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8/21 02:34:05
Name Davi4ever
File #1 WP(120819).JPG (596.5 KB), Download : 18
File #2 GWP(120819).JPG (600.5 KB), Download : 16
Subject 2012년 8월 셋째주 WP 랭킹 & GWP 랭킹 (2012.8.19 기준)




2012년 8월 셋째주 WP 랭킹 & GWP 랭킹입니다.
어제 펼쳐졌던 8게임단 vs CJ의 프로리그 경기는 다음주 WP 랭킹에 반영되고,
WCS 국가대표선발전 경기는 WP 랭킹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일단 GSL 공식전 전적에 포함되지 않고,
단기간 펼쳐지는 32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경기이기 때문에
패자조 점수가 폭등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두 랭킹은 브루드워와 자유의날개 랭킹이 아닌,
WP 랭킹은 KeSPA 선수들, GWP 랭킹은 비KeSPA 선수들의 랭킹임을 말씀드립니다.
(향후 KeSPA 선수들과 비KeSPA 선수들의 맞대결이 스타리그에서 펼쳐질 경우
KeSPA 선수 승리시 -> 비KeSPA 선수의 1년간 승수*1.5만큼의 점수를 WP랭킹에서 추가하게 되고,
비KeSPA 선수 승리시 -> KeSPA 선수의 1년간 승수*1.5만큼의 점수를 GWP랭킹에서 추가하게 됩니다.)

정명훈이 5주 연속 WP 통합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 허영무와의 점수차는 56점으로 지난주와 비슷합니다.

테란랭킹 1위 역시 5주 연속 정명훈입니다 (전체랭킹 1위, 통산 42주)
테란랭킹 2위 이영호(전체랭킹 3위)와의 점수차는 200.2점으로 20점 정도 벌어졌습니다.

김명운이 한 주만에 다시 저그랭킹 1위를 탈환했습니다. (전체랭킹 4위, 통산 14주)
저그랭킹 2위 김정우(전체랭킹 5위)와의 점수차는 불과 6점입니다.

프로토스랭킹 1위는 14주 연속 허영무가 차지했습니다. (전체랭킹 2위, 통산 40주)
프로토스랭킹 2위 정윤종(전체랭킹 7위)과의 점수차는 356.2점으로 30점 정도 벌어졌습니다.

김명운이 신노열에게 승리하며 4위로 1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1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송병구는 송광호-김민철을 물리치고 8위로 2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3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김대엽은 김재훈-이제동을 꺾고 9위로 2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4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이영한은 신대근-김민철에게 승리하며 11위로 2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5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김택용은 김정우를 물리치고 13위로 2계단 상승했습니다.
김유진은 정윤종-허영무를 꺾고 15위로 9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7위로 4계단 상승했습니다.
도재욱은 신재욱에게 승리하며 19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임정현은 전태양을 꺾고 22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어윤수는 김민철에게 승리하며 26위로 4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10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염보성은 고강민을 물리치고 27위로 2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6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김도우는 송병구-임진묵에게 승리하며 29위로 4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7위로 2계단 상승했습니다.

이재호는 김택용을 꺾고 32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진영화는 김성대에게 승리하며 36위로 3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5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조병세는 어윤수를 물리치고 37위로 5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11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박대호는 김성현을 꺾고 39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40위권 밖의 순위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윤철, 도재욱에게 승리하며 42위로 3계단 상승.
-이예훈, 김명운-정우용을 물리치고 52위로 17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14위로 6계단 상승)


GWP 통합랭킹에서는 장민철이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 정종현과의 점수차는 3.3점으로 매우 근소합니다.

테란랭킹 1위는 14주 연속 정종현입니다. (전체랭킹 2위)
테란랭킹 2위 윤영서(전체랭킹 5위)와의 점수차는 353점으로 40점 가까이 줄었습니다.

저그랭킹 1위는 16주 연속 박수호가 지키고 있습니다. (전체랭킹 4위)
저그랭킹 2위 이동녕(전체랭킹 7위)과의 점수차는 211점으로 50점 정도 줄었습니다.

프로토스랭킹 1위는 6주 연속 장민철입니다. (전체랭킹 1위)
프로토스랭킹 2위 박현우(전체랭킹 3위)와의 점수차는 112.3점으로 170점 가량 줄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hive
12/08/21 07:58
수정 아이콘
요즘 저그는 에이스가 없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413 블리자드 코리아, 4주 주말간 디아블로3 PC방 혜택 이벤트 진행 [30] kimbilly7210 12/08/27 7210 0
48412 2012 MLG 서머 챔피언십 LOL 부문에서 승부조작 관련 몰수게임이 나왔습니다. [66] 김티모7593 12/08/27 7593 1
48411 기왕 버린 몸이니 오히려 짝을 지어줘라? [171] ramasal7924 12/08/27 7924 13
48410 GSL과 곰TV는 전혀 급할게 없는 입장입니다. [39] Fromyou5897 12/08/27 5897 0
48409 '협회'와 '연맹'의 치킨게임 속에서 곰TV와 온게임넷이 나섰으면 좋겠습니다. [68] Alan_Baxter6482 12/08/27 6482 4
48408 이번 온겜의 결정은 단순한 한 리그의 흥행 문제가 아닐수 있습니다. [32] 황제랑 늙어간다6827 12/08/27 6827 0
48407 케스파의 마수에서 롤 리그인들 무사할 수 있을까?? [105] 여망6910 12/08/27 6910 1
48406 지금 사태에서 필요한건 협회의 입장변화지 다른건 없습니다. [228] 타테시6145 12/08/26 6145 1
48405 2012 MLG Summer Championship 스타2 부문 3일차 및 관전 포인트 [97] 어강됴리6028 12/08/26 6028 0
48404 결국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은 케스파 선수들이라 생각합니다. [56] Fromyou5785 12/08/26 5785 0
48403 2012 리그오브레전드 각 대회 총 상금 규모 [19] 마빠이7925 12/08/26 7925 1
48402 찻잔 속의 폭풍 [11] 매콤한맛5158 12/08/26 5158 0
48401 스타2판 앞으로 어떻게 될것인가 [52] 비프만머거..7440 12/08/26 7440 1
48400 제자리 걸음 [30] The xian7390 12/08/26 7390 8
48399 도대체 연맹은 '무슨 양보'를 해야 하는 것인가 [10] rechtmacht5848 12/08/26 5848 8
48398 온게임넷이 내일 스타리그 관련 결정을 내린다고 합니다. [166] 그랜드마스터9090 12/08/26 9090 0
48397 이영호의 스타1 마지막경기가 시작되는군요 [37] Wicked10122 12/08/26 10122 0
48396 2012 MLG Summer Championship 2일차 & WCS 북미 대표 선발전 [18] 어강됴리5468 12/08/26 5468 0
48395 Siha님의 26일 KT경기 故우정호 선수 추모 행사 요청을 전합니다 Judas Pain8474 12/08/26 8474 4
48394 포스트시즌 탈락 팀에 한해서 GSL에 참가를 시키는 방안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61] 타테시6757 12/08/25 6757 1
48393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한국 대표 선발전 - 최종 결승전 [109] kimbilly5373 12/08/25 5373 0
48392 협회와 연맹의 상황 분석 및 절충안 고찰입니다. [40] 광개토태왕8231 12/08/25 8231 2
48391 연맹의 재입장 표명을 지지하며 (항의 일정 취소함) [29] Judas Pain10915 12/08/25 10915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