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26 12:51:56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의 재밌는 징크스? KT와 CJ 이야기.
아무 생각없이 이런저런 자료들을 보다보니..
아는 분이 KT 랑 CJ 이야기를 해주길래 보다가 재밌어서 한번 올려봅니다.

요약하면 아래와 같은데요.


- KT B를 토너먼트에서 이긴 팀은 우승한다.
- CJ를 토너먼트에서 이기고 결승간 팀은 준우승한다.


살펴볼까요?


12~13 윈터

나진 소드 우승 ( 4강 - KT B 상대 승리)
아주부 프로스트 준우승(8강 - CJ 엔투스 상대 승리)

13 스프링

MVP 오존 우승 (8강 - KT B 상대 승리)
CJ 블레이즈 준우승(4강 - CJ 프로스트 상대 승리)

13 섬머

SKT T1 K 우승 (결승 - KT B 상대 승리)
KT B 준우승(8강 - CJ 블레이즈, 4강 - CJ 프로스트 상대 승리)

13 롤드컵 선발전

SKT T1 K 진출 (결승전 - KT B 상대 승리)
KT B 탈락(CJ 블레이즈, CJ 프로스트 상대 승리)

13~14 윈터

SKT T1 K 우승 (4강 - KT B 상대 승리)
삼성 오존 준우승 (8강 - CJ 프로스트 상대 승리)


이렇게 놓고 보니
KT가 콩의 기운으로 우승을 못하는건지
KT가 맨날 CJ를 때려 잡아서 우승을 못하는지 했갈릴 지경..



뭐 그 외에도 롤챔스 결승은 섬머는 패패승승승,  나머지는 승승승. 으로 끝난다는 전통도 유지되고 있네요.
서로 왔다갔다 하는 결승전은 언제쯤 롤챔스 결승에서 나올 수 있을런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티팩터
14/01/26 12:53
수정 아이콘
이번시즌은 완성되어가는 skt k 에 비해

뭔가 발전하는 만큼 약점도 생겨가는 다른 팀들의 대결이란 느낌이었어요.
리빌딩 적당히 하고 제대로 자리잡아 팀을 완성해서 다음에는 접전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ktb는 강팀인데 챔스 우승이 없어서 참 아쉽겠어요.
14/01/26 12:53
수정 아이콘
과연 우승 판독기 케이티..!
양념반자르반
14/01/26 12:55
수정 아이콘
12~13 윈터
아주부 프로스트 준우승(8강 - CJ 엔투스 상대 승리)
요기에 CJ 엔투스가 블레이즈를 말씀 하시는거겠죠?
모모리
14/01/26 12:57
수정 아이콘
구 cj 같습니다.
Tristana
14/01/26 12:57
수정 아이콘
구 맛밤인듯 하네요.
14/01/26 12:57
수정 아이콘
아뇨.. 그땐 롱판다 - 인섹 - 다데 - 스페이스 - 낀시.. 의 구 맛밤입니다.
양념반자르반
14/01/26 12:58
수정 아이콘
아아 앞에 아주부 인걸 보고도 그랬군요 바보같이..
라엘란
14/01/26 12:55
수정 아이콘
심지어 wcg때 티원도 프로스트 이기고 떨어졌으니 kt 이기고 우승한다는 징크스만큼 강력하네요. cj 이긴팀은 우승못한다는 징크스는
클럽마스터즈때 이후로부터 지속되온걸로 아는데.. 이외에도 섬머 제외 3대0 징크스도 유지되고.. 2회 우승자가 나온것만 빼면 아직도
징크스는 유효한게 꽤 많네요.
마빠이
14/01/26 12:56
수정 아이콘
누가 그랬다죠.

4강 오존 vs 쉴드 경기가 흥할수록 결승전은 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흐흐

진짜 롤챔스 결승은 역스웝이거나 그냥 스웝이거나 둘중에 하나네요.
14/01/26 12:56
수정 아이콘
'대회가 열리면 15개 팀이 경쟁하고 SKT T1이 우승한다' 징크스가 시작되는게 아닐까 싶을정도로 압도적이었습니다.
14/01/26 13:04
수정 아이콘
KT가 2위팀이기 때문에 KT를 이긴 팀이 우승하는 것이고
CJ는 4강권 팀이기 때문에 CJ를 이기면 결승은 가지만... 이라고 때려맞춰서 해석할 수 있겠네요.
바스테트
14/01/26 13:43
수정 아이콘
때려맞춰서라기보단 그게 가장 큰 이유가 맞는 거 같습니다..
신과함께
14/01/26 13:16
수정 아이콘
이번 2013~2014 윈터는 진짜 SKT T1 K의 강력함을 만천하에 알린 시즌인것 같습니다.
하리하리
14/01/26 16:37
수정 아이콘
롤챔스란 16개 팀들이 롤을 해서 결국 SKK가 우승하는 대회입니다.
사티레브
14/01/26 17:07
수정 아이콘
두시즌만 그랬는데 허허
14/01/26 17:34
수정 아이콘
전세계 롤팀 중 가장 압도적인 커리어를 만들어갈 것 같습니다.
Gorekawa
14/01/26 20:00
수정 아이콘
몬테크리스토와 저는 여러가지로 공통점이 많은데, 특히나 KT의 플레이에 대해 즐거움을 느낀다는 것도 그 중 하나겠네요.
개인적으로 크트비 선수들이 이런 글 보면서 너무 초조해하지 않았으면 싶어요. 우승도 좋지만 준우승과 3위도 절대 나쁜 성적이 아니거든요.
밥먹듯이 조별리그 탈락하는 그팀처럼 되지만 않으면 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498 [스타2] 2014년 2월 셋째주 WP 랭킹 (2014.2.16 기준) - 김민철 1위 탈환! [12] Davi4ever8569 14/02/19 8569 1
53497 [LOL] League of Legends 를 설치하였습니다 [21] 잠이오냐지금9363 14/02/19 9363 0
53496 [LOL] 요즘 게임을 하는 것이 설렙니다. [45] anoo11747 14/02/19 11747 16
53495 [기타] 위대한 성취에 대한 동기부여를 해주는 게임, 시드마이어의 문명 [28] nameless..10076 14/02/19 10076 4
53494 [기타] 디오더 1886 : 컷신과 플레이 영상의 구별이..? [4] 당근매니아9278 14/02/18 9278 0
53493 [LOL] PGR 회원분들의 도움으로 배치고사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기 [14] 풍각쟁이10196 14/02/18 10196 1
53492 [LOL] 롤챔스 스프링 현재까지의 상황 정리 (2차예선 일정 추가) [40] Leeka12389 14/02/18 12389 3
53491 [기타] 트위치 포켓몬 [61] azurespace15070 14/02/18 15070 0
53490 [하스스톤] 최근 모든 꿀은 주술사에게로 흐르고 있다. [61] 낭천11914 14/02/18 11914 0
53488 [LOL] 배치고사 9승 1패 마무리하였습니다. 배치고사팁! [23] 김치맨25232 14/02/17 25232 0
53487 [스타2] 최성훈 선수의 vs P 신빌드 분석 [5] 스카이바람9996 14/02/17 9996 9
53486 [스타2] 초보유저가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17] 프로솔로11076 14/02/17 11076 1
53485 [스타2] 최성훈선수의 토스전 新운영법? [21] 진세연10179 14/02/17 10179 6
53484 [도타2] NSL 결승, KDL 개막 - 그리고 팀 Zephyr [8] Quelzaram8359 14/02/17 8359 0
53483 [기타] 정보 : 영웅전설7(제로의 궤적) 한글화 패치 완료_동영상 추가 [72] 마롱21938 14/02/17 21938 1
53481 [LOL] 14 스프링시즌 예선 3일차 조별 맴버와 예상 [35] 해오름민물장어11104 14/02/17 11104 0
53480 [LOL] 롤챔스 페이커 베스트 픽 및 챔프폭. [19] Leeka13299 14/02/17 13299 0
53479 [LOL] 클럽마스터즈 2경기 T1 S대 IM#1 간단한 감상 [10] 레몬커피9056 14/02/17 9056 0
53478 [LOL] 2월 16일 롤마스터즈 후기 (사진 테러, 스압테러 주의) [18] 헤더10711 14/02/16 10711 3
53475 [LOL] LOL의 행동양식 개선 제도에 대하여 [111] sonmal14121 14/02/16 14121 2
53474 [기타] 타이탄폴 베타 리뷰 [11] 저퀴9321 14/02/16 9321 1
53473 [LOL] 14 스프링시즌 예선 2일차 조별 맴버와 예상 [26] 해오름민물장어9109 14/02/16 9109 2
53472 [LOL] 안녕하세요. 최병훈 감독 입니다. [102] 최병훈.26070 14/02/16 26070 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