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8/05 00:39:13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에 남아있거나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기록들.
1. 가장 긴 시간동안 꾸준한 폼을 유지하는 팀 - 삼성 화이트

: 이번 시즌에도 3위를 한다면, '5시즌 내내 3위 이내의 성적' 만 거두는 최초의 팀이 됨.
(현재도 4시즌 연속 3위 이내 + 5시즌 연속 4강. 이라는 기록 보유중.
5시즌 연속 4강은 CJ 프로스트와 삼성 화이트만 보유함.)


2. 펜타킬 관련

- 롤챔스는 매 시즌마다 1회 이상의 펜타킬이 발생한다.

- 원딜 이외의 펜타킬은, 엠비션이 카직스로 달성한적 이외에는 없다.

- 임프는 유일하게, 펜타킬을 2회 달성했다. (3번 가능할뻔 햇던건 함정)

- 임프는 롤챔스에서 펜타킬을 기록한 경기에서 패배한 유일한 선수이기도.


3. 최다 연속 결승 진출 - CJ 프로스트

3회 연속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달성한 상태.


4. 최다 연승 기록 - SKT K

19연승이라는 대 기록을 달성.
(섬머 결승부터 스프링 16강까지의 기간)


5. 다데의 개인 기록

: 서로 다른 2개의 팀으로 롤챔스 우승
: 롤챔스 결승전에 4번 진출한 유일한 선수
: 롤드컵에 서로 다른 팀으로 나간 최초의 한국 선수.

6. 롤챔스 개근상

: 메드라이프 / 엠비션 / 류 / 스코어 / 마파
-> 현재 남아있는 선수는 메드라이프, 엠비션, 스코어
(임팩트는 12~13 윈터,  호로는 13 섬머, 캡틴잭은 14 스프링에 참가를 못했음)
* 라일락하고 미드킹도 한시즌은 NLB로 갔던거 같은데.. 가물가물...


7. 최고의 라이벌 - 삼성 화이트 VS SKT K

: 두 팀은 5시즌 연속으로 5판 3선승제에서 만난 기록.
: 롤챔스에서 5시즌 내내 '서로에게 졌을때, 형제팀에게 졌을때(삼성)' 이외의 팀에게 토너먼트에서 지지 않았음.
(12~16강에서 탈락한 적은 없음)

8. 기존 멤버가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는 팀 - SKT K

: 만두푸가 잠시 쉰적은 있으나. 초기 멤버가 5시즌 내내 나간적이 전혀 없는 팀.

9. 3,4위전에서 이긴적이 없는 CJ

12 섬머 - 나진 소드 2:0 CJ 블레이즈
12~13 윈터 - KT B 3:0 CJ 블레이즈
13 스프링 - SKT K 3:0 CJ 프로스트
13 섬머 - 삼성 화이트 3:2 CJ 프로스트
14 스프링 - 삼성 화이트 3:2 CJ 블레이즈

CJ는 3,4위전에 5번 갔으며, 5번 모두 4위를 함.


10. 삼성 화이트가 롤드컵 직행 시

: 해당 시즌 롤챔스 우승 없이 직행하는 최초의 팀
: 형제팀이 모두 롤드컵에 나가는 최초의 팀


11. 나진 쉴드가 롤드컵에 나간다면

: 와치는 한국 선수중 유일하게 롤드컵에 3번 나가는 선수가 됨.


12. KT A가 이번에도 준우승을 한다면

: 카카오는 서로 다른 팀으로 준우승을 하는 최초의 선수가 됨
: 카카오는 롤챔스 우승 없이 준우승만 2번하는 최초의 선수가 됨.
+@ 썸데이는 KT B로 결승전 무대에서 경기를 하진 않았지만 식스맨으로 같은 케이스에 해당됨


번외. 나진 소드는 NLB 5회 연속 결승 진출의 기록을 달성함(선수는 카인만 달성)

: SKT, KT, CJ, 삼성, 나진.  5개 구단의 10개 팀중에. 5시즌 내내 NLB에 간 팀은 나진 소드밖에 없음.

좋은 의미로는 5시즌 내내 한국 6위 안에 드는 꾸준함(삼성 화이트를 제외하면, 최근 5시즌 최저점은 가장 높은팀)
나쁜 의미로는 5시즌 내내 탑 4안에 한번도 못든 꾸준함(4위안에 5시즌동안 가본 팀은 9팀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지스
14/08/05 00:50
수정 아이콘
라일락이 그래도 롤챔스는 꾸준히 출전하지 않았나? 싶어서 찾아봤는데
SKT K가 전승우승했던 윈터시즌 때 오프예선에서 삼블에게 패해 NLB로 갔었군요.
최종병기캐리어
14/08/05 00:57
수정 아이콘
홈버프의 나진소드...역시..
낭만토스
14/08/05 03:35
수정 아이콘
콩카오?
PDD에게전해
14/08/05 08:30
수정 아이콘
콩까오!
14/08/05 10:13
수정 아이콘
SKT1 K가 롤드컵 출전하면 맴버교체 없이 2시즌 연속 롤드컵 출전하는 유일한 팀이 되는 것 아닌가요.
14/08/05 10:50
수정 아이콘
식스맨을 포함하면 프나틱도 나간 선수는 있지만 새로 영입한 선수는 없는 팀이라서..
저지방.우유
14/08/05 14:17
수정 아이콘
매 시즌 펜타킬이 꼬박꼬박 나오는 것도 신기합니다...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011 [LOL] 다양해진 미드 챔프의 시대. [34] Leeka8291 14/08/30 8291 0
55010 [기타] [스타1] 프로토스 연대기 Ⅳ : 제국의 역습 [17] 한니발9828 14/08/30 9828 9
55009 [LOL] 나진실드, KTA, 몇가지 잡생각들 [13] emonade6330 14/08/30 6330 1
55008 [LOL] KT 선수들에게 [18] 가게두어라7255 14/08/29 7255 8
55007 [LOL] 나진의 롤드컵 귀소본능... KT A의 시즌 아웃. [136] Leeka11503 14/08/29 11503 2
55006 [LOL] 스노우볼로 보는 프로씬의 정글러 [87] 삭제됨9622 14/08/29 9622 1
55005 [스타2] 2014년 8월 넷째주 WP 랭킹 (2014.8.24 기준) - 최성훈 Top 10 복귀 [7] Davi4ever5844 14/08/29 5844 0
55004 [LOL] 나진과 KT. 마지막 한장을 놓고 펼치는 1차 혈투 [58] Leeka7623 14/08/29 7623 0
55002 [스타2] 주변에서 쉽게 볼수있는 불법배팅사이트 홍보 대책이 필요합니다... [23] BJ경진7882 14/08/29 7882 1
55001 [LOL] AD 캐스터가 뜨는 이유? [29] 칼잡이질럿8438 14/08/29 8438 0
55000 [LOL] 르블랑의 탑 활용성에 관하여 [21] 서폿이킬먹음던짐6434 14/08/28 6434 0
54999 [LOL] 기본적인 실론즈 팁 몇가지 [39] Katarina7106 14/08/28 7106 1
54998 [기타] 겜방송 - [베스트 플레이] 소개 [9] Lainworks7295 14/08/28 7295 0
54997 [LOL] 레오나 서폿으로 골드 입성기 (직장인을 위한 팁!) [20] spankyou6888 14/08/28 6888 2
54996 [LOL] 정글러로서 정글러를 보는 시선 [59] 다이아1인데미필9763 14/08/28 9763 7
54995 [LOL] 페이커 시대의 종결. 삼성 화이트 롤드컵 직행! [148] Leeka18409 14/08/27 18409 1
54994 [기타] 알긋냐 8회 방송 안내입니다.- 초대손님 정소림,김성회 [37] 채정원8244 14/08/27 8244 1
54993 [LOL] 타임머신을 타고 보는 작년 스프링 결승 이야기. [21] Leeka7049 14/08/27 7049 0
54991 [스타2] 게임하트가 WCS 정식 UI가 됩니다. [15] 저퀴8360 14/08/27 8360 3
54990 [LOL] [SKT] 갤럭시 K6 화이트 모델 출시 기념 스팟 정책!!! 망설이지 말고 얼른 타세요~ (광고 아님) [33] 내려올9058 14/08/27 9058 2
54988 [LOL] 롤챔스 섬머 KDA 시상 관련 의문 [126] 제10번교향곡12282 14/08/26 12282 1
54987 [기타] 카톡 게임 매출. 그 허와 실 [40] Leeka10313 14/08/26 10313 0
54986 [기타] 코어 마스터즈 감상 - 이 게임 이래도 될까 [28] 오늘도칼퇴근5903 14/08/26 59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