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5/19 22:23:30
Name kimbilly
Subject 2012 HOT6 GSL Season 2 - 결승전 <현장 스케치>

▲ 결승전이 열릴 AX-KOREA 는 만원 관중. 좌석 부족으로 복도에서 보기도 했습니다.


▲ 오늘도 등장했다. 1,000인치 대형 스크린이 설치된 무대.


▲ 생방송 시작 전 Off The Record 를 진행하는 안준영-채정원 해설.


▲ StarTale 의 박현우 선수 가족들.


▲ StarTale 팀원들과 김광복 감독이 무대를 바라보고 있다.


▲ 경기를 준비중인 정종현 선수.


▲ 김광복 감독과 함께 경기를 준비중인 박현우 선수.

▲ LG-IM 팀원들과 강동훈 감독.

▲ 서경환 캐스터가 관중들의 흥을 돋구고 있다.


▲ 박상현 캐스터의 진행으로 생방송이 시작된다.


▲ 돌출 무대에 등장한 정종현-박현우 선수.


▲ 두 선수가 악수하고 경기석으로 들어가고 있다.


▲ 대형 스크린에 두 선수가 보이고, 곧 경기가 시작되려 한다.


▲ 한국어 중계진 앞에 핫식스가 인상적이다. 선수 소개를 하는 중계진.


▲ 글로벌 중계진도 열정적인 중계에 임한다.


▲ 안준영 해설과 글로벌 중계진이 한국 음식을 체험하는 영상이 광고중에 방영되었다.


▲ 맹독충을 녹화하는 박상현 캐스터와 황영재 해설.


▲ 김광복 감독과 정우서 선수가 부스에서 박현우 선수에게 조언하고 있다.


▲ 맹독충을 녹화중인 황영재-박대만 해설과 박상현 캐스터.


▲ 화제의 5경기. 40분간의 혈투 끝에 전투 순양함 다수가 준비된 정종현 선수의 병력.


▲ 박현우 선수의 공허 포격기와 추적자 병력으로 상대를 압도하며 3:2로 따라잡았다.


▲ StarTale 선수단이 일제히 박수치며 환호하고 있다.


▲ StarTale 의 원종욱 총감독과 김광복 감독이 박현우 선수에게 조언을 해 주고 있다.


▲ 정종현 선수는 여유있게 PlayXP 를 눈팅하고 있다.


▲ 마지막 경기에 남은 박현우 선수의 소수 추적자. 해병과 건설로봇으로 일발 역전을 노리려는 정종현 선수의 플레이로 우승을 확정했다.


▲ 정종현 선수가 LG-IM 팀원들에게 헹가레를 받고 있다.


▲ 박상현 캐스터가 정종현-박현우 선수를 인터뷰 하고 있다.


▲ 돌출 무대 중앙에 트로피가 눈에 보이고 있다.


▲ 박현우 선수가 준우승 상금을 받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정종현 선수가 우승 상금을 받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정종현 선수가 두 손을 들고 우승의 감격을 누리고 있다.


▲ 트로피에 키스를 하는 정종현 선수.


▲ LG-IM 팀원들 모두 기념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다.


▲ 디아블로3 초대 한정판이 걸린 최후의 승리 관객은 누가 될런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언데드네버다��
12/05/19 22:36
수정 아이콘
오늘 친구들과 거의 1년만에 현장관람 다녀왔는데 정말 분위기도 좋고 경기도 재밌고 참 좋더군요. 아 이렇게 재미있는 게임이 인기가 없고 저그가 없다니 ㅠㅠ 하여튼 정종현 선수 우승 축하드립니다. 트로피 바로 옆에서 신나게 구경했네요 크크크
12/05/19 22:37
수정 아이콘
최고의 결승전
신예terran
12/05/19 22:38
수정 아이콘
전투순양함 나오는 사진 5경긴데 6경기로 잘못나온거 같습니다.
아 오늘 현장관람 갈걸 그랬습니다. 정말 최고..
워크초짜
12/05/19 23:06
수정 아이콘
오늘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정말 좋은 자리에서 관람 할 수 있어서 기분 좋았습니다 :)
greensocks
12/05/19 23:07
수정 아이콘
스타1,2 통틀어 제가 본 결승전중에서 끝까지 승자를 알수없던 박진감 넘치는 경기였습니다
스타2도 관심 있게 지켜봐야겠네요
12/05/19 23:11
수정 아이콘
거의 WCG 이후 처음 보다시피 할정도로 굉장히 오랜만에 봤었는데
프로리그도 선수들의 실력이 적정 수준으로 오른다면 병행이 끝나도 흥행성은 보증될 것 같은 느낌마저 들었네요.
저에게 만큼은 처음으로 스2에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경기였습니다.
자유수호애국연대
12/05/20 11:44
수정 아이콘
결승장소가 좁아서 사람 다 못들어간 게 약간 아쉬웠던것 말고는 모든 면에서 훌륭했던 결승전이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피지알, 디씨, 플레이엑스피에서 모두 떠받드는 김빌리님 화이팅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175 야만용사에게 불지옥은 거의 불가능급이네요. [20] 오토모빌굿8214 12/05/22 8214 0
47174 [GSL 결승 리뷰] 4경기~5경기 [23] 캐리어가모함한다6712 12/05/22 6712 0
47173 스타1 프로게이머들과 GSL리거들은 언제 처음 만나게될까요? [15] 지노5746 12/05/22 5746 0
47172 스2 MLG 4강 3저그 및 저그우승 / 프로리그 일정조정 필요성 [17] 자유수호애국연대5206 12/05/21 5206 0
47169 [디아블로3] 지옥 난이도에 갓 진입한 허접 부두술사 이야기. [15] 이것봐라7582 12/05/21 7582 0
47168 역사적인 첫 온게임넷 스타2리그 초대 우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기타 여러가지 잡담) [33] RPG Launcher7559 12/05/21 7559 0
47167 LOL Battle Royal WE vs Xenics Storm(2) [255] aSlLeR6404 12/05/21 6404 0
47165 LOL Battle Royal WE vs Xenics Storm [353] aSlLeR6237 12/05/21 6237 1
47164 2012 GSL Season 3 - 승격 강등전, A조 [117] kimbilly4681 12/05/21 4681 0
47163 [GSL 결승 리뷰] 1경기~3경기 [10] 캐리어가모함한다6156 12/05/21 6156 1
47161 스1 선수들이 스2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면서 연습했으면 좋겠습니다. [11] RPG Launcher6811 12/05/21 6811 0
47160 게임을 보는데 무슨 공부가 필요합니까? [77] 이현규8181 12/05/21 8181 1
47159 SK planet StarCraft II Proleague Season 2 - 1주차, 8게임단 vs CJ #1 [241] SKY927334 12/05/21 7334 0
47158 제가 볼때 디아3 현존 최고캐는 악마사냥꾼으로 흘러가는거 같습니다. [75] kdmwin10175 12/05/21 10175 0
47157 프로리그 데이 스2 부분 관련 정리 & 개인감상평 [22] Marionette7111 12/05/21 7111 1
47156 [LOL] 배치고사를 끝마쳤습니다. [18] 영혼6841 12/05/21 6841 0
47155 프로리그 스타 2 해설에 초보자에게 친절함이 필요하다. [20] 타테시6738 12/05/21 6738 0
47154 오늘 프로리그 보고난 후기 [21] shasty6742 12/05/21 6742 0
47153 오늘 스1과 스2를 병행한 프로리그의 출범 어떠셨나요? [25] 홈런볼7277 12/05/21 7277 0
47151 SK planet StarCraft II Proleague Season 2 - 1주차, STX vs 웅진 #1 [338] SKY929073 12/05/20 9073 0
47150 SK planet StarCraft II Proleague Season 2 - 1주차, 공군 vs 삼성전자 #2 [221] SKY926306 12/05/20 6306 0
47149 SK planet StarCraft II Proleague Season 2 - 1주차, 공군 vs 삼성전자 #1 [284] SKY926829 12/05/20 6829 0
47148 SK planet StarCraft II Proleague Season 2 - 1주차, CJ vs KT #6 [174] SKY927841 12/05/20 784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