임즈의 새로운 예능(?) 모차르트를 봤습니다. [12] 매드로봇7559 15/03/30 7559 0
56579 [LOL] LCS NA 9주차 후기 [12] 삭제됨5254 15/03/30 5254 1
56578 [LOL] 시즌5 스프링 시즌 3월 4주차 정리 [16] 류시프5909 15/03/30 5909 1
56577 {} [235] 삭제됨20001 15/03/30 20001 2
56576 [LOL] 3월 30일 (월) 리그 프리뷰 [5] 류시프4347 15/03/29 4347 0
56575 [스타2] 저그 빌드오더 소개 - 12못 빠른 뮤탈 (vs T) [10] 저그네버다��9146 15/03/29 9146 0
56574 [LOL] 한국 미드 메타에 변화의 바람이 이는가? [29] 소란10523 15/03/29 10523 0
56573 [LOL] 아무무무뭄뭄뭄뭄무무무무뭄 [20] 뀨뀨8067 15/03/29 8067 2
56572 [LOL] 라일락이 죽는동안 - 나진 대 IM 1세트 [13] 피아니시모9108 15/03/29 9108 2
56570 [LOL] 3월 29일 (일) 리그 프리뷰 [13] 류시프5912 15/03/28 591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