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7/30 12:43:49
Name 캐리어가모함한다
Subject [스타2] [실전영상] 군단의 심장 캠페인 Brutal 난이도 공략 (19, 행성 침공)
이 날을 위해 케리건의 군단은 모든 것을 준비했죠. 이제 지긋지긋한 멩스크와의 악연을 끊기 위해 코랄로 진격합시다!

최후의 임무 1 - 행성 침공
주 목표 : 부패 주둥이를 보호 (총 5기 보호, 3번 이상 파괴되면 안 됨) (보상 : 울트라리스크 진화 임무)
보너스 목표 : 아우구스트그라드 관문 파괴 (총 3군데)
임무 시작 전 유닛 변이 : 저글링 - 아드레날린 과부하 / 맹독충 - 부식성 산
임무 시작 전 케리건 능력 선택 : 에너지 폭발, 사이오닉 돌진, 저글링 부활, 맹독충 생성, 쌍둥이 일벌레, 능력 효율, 거대괴수 생성
※ 능력 효율 업적을 위해 에너지 폭발, 사이오닉 돌진, 맹독충 생성, 거대괴수 생성 선택
※ 최후의 임무에서는 업적 달성을 위해 각 임무별로 케리건의 궁극기를 하나씩 번걸아가며 선택 : 행성 침공에서는 거대괴수 생성
업적 1 : 주둥이만 살아서 - "행성 침공" 임무에서 부패 주둥이 잃지 않기
업적 2 : 파멸의 시작 - "행성 침공" 임무에서 다섯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기 전에 아우구스트그라드 관문 3개 파괴 (보통 난이도)
업적 3 : 파티 종결자 - "행성 침공" 임무에서 다섯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기 전에 모든 자치령 구조물 파괴 (어려움 난이도)


HD 720p 및 fullscreen 권장

- 기지를 빠르게 활성화 시키면서 케리건은 지속적으로 맹독충을 생성합니다. 중요한 점은 맹독충을 반드시 두 번씩 생성하여
(총 12기 생성) 5시 쪽으로 자폭 공격을 보냅니다. 맹독충들은 벙커를 가장 먼저 파괴하고 이후에는 어택땅을 해도 괜찮습니다. (동영상 참조)
- 광물이 쌓이기 시작하면 부화장을 3개 더 늘려주고, 저글링+맹독충 대량 생산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동시에 첫 번째 부패 주둥이를
지켜야 하는데, 해병+불곰과 해병+기갑병이 각각 러쉬를 옵니다. 케리건의 스킬로 가볍게 막아주고 앞쪽에 있는 벙커까지 제거하세요.
- 첫 번째 부패 주둥이에 대한 자치령의 공격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저글링+맹독충 부대를 생산하여 자치령에 대한
순회 공연을 준비합니다. 또한 두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는 시점과 맞물려서 거대괴수를 소환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 하나...왜 맹독충들은 게임 시작부터 끊임없이 5시로 보냈을까요? 그 이유는 맹독충으로 5시를 사전에 제압하지 않으면,
5시의 수많은 유닛들이 두 번째 부패 주둥이를 파괴하기 위해 몰려오기 때문입니다. 5시를 사전에 많이 약화시켰다면
생산된 병력의 물량을 힘입어 지체없이 5시, 3시 쪽 관문, 그 옆의 자치령 기지까지 순차적으로 밀 수 있습니다.
- 5시와 3시 쪽 관문에는 각각 고지에 있는 미사일 포탑이 있습니다. 이걸 시야에서 놓치면 업적 달성이 안 되니 꼼꼼히 확인하세요.
- 거대괴수, 맹독충, 사이오닉 돌진 (적에게 접근), 에너지 폭발 순으로 스킬을 사용하면 능력 효율에 대한 업적 달성이 가능합니다.
- 거대괴수는 따로 편성을 하여 세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는 지점에 있는 테란 바이오닉 병력들을 쓸어버리세요. (킬수 올리기)
- 세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는 시점에 다시 거대괴수를 소환할 수 있게 됩니다. 생산한 병력과 거대괴수의 힘으로 9시 자치령 기지를 밀고
"코랄의 후예" 특공대도 간단히 제압하세요. 당연히 자치령 기지를 밀어버리고 난 후에는 그 곳에 멀티를 해야겠죠?^^
- 지금부터는 다섯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기 전까지 열심히 순회 공연을 하면 됩니다. 저글링+맹독충의 어택땅 물량이면 지상은 충분히
쓸어버릴 수 있고, 케리건과 거대괴수의 스킬은 부족한 대공 능력을 극복하는데 사용합니다. 적의 가장 큰 위협은 두 번 있습니다.
하나는 게임 시작 후 16분 30초대에 9시로 들이닥치는 해+불+의 부대이고, 다른 하나는 다섯 번째 부패 주둥이가 착륙하기 1분 전에
출동하는 바이킹+밴시 편대인 "밤의 늑대" 입니다.
반드시 이 타이밍에 맞춰서 히드라리스크나 뮤탈리스크를 전장에 충원합니다.

지난 글 피드백
- 가루맨 / 빨리 마무리 지어야죠~
- 행신동유희열 / 감사합니다^^
- 눈시BBbr / 음...나루드에게 치명상을 입고도 안 죽었으니 권총을 이마에 쏴도 안 죽을 수 있겠군요?

최후의 임무에서 달성해야 하는 업적들 (굵은 글씨는 업적 달성 성공!)
- 최후의 임무에서 보통 및 어려움 난이도에서 달성해야 하는 것들 (예를 들어 25분 안에 심판 임무 클리어)
- 우주 관광 : 거대괴수에서 볼 수 있는 모든 개체 클릭 (통신 중계, 멩스크의 황궁)
- 아바투르의 요리책 : 진화 임무 모두 완료 (울트라리스크)
- 이제 됐다, 준비 완료! : 코랄에서 멩스크의 황궁을 습격하기 전에 아바투르, 자가라, 데하카, 스투코프, 이즈샤와 대화
- 능력자 : 능력 효율로 10초 안에 4개의 능력 사용 (동영상에서 첫 거대괴수를 소환하는 부분 참조)
- 크라켄을 내보내라 : 한 임무에서 거대괴수로 유닛이나 구조물 25개 처치 또는 파괴
- 종합괴물세트 : 한 임무에서 낙하 주머지 3회 사용
- 지옥의 묵시록 : 한 임무에서 파멸로 유닛이나 구조물 50개 처치 또는 파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연우
13/07/30 16:05
수정 아이콘
5시 터렛 짜증나죠... 분명 깔끔하게 밀었다고 생각했는데.

그래서 이 맵 만큼은 날개달린 저글링 씁니다.
캐리어가모함한다
13/07/30 16:19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 경험이시군요^^
인피니티
13/07/30 21:48
수정 아이콘
굳이 없어도 될 캐리건이 있어서 난이도가 대폭 하락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014 [LOL] 최고의 천적 대결! SKT T1 VS MVP 오존 프리뷰. [54] Leeka10790 13/08/22 10790 1
52013 {} [30] 삭제됨8863 13/08/22 8863 4
52012 [스타2] 스타크래프트 II 2.0.11 패치 노트 (8월 22일 업데이트) [4] kimbilly10296 13/08/22 10296 0
52011 [LOL] 이제는 KTB vs 오존을 예상해 보려고 합니다. [42] 아사9822 13/08/22 9822 0
52010 [LOL] 롤챔스 섬머 레슨 6화 영상 및 후기 [16] Leeka9983 13/08/22 9983 0
52009 [LOL] 현재 Gamescom에서 LOL 월챔에 진출할 팀을 아마 뽑고 있는게 맞겠죠? [30] 키토8878 13/08/21 8878 0
52008 [LOL] 오늘 프로스트 vs KT B 1, 2 경기 간단히 분석해보겠습니다. [38] 굼시8486 13/08/21 8486 0
52007 [LOL] KTB는 현재 가장 운영을 잘하는 팀입니다. [45] 아트라스9611 13/08/21 9611 3
52006 [LOL] 롤챔스 4강 그리고 클라우드 템플러와 래피드 스타 [45] 태랑ap9743 13/08/21 9743 3
52005 [LOL] 맛밤5를 추억하며.. [17] 헬리코박텨8729 13/08/21 8729 1
52004 [LOL] 롤드컵 경우의 수 최신 버전. [57] Leeka10197 13/08/21 10197 7
52003 [LOL] 프로스트(+블레이즈)는 정글러 교체 없이는 앞으로 4강 이상 힘듭니다. [246] 블라디미르11474 13/08/21 11474 3
52001 [기타] 게임 결제를 한 자의 최후 [53] 실인10630 13/08/21 10630 1
52000 [LOL] 경험치 룬에 대한 인식의 전환 (뉴메타 LTE 무무정글) [34] 종이인간12620 13/08/21 12620 0
51999 [스타2] 스타2가 살아나기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 해봅시다. [139] 찐쌀12101 13/08/21 12101 4
51998 [기타] 대중적 PC게임 장르의 한계 [33] 칠리콩까르네8189 13/08/21 8189 1
51997 [스타2] 블리자드는 게임철학부터 망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57] HUMANITY13565 13/08/21 13565 11
51996 [공지] 펌글 출처표기 의무화 / 본문삭제 기능 추가 [6] Toby6391 13/08/20 6391 0
51994 [기타] 여러분의 겜실력 전성기는 몇 살이셨나요? [113] oculus11560 13/08/21 11560 9
51993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4강전 A조 프리뷰 [215] 노틸러스11541 13/08/20 11541 2
51992 [스타2] 스타2 유닛 디자인에 대한 아쉬움. [89] 돌프13943 13/08/20 13943 1
51991 [기타] 부분유료화 모델로 게임관련 산업이 어디까지 발전 할 수 있을까요? [20] 유라9287 13/08/20 9287 1
51990 [LOL] 첫번째 롤드컵 참가팀. 미네스키 진출전 영상. [12] Leeka8899 13/08/20 88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