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8/10 03:25:46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1년 반 히스토리.
WCG 2011 한국 선발전 - EDG(현 나진 쉴드) 우승 / MiG(현 CJ 프로스트) 준우승
* 나진과 CJ. 한국 롤 양강 체제의 시작.

롤 인비테이셔널 - MiG(현 CJ 프로스트) 우승 / CLG.NA 준우승
* 롤챔스를 위한 초청전. 용산을 꽉 채우면서 롤챔스 흥행의 시작을 예고.

12 롤챔스 스프링 - 아주부 블레이즈(현 CJ 블레이즈) 우승 / 아주부 프로스트(현 CJ 프로스트) 준우승

* 나진과 아주부 프로스트. 롤클라시코 격돌.
2분 30초 드래곤 사냥 / 롤챔스 첫 펜타킬 / 막눈의 랜턴 올라프 / 패배로 인한 막눈의 소드 이적까지.  라이벌 체제의 서막을 열다.

* 제닉스 스톰과 아주부 프로스트. 첫 5전제 블라인드 픽을 달성.
5월 2일에서 5월 3일 0시 2분 2초가 되는 순간. 기적의 메라센도와 함께 게임이 뒤집히고.
롤챔스 프로스트 블라인드 픽 무패 전설이 시작.

* 킨텍스를 가득 매운 첫 결승전. 첫 내전과 함께 블레이즈가 최초의 우승을 차지.

* 인섹. 시드 결정전 초유의 인섹 사건을 일으킴.

12 상반기 올스타,  라이엇 개발진 VS 5개 대륙별 대표 프로 선수 연합 올스타의 대결.

* 한국 올스타 대표로 막눈 선정.  라이엇 개발진들을 상대로 마이로 농락하는 쇼맨쉽을 발휘.
해당 사건 이후 유령무희는 바로 너프되는 참사를...

12 롤챔스 썸머 - 아주부 프로스트(현 CJ 프로스트) 우승 / CLG.EU(현 EG) 준우승

* 막눈에 의한. 막눈을 위한. 새로운 신성 나진 소드의 탄생.
- 전 디펜딩 챔피언을 물리치고 3위를 하면서 롤드컵 진출권을 확보

* 첫 야외 결승전과 유료좌석 시행.
최초의 해외팀과 국내팀 결승전에서 프로스트의 기적같은 3:2 역전극이 펼쳐지다.

롤드컵 국대 결정전 - 아주부 프로스트(현 CJ 프로스트) 직행 / 나진 소드 진출전 우승

* 한장의 티켓을 놓고. 블레이즈와 소드가 2:2로 팽팽한 상황.
최후의 경기에서 프레이. 한국 원딜 원탑의 자리를 잭패에게서 가져옴.

롤드컵 시즌2 - TPA 우승 / 아주부 프로스트 준우승

* CLG.EU(현 EG)와 WE의 3경기. 수차례 서버가 다운되고. 결국 다른날 재경기를 진행.

* CLG.EU와 프로스트의 4강.  마지막 경기에서 클템의 스카너. 1억짜리 꿰뚫기를 성공시키고. 스카너는 너프되는데...

* 모두가 무시하던 TPA. 프로스트와 소드, M5(현 겜빗 게이밍)를 모두 물리치고 롤드컵 우승


12롤챔스 윈터 - 나진 소드 우승 / 아주부 프로스트(현 CJ 프로스트) 준우승

12 롤챔스 윈터 라인별 KDA 상 - 탑 :샤이 / 정글 : 와치 / 미드 : 쏭 / 원딜 : 스코어 / 서포터 : 카인
12 롤챔스 윈터 시즌 MVP - 막눈

* 개막전 양일간의 경기 유료화 판매. 성공적으로 끝마쳐.

* 아주부 프로스트(현 CJ 프로스트)와 구 CJ의 격돌.  3경기에서 롱판다가 자신의 친구 신짜오를 발견하고. 경기는 반전을 거듭하는데.

* LG-IM. 4강 진출의 9부능선을 넘은 그 시점에서. 헬리오스의 아무무 인생궁의 성공.

* 윈터 4강 전. 해외 대회에서의 겜빗 게이밍의 선진 문물. 솔라리 신짜오가 윈터 시즌 전체의 판도를 바꿔.

* 첫 대형 스크린이 도입된 윈터 결승.  사전 인터뷰에서 도도갓과 클끼리가 탄생하는데.

13 상반기 올스타.  한국 국가대표로 샤이/인섹/엠비션/프레이/메드라이프 + 박정석 감독 선발.

올스타전 탑 최강자전 -  소아즈 우승 / 샤이 준우승
올스타전 정글 최강자전 - 인섹 우승 / 다이아몬드 프록스 준우승
올스타전 미드 최강자전 - 토이즈 우승 / 미사야 준우승
올스타전 바텀 최강자전 - 프레이&메드라이프 우승 / 더블리프트&엑스페셜 준우승
올스타전 메인 매치 - 한국 우승 / 중국 준우승

* 다이아몬드 프록스. 1경기 전 라인을 이블린으로 뒤집으며 존재 가치를 알려.
* 인섹. 전세게에 인섹킥이라는 고유 명사를 만들며 세체정의 자리를 획득.
* 엠비션은 세계적인 퍼블션을 입증.

* 더블리프트. 북미의 자존심을 살리고 펜타킬 기록.

* 한국. 우승을 통해서 롤드컵 시드를 1장 추가로 확보.

13 롤챔스 스프링 - MVP 오존 우승 / CJ 블레이즈 준우승

13 롤챔스 스프링 라인별 KDA 상 - 탑 : 플레임 / 정글 : 뱅기 / 미드 : 다데 / 원딜 : 임프 / 서포터 : 마타
13 롤챔스 스프링 시즌 MVP - 다데

* 비행기 조종사 전설의 시작. 블레이즈 롤챔스 최다 연승인 13연승 달성.

* AHQ Korea(현 진에어 스텔스) 와 나진 쉴드. 0.001도 안되는 차이에 울고 웃다.

* 나진 소드. 롤챔스 사상 최초로 '디펜딩 챔피언이 4강 진출에 실패'

* 아무도 우승후보로 생각하지 않던 오존.  KT B, SKT, 블레이즈를 압살하고 새롭게 챔피언 자리에 등극.
첫 전석 유료화 및 CGV 동시 상영이 진행된 결승전. 흥행에 성공하다.



이제 8월 31일에 끝날 섬머
9월 4일에 시작해서 9월 7일에 끝날 롤드컵 대표 선발전
9월 16일에 시작해서 10월 6일에 끝날 롤드컵이 남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8/10 03:43
수정 아이콘
저는 결승전을 cgv에서 상영했던 게 제일 충격적이었어요
전석 매진이 될 줄 몰랐거든요
13/08/10 03:56
수정 아이콘
저도 마찬가집니다. 예매할려하니 벌써 매진이더군요.
테페리안
13/08/10 05:23
수정 아이콘
12롤챔스 윈터 - 여기에 클템 리 신을 리신으로 검색해서 랜덤픽 트런들 사건을 넣어주심이 크크
블랙호빵
13/08/10 05:31
수정 아이콘
12 스프링 시즌의 cj는 아주부의 후원을 받기전인 mig 시절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제기억이 잘못된건가요?
13/08/10 08:54
수정 아이콘
스프링 시즌 직전에 스폰서를 받아서 아주부의 이름을 달고 아주부가 후원한 롤챔스에 나왔죠.
13/08/10 09:21
수정 아이콘
스프링까지는 Mig아니엿나요? 섬머부터 아주부엿던 것 같은데...
카르타고
13/08/10 13:05
수정 아이콘
Mig였어요 스프링땐해도 프로팀은 나진 스타데일 제닉스스톰 뿐이었습니다
Sugarlips
13/08/10 06:33
수정 아이콘
롤챔스한정인지는 모르겠지만 중간에 클럽 마스터즈도 추가해주시면 화룡점정이 될것 같아요 ^^.
13/08/10 07:30
수정 아이콘
롤인비 전후인지 기억이 잘 안나는데 인벤 AMD챔피언쉽에서 원조 롤클라시코가

희대의 막장 대회 운영으로 5전 3선승제 결승이 3전 2선승제가 되어버린 사건도 있죠. 원래 인기 있던 2팀끼리 8강에서 단두대매치로 만들어지긴했지만

이 사건도 기름을 부은 지라
13/08/10 09:58
수정 아이콘
언젠가는 코카콜라때부터 봤습니다. 처럼 롤인비때부터 봤습니다. 이런 말도 나오겠죠?크크
게임시청인생에 있어서는 택뱅리쌍 이후 두근두근대며 경기보는건 오랜만입니다. 롤 재밋네요.
강동원
13/08/10 10:00
수정 아이콘
종종 혼자서 막 상상의 나래를 펼치곤 합니다.
윈터 8강 롱판다의 새친구 신짜오가 5경기까지 지배했다면.
그 기세를 몰아 윈터 우승까지 따냈다면...
전 세계의 모든 롤팀이 세계 최강 CJ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를 하고 있을 수도 있겠죠...

아아 롱판다는 위대했슴미다.
Sugarlips
13/08/10 12:00
수정 아이콘
롱판다의 스타성은 정말 대단한것 같아요 흐흐 왠만한 A급 탑솔로보다 훨 자주 언급되네요
13/08/10 14:11
수정 아이콘
5경기도 신짜오는 괜찮았죠.. 근데 렝가가 죽질 않아...
13/08/10 14:18
수정 아이콘
샤이 : 다른챔프는 안되는데.. 렝가는 되네요 ^^
그당시 렝가는..어우..

그리고 끝까지 케이틀린 누누로 가지 .. 왜 자이라요.. ㅠㅠ
Legend0fProToss
13/08/10 17:16
수정 아이콘
샤이는 당시 유행하거나 op소리 듣는 챔프들을 금방금방 숙달해서
꿀을 흘리지 않는달까요... 올라프,렝가,제이스 등등 언제나 뒷쳐지지 않고 핫한챔프들을 항상 수준급으로 다루는거같네요
13/08/10 10:50
수정 아이콘
13롤드컵
4강에 한국팀 3팀이 올라가고
귀신같이 비한국팀 1팀이 한국메타를 찢으며 우승하지는...않겠죠
헤헤
박준모
13/08/10 12:57
수정 아이콘
그렇게 된다면 EG나 M5가 되기를... 북미팀이나 중국팀이 우승하는건 싫어요 ㅠㅠ
롤링스타
13/08/10 12:36
수정 아이콘
인섹 다데 우최발 낀시
제가 첨으로 좋아했던 팀인데...
뿔뿔이 흩어져서...
덕분에 전 팀보다는 각각의 플레이어 위주로 좋아합니다.
저 네명에 고전파 임프 메라 노페 샤이 등등
.Fantasystar.
13/08/10 13:16
수정 아이콘
롤챔스 1년 반 동안 롱판다보다 더 강력한 (여러 의미로) 탑솔러는 없었던 거 같습니다.
예전에도 없었고 지금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최정상급의 동료 4명을 봉인시키며 롤챔스를 수호한 수호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069 [LOL] MVP 오존 VS CJ ENTUS 프로스트의 개인적 관전 포인트 [80] 글쓴이11233 13/08/28 11233 2
52068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3,4위전 프리뷰 [158] 노틸러스9769 13/08/27 9769 1
52067 [스타2] 다시 시작하는 WCS 시즌3 GSL 32강 A조 프리뷰 [83] 하후돈12094 13/08/27 12094 3
52066 [LOL] 트롤 하는게 甲 인가요... [92] 정공법11783 13/08/27 11783 0
52065 [LOL] 롤챔스는 왜 토너먼트인가? [27] 마빠이11213 13/08/27 11213 0
52064 [LOL] 미니언의 티모 공략 2 [26] 대경성13363 13/08/27 13363 4
52062 [기타] 더 뷰로 : 기밀 해제된 엑스컴 리뷰 [13] 저퀴9133 13/08/27 9133 0
52061 [LOL] 와드갯수에 관한 토론? 입니다. [96] TheWeaVer11429 13/08/27 11429 0
52060 [LOL] 롤드컵 조편성 - 추측을 통한 죽음의 조 만들어보기? [28] 피베8092 13/08/27 8092 0
52059 [스타2] WCS 시즌2 파이널 명장면들. [26] Colossus11494 13/08/27 11494 23
52057 [LOL] 한국의 중심에서 북미, 유럽잼을 외치다 [26] 모리아스9955 13/08/26 9955 0
52056 [LOL] 우리는 공정한 심판을 적용하고 있는가 [114] Merry10419 13/08/26 10419 8
52055 [LOL] 현재까지 롤드컵 관련 정보들 정리 [45] Leeka11876 13/08/26 11876 5
52054 [스타2] 이제동, 폭군이 돌아오고 있습니다. [42] 파란만장15057 13/08/26 15057 14
52053 댓글잠금 [스타2] WCS 시스템을 지지합니다. (댓글 잠금) [196] 아바투르15058 13/08/26 15058 1
52052 [스타2] 2013 WCS 시즌2 파이널 종족별, 지역별 결과 정리 및 감상 [31] Colossus10723 13/08/26 10723 3
52051 [LOL] 미니언의 티모 공략 1부 [40] 대경성14067 13/08/26 14067 3
52049 [스타2] 2013년 8월 넷째주 WP 랭킹 (2013.8.25 기준) - 폭격기 날다 [2] Davi4ever8336 13/08/26 8336 2
52048 [스타2] 2013 WCS 시즌2 파이널 소감 [68] 저퀴11440 13/08/26 11440 6
52047 [LOL] 유럽 국가대표 3개팀의 라인별 모스트 챔프. [49] Leeka10086 13/08/26 10086 1
52046 [LOL] 롤드컵 6번째 자리. 겜빗 게이밍 합류! [38] Leeka9721 13/08/25 9721 0
52045 [LOL] 나진을 겨냥한 컨트롤 비트. NLB 4강은 정말 문제가 없었는가? [335] F.Lampard22974 13/08/25 22974 17
52044 [스타2] 스타크래프트2 그 단순한 스토리 [46] 돌프10820 13/08/25 1082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