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5/07 11:32:23
Name SKY92
Subject 스타리그 공식 후원사는 tving으로 결정되었네요
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24375&db=issue&cate=&page=1&field=&kwrd=

결국 일전에 PGR의 회원분이 올린 글 대로군요....


온게임넷의 편성표가 결국 스폰서를 예고한것이나 다름없었네요.


결국 자사계열 스폰서로 가게되는데......

조지명식 방식은 조추첨과 조지명을 혼합한 방식이라던데...... 그런 방식이라면 일전에 에버 09 스타리그랑 대한항공 시즌 1,2에서 썼던 방식이 있는데 그거랑 또 다른것일지도 궁금하네요.

(아마 상위 4명의 선수를 제외하고 조를 전원 추첨한뒤에 시드 4명의 선수들이 골든볼로 원하는 선수 데려오는 방식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말이죠..... 또 어떤 새로운 방식일지)

그나저나 화요일 수요일날 스타리그 진행이라니....


스타리그가 금요일에 열리지 않는다는 소리를 들으니까 뭔가 허전하기도 해요.


스타리그는 사실 금요일인데 ㅠㅠ

저번 스타리그와 저저번 스타리그처럼 계속 7시 30분에 중계하는군요.....

이번 스타리그는 스 2 병행으로 인한 경기력 저하에 마지막 스 1 스타리그라는 등 외적으로 많이 힘든 일을 겪고 있는데....

그런 와중에서도 선수들은 어떤 경기력을 보여줄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리그니만큼 명경기들이 속출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만.....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mpire State Of Mind
12/05/07 11:38
수정 아이콘
마지막 불꽃이 될 거 같은 씁쓸한 기분 ㅠㅠ
자사 스폰이라니.. 프로리그에 이어 스타리그마저..

이왕 이렇게 된거 8강을 토너먼트로 하지말고 예전처럼 풀리그로 해서 길게.. 길게.. 좀 더 많은 경기를 볼 수 있었으면 .. ;;;

막 재경기도 나오고 말이죠.. x줄타게 ^^;;
캐리어가모함한다
12/05/07 11:45
수정 아이콘
스폰서와 좀 무관한 글입니다만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벌써 지금부터 이런 글 쓰는게 의미가 있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만
만약에 이번 티빙 스타리그가 스1 스타리그의 마지막이라고 가정을 했을 때, (왜냐면 슬로건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고 했으니...)
이번 티빙스타리그의 상위 4명은 차기 스2 스타리그에서 시드권을 부여할까요???
슬로건도 그렇고 스1과의 연계성을 위해서라면 그럴 수도 있다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분명, 반론이 나오겠죠. 예를 들어, 시드를 줄만큼 GSL리거들과의 스2 실력이 대등하냐? 등등
(실력이 대등한지 안한지에 대한 애기는 적지 않겠습니다. 일단 스1, 스2 병행하는 프로리그의 경기력 보고 판단하면 될 일이니까요.)
뜬금없이 궁금해서 몇 자 적어봅니다;;
12/05/07 11:50
수정 아이콘
티빙이 곰tv에서 하는거 아닌가요?; 자사스폰서라기도 하지만 더 강한 곰TV와의 연계를 기대해볼수있겠네요 [m]
절름발이이리
12/05/07 12:29
수정 아이콘
곰tv는 주식 매입하고 한동안 지켜봤으나 실적이 기대만큼은 안나와 내칠 것은 아니지만 아주 밀접히 연계할 것도 아닌, 돈 들여 사온 후 지켜봤지만 이젠 제 갈길 보낸 양자 같은 느낌이고, tving은 cj e&m이 멀티 스크린에 대응하려 야심차게 출범시킨 적자지요.
12/05/07 12:49
수정 아이콘
마지막 불꽃을보여줘야겠네요. 오프도 자주가고 마지막을 즐겨야죠^^
다른스포츠에 관심을가질런지는 모르겠지만... 이후로는 일에만열중해야겠네요
12/05/07 13:01
수정 아이콘
제가 금요일에 올린 글 처럼 tving이 스타리그 스폰서가 되었는데 자사스폰 이기는 하지만 여려가지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tving이 스폐셜포스 2 네이밍 스폰이고 그전에 작년에 GSL 생중계를 tving을 해주기도 했구요. 차기 시즌 전환될 스타2를 염두에 둘 수도 있다고 생각 하구요. 그리고 조지명식 방식은 스틸드래프트일 가능성도 있어보이는 것이 예전 mbc게임 제작진이 온게임넷으로 오기도 했고 추첨 후 스틸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 될수 있다고 보입니다. 아니면 예전 골든볼 제도가 다시 사용 될수도 있을것 같기도 하네요.
불쌍한오빠
12/05/07 13:12
수정 아이콘
좋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하고 그러네요...
이번 스타리그는 진짜 재밌어서 본다기 보단 아쉬운 마음에 보게 될거 같아요
12/05/07 13:54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자사 스폰이라 보기에는 나름 명분이 있지 않나요?

SK planet이야 진짜 마지못해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TVing의 경우 스타리그 주 시청층이랑 주 고객층이랑
맞기도 하고 다른 e-sports도 밀어주고 있죠.
12/05/07 14:02
수정 아이콘
티티티티티빙닷컴
12/05/07 14:08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가 열리는 그날까지 화이팅
12/05/07 17:52
수정 아이콘
데일리에서는 조지명식 방법도 나왔네요. 1번부터 4번시드까지 선 지명후 후 추첨방식입니다. 선 추첨후 후 드래프트 방식도 재밌을 거 같지만, 후자가 자기 조에 원하지 않는 선수를 빼는 방식이라면 전자는 자기 조에 원하지 않는 선수도 받아들여야 하는 방식이라 각자 장단점이 있을거 같네요.
스타리그가 화,수에 편성된 걸 보면 앞으로 온게임넷의 리그 편성 정책의 구상이 추측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앞으로 LOL이 수, 금을 확실히 차지하고, 스타크래프트1,2 리그가 토,일,화,수에 편성, 스포리그가 토,일에 편성되고, 기타리그가 월, 목, 기타시간대에 편성되는 식으로 가게 될 거 같군요. 앞으로 월요일부터 서든,스타,스타(LOL),철권,LOL,스타,스타로 일요일까지 방송될 것으로 보입니다.
LOL 더 챔피언스 서머에 대한 정보도 데일리에 올라왔습니다. 진출전을 6일부터 15일까지 지난 번처럼 All Day가 아닌, 2주로 나눠서 방송할 예정인 듯 싶구요, 스타리그 8강부터 화요일 주 1회로 고정하고 LOL 더 챔스와 함께 진행할 예정으로 생각됩니다.(전용준 캐스터님, 엄재경 해설님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ㅠ)
포모스에는 아직 안올라왔지만, 데일리에서는 알수 있는 정보가 있네요. 데일리의 기사 수준이 맘에 안들어서 안갈려고 하는데 보도자료나 새로운 정보 얻는데 있어선 데일리가 더 빠르다고 생각되네요. 포모스는 예전에는 안그랬던거 같은데 요새는 커뮤니티화 되고 기사 양이나 질이 점점 떨어지는 거 처럼 보이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추가로 오프닝정보도 있었군요. 임요환, 홍진호선수가 스타리그 오프닝 촬영을 했다고 합니다. 예전 인크루트때와 같은 컨셉일려나요. 아니면 역사의 총정리의 의미일려나요...
12/05/07 18:27
수정 아이콘
어쩌면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스타리그인가요
12/05/07 19:09
수정 아이콘
게임조선 기사 보니까 이번 스폰은 스타2리그를 앞두고 시험 무대 일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온게임넷은 이번이 마지막 스타1 스타리그이고 7월부터 스타2 스타리그가 시작 될 예정인데 티빙은 인터넷 뿐만이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등 스타리그를 볼 수 있고 이번 시즌 티빙에서 제공하는 스타리그 전용관은 로그인 없이 누구나 시청 할수 있다고 합니다. 온게임넷 관계자는 스타리그 전용관은 이번시즌에 사용되지만 계속 유지되는 것은 정해진 바가 없다고 하는데 온게임넷은 티빙이 자회사이라 스타2에서 곰티비 대 티빙의 온라인 플랫폼 대결도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홍시마
12/05/07 19:52
수정 아이콘
스타판에서만 유독 자사스폰을 꺼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국내의 모든스포츠가 자사스폰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는데 야구는 최근에 탈피하긴했지만 전시즌은 롯데카드였고
심지어 남자농구인가는 우승팀이 다음시즌 메인스폰을 무조건해야하는 조건도 있는데
보면 항상 스타는 자사스폰이 되면 판이 망할거라는 말들을 많이봐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209 [디아3]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않는 블리자드표 밸런스 [22] 태랑ap7191 12/05/23 7191 1
47208 2012 GSL Season 3 - 승격 강등전, C조 [157] kimbilly5053 12/05/23 5053 0
47207 온게임넷 스타2리그는 스타리그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을 수 있는가. [18] RPG Launcher6000 12/05/23 6000 0
47206 스타2 관련 질문 받습니다. [53] 자유수호애국연대6115 12/05/23 6115 1
47205 (디아블로3)경매장의 재미 [34] 니케6109 12/05/23 6109 0
47204 선수협의 필요성... [31] 삼성전자홧팅6369 12/05/23 6369 0
47203 스타2, 디아3, 판다리아의 안개.. 연속되는 블리자드에 대한 실망 [208] 포풍트런들11994 12/05/23 11994 1
47202 스2 입문자를 위한 글 모음 [8] Cand5786 12/05/23 5786 0
47201 (디아블로3) 잠수함 패치가 있었다고 합니다. [133] Hon10438 12/05/23 10438 0
47200 백문이 불여일행, 해설자한테만 요구할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35] RPG Launcher5958 12/05/23 5958 0
47199 [디아3] 디아블로3의 만렙컨텐츠에 대하여 [27] 거간 충달7315 12/05/23 7315 0
47198 (S2PL) 오늘 KT의 엔트리를 보니 영 찝찝하네요.. [6] 절대 그러실 분이7211 12/05/23 7211 0
47197 이번 오프닝을 보면서 (스타1리그)는 이제 정말 끝이라는 생각에 먹먹해지네요. [25] Alan_Baxter7221 12/05/23 7221 0
47196 [LOL] 비주류 챔피언 탐구 - "전략적인 선택이군요, 소환사님" [20] 별비9178 12/05/23 9178 1
47195 [디아3]현시점 디아3의 심각한 문제점들 [29] 태랑ap7980 12/05/23 7980 0
47194 (스타2) 할꺼면 제대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27] 지노6270 12/05/23 6270 0
47193 진짜 병행만이 정답이었을까? [36] 타테시4531 12/05/22 4531 0
47192 디아블로3 현상황 불지옥 캐릭터 한계 정리. [43] 보봉보9587 12/05/22 9587 0
47191 결국 스1 선수들이 스2 선수들과의 실전 경험을 많이 쌓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13] RPG Launcher6032 12/05/22 6032 0
47190 [디아블로3] 어딘가 조금은 아쉽고 엉성한.. [18] 바람은미래로6571 12/05/22 6571 0
47189 LOL 프로팀 S모팀에 Find가 들어갔네요. [42] 스키드7635 12/05/22 7635 0
47188 "병행" 이라는 이름의 말도 안되는 프로리그를 계속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70] gibbous6523 12/05/22 6523 0
47187 불지옥 난이도 원하는 액트 뚫는 방법입니다. [14] 파라디소8281 12/05/22 82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