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3/11 21:52:40
Name 냥이풀
File #1 1331472328_1234_conv_jpg.jpg (238.7 KB), Download : 21
Subject [LOL] iem 월드 챔피언쉽 챔피언 픽/밴/승률 정리. 대세 챔피언은?




자료 출처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pub?key=0AteGbDC8o77WdGN1SUp6ajUyRGo5YlplMFlBVmtJcmc&gid=13


얼마전에 끝난 iem 대회에서 등장한 챔피언의 픽/밴/승률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총 44경기입니다.

93개의 챔피언중 총 72개의 챔피언이 픽되거나 밴이 되었습니다.



1. 현재 최강의 op라고 불리는 쉔은 무려 98%의 빈도로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승률은 42%로 저조합니다.

혼자서 판을 지배할 정도의 op 까지는 아닌것 같습니다.




2. 잔나가 점유율 93%, 승률 72%를 기록하면서 서포터중 단연 원탑이라는것을 증명했습니다. 하향될듯?

하지만 소나는 0%의 승률을 보여주면서 필패카드가 되어버렸네요....

아무래도 파워코드 너프의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3. 쉬바나에 이어 이렐리아가 탑 강캐로 부상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탑 리신도 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쉔은 op 다운 엄청난 인기! 케넨도 괜찮은 픽률과 승률을 보여줍니다.

또한 멸종한줄만 알았던 탑 우콩도 9번이나 픽이 되었습니다.

반면에 한국섭에서 탑솔 패왕이라 불리는 리븐, 럼블, 요릭, 니달리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4. 한국 서버에서 최고의 op로 불려지는 캐릭중의 하나인 람머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그 명성만큼 자주 픽/밴 되지는 않았습니다.

1번 픽됬지만 그판도 졌네요.

스카너 역시 외면받았습니다. 밴은 고사하고 픽도 2번밖에 안됬는데 그 2번도 다 졌습니다.

대신 의외로 문도 정글이 꽤 보였습니다. 국내에서 평이 안좋던 노틸러스도 6번이나 등장했네요.

쉬바나,우디르,리신은 탑솔,정글러 두 포지션에서 다 쓰이고 인기도 엄청 많은것 같습니다. 카운터 정글에 강하다보니 많이 쓰이는것 같네요.

순수 정글러중에서는 마오카이, 녹턴이 각각 7번, 8번 경기에 나왔습니다.





5. 원딜은 코르키, 코그모, 애쉬가 가장 두드러지는것 같습니다.

코르키와 코그모는 요즘 픽이 굉장히 많이 되고 애쉬는 버프 이후로 무시무시한 승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식이 안좋던 이즈리얼도 의외로 선전해주고 있네요.

하지만 2달전까지만 해도 원딜 최강이라 불렸던 시비르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트리스타나도 고인 수준....둘 다 픽도 안됩니다.

ps. 우르곳을 밴하게 만든 m5의 위엄! 갱플랭크도 m5 아니었으면 고인 취급 받을뻔.....





6. 솔랭 필밴 캐릭중에 하나인 카사딘은 이번 대회에 한번도 모습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딱 한번 밴이 되었을뿐...

아무래도 요즘 추세에는 맞지 않는듯 합니다.





7. 단 한번도 픽/밴 리스트에 들어가지 않은 챔피언 목록.


- 애니, 이블린, 가렌, 하이머딩거, 자르반4세, 잭스, 카르마, 카타리나, 케일, 럭스, 마스터이, 나서스, 판테온, 뽀삐, 세주아니, 샤코, 티모, 트위치, 빅토르, 제라스, 신짜오 -


밸런스 패치가 필요해보이는 영웅들이네요. 대회에 단한번도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8. 승률 0% 챔피언.


소나(9패), 오리아나(3패), 블리츠크랭크(4패), 요릭(2패), 시비르(3패), 애니비아(2패), 워윅(2패), 스카너(2패), 초가스(2패),

아칼리,직스,트런들,말자하,말파이트,그라가스,피들스틱,아무무,람머스(1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헌민
12/03/11 22:01
수정 아이콘
잔나 라이즈 리신 등이 고승률인 이유에는 m5가 큰 역활을 한것 같네요.
하루사리
12/03/11 22:08
수정 아이콘
가렌,리븐,카사딘,알리,애쉬 가지고 있는데..
알리 애쉬 말곤 인기가 없군요. 흑흑.
릴리러쉬.
12/03/11 22:09
수정 아이콘
갑자기 잔나가 하고 싶어지는군요.
마빠이
12/03/11 22:13
수정 아이콘
0 픽/밴 챔프중에 자르반, 샤코, 제라스, 빵테온은 팀 색깔에 따라서 우르갓처럼
충분히 등장할만 챔프인거 같은데, 나머지는 일반적인 랭겜에서도 잘안쓰는
유명한 고인? 들이네요
방과후티타임
12/03/11 22:45
수정 아이콘
샤코는 언제 고인대열에 들어선거죠.....?
코리안 시크릿 웨폰인데 한국인이 출전안해서 그런가.....
리신OP
12/03/12 14:52
수정 아이콘
샤코는 초반에 흥해도 유통기한 때문에 경기가 중후반까지 이어지는 대회에서는 잘 안 쓰이는 듯 합니다.

더군다나 대회처럼 와딩이 칼 같이 되있거나, 오라클을 필수로 빨고 다니는데 은신이 먹히질 않죠. 거기다 요즘 워낙 정글러 풍년이고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성향 때문에 샤코 유저가 줄어드는 이유 같기도 합니다.
고르곤
12/03/11 22:50
수정 아이콘
누누가 2번이나 밴 된게 신기하네요.
찰진심장
12/03/11 22:50
수정 아이콘
쪼렙때 부터 잔나를 즐겨하면서 너프 걱정은 그다지 안했었는데 다른 서포터 너프가 이렇게 다가올 줄이야.
一切唯心造
12/03/11 22:51
수정 아이콘
픽/밴 리스트에 들어가지 않은 캐릭터 중 몇 개는 뽑아도 그만, 안뽑아도 그만인 캐릭터들이 많네요.
그래도 대표적인 고인캐릭터들은 다 저 안에 들어있네요.
뚫훓쀓꿿삟낅
12/03/11 23:19
수정 아이콘
잔나의 승률은 경이롭군요 허허
우르곳을 밴시키는 m5의 위엄....
뚫훓쀓꿿삟낅
12/03/11 23:20
수정 아이콘
- 애니, 이블린, 가렌, 하이머딩거, 자르반4세, 잭스, 카르마, 카타리나, 케일, 럭스, 마스터이, 나서스, 판테온, 뽀삐, 세주아니, 샤코, 티모, 트위치, 빅토르, 제라스, 신짜오 -

중에 가렌 딩거 카르마 카타리나 케일 마이 나서스 티모 트위치 신짜오는 정말 영영 안나올것만 같습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2/03/11 23:25
수정 아이콘
리븐의 몰락이군요.
이참에 이렐로 갈아타볼까나..
12/03/11 23:58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많은 챔프들이 사용되었네요.
동모형
12/03/12 00:15
수정 아이콘
저렙노말 탑라인에서는 가렌이 참 좋은 캐릭으로 쓰이는데 확실히 고렙이후부터는 많이 안쓰이는가 봅니다. 후반으로 갈 수록 안좋아진다는게 큰 이유중 하나라고 생각되고요. 판테온도 그렇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국내 대회에 자주 보이는 자르반4세가 이번대회에서 안보인건 좀 의외네요. 이렐리아의 카운터로 잘 알려져 있는 나서스도 한번도 안보인것도 좀 의외고요.
Kyrie_KNOT
12/03/12 00:35
수정 아이콘
외국에서는 스카너가 인기 없나요?
스카너는 진짜 정글속도,갱킹,한타기여도 뭐하나 빠지는 게 없는 완성형 정글러라고 생각하는데..

그리고 자르반이랑 제라스가 한번도 안 쓰인게 의외네요
에어로
12/03/12 00:36
수정 아이콘
티모 트위치 샤코 같은 은신캐릭들은 또 함부로 버프하기도 힘들겠죠?
중수가 하수들 데리고 놀기 너무 좋아서... 은신캐릭한테 관광타면 언인스톨 하는 사례가 많으니...
또다른나
12/03/12 00:51
수정 아이콘
요새 베이가를파고있는데 픽횟수가 엄청적군요. 꽤 좋은것같은데..
초고수의세계는 뭔가 다른가....
루시드폴
12/03/12 01:02
수정 아이콘
샤코 스카너 카사딘은 국내서버랑 판도가 엄청나게 다르네요....
다레니안
12/03/12 01:10
수정 아이콘
자르반.. ㅠㅠ
hm5117340
12/03/12 01:20
수정 아이콘
카운터 정글이 효과적 일려면 팀원들간의 유기적인 호흡이 잘 들어맞아야 하거든요. 이런 팀전에선 카정에 알맞은 정글러 챔프들이 높게 픽되는건 그런 이치인듯. 우디르 시바나가 대표적이고 이 둘의 카정에 어느정도 대응이 되면서 갱킹력은 훨씬 좋은 리신이 그다음을 잇는정도고요. 그리고 얘네들은 탑으로 가도 힘을 쓰는 애들이라 여러모로 유용하지요.
솔큐에선 카운터정글식 운영이 효과적으로 잘돌아갈수가 없으니 람머스 스카너 같은 애들이 힘을 쓸수 있는거고..
제라스는 좋긴 한데 파면 팔수록 고수급으로 가면 갈수록 어느정도 한계가 보이는 챔프라 인기가 별로인듯..개인적으로 모르가나도 시간이 가면 갈수록 내리막을 탈걸로 예상..
논트루마
12/03/12 01:26
수정 아이콘
람머스 저 한 게임도 아예 작정하고 나왔더군요. 일단 람머스의 패시브를 쓰레기로 만드는 2AP 조합에 봇은 이즈리얼...;;; 그리고 스카너, 자르반의 경우 6렙 이전 탑미드정글 대결 혹은 봇듀오정글의 3 vs 3 대결에 너무 취약해서 쓰지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자르반은 2~3렙갱 딱 한타이밍을 제외하면 6렙 이전에 갱타이밍이 나오지도 않거니와 6렙 찍기도 오래 걸리고 카운터정글에도 매우 취약해서 상대쪽에서 약점을 파고들 요소가 너무 많죠. 스카너도 대회에서 많이 쓰였던 우디르, 쉬바나에 비하면 정글속도가 느린 편이고 비교적 재생의팬던트가 나오기 전까지는 안정감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그에 비해 우디르, 쉬바나는 말할 것이 없죠. 정글속도는 둘다 갑이고 탑갱 갔다오면 봇쪽 내 정글은 이미 다 쓸려있습니다;;; 우디르는 스턴을 갖고 있다보니 쉬바나보다는 좀 더 갱킹력을 갖고 있는 편이고, 쉬바나는 딜도 잘 나올뿐더러 궁패시브 때문에 무조건 라이너보다 템이 떨어지는 정글러 특성상 흥하지 못해도 탱과 딜이 동시에 되는 미친 챔피언입니다.
포풍트런들
12/03/12 02:11
수정 아이콘
챔피언의 스펙이 OP냐 아니냐를 가르는 믿을만한 기준은 픽밴 다수순이 맞습니다. 프로선수들이 충분히 그 챔프에게 밴/픽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거니까요. 승률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게 일단 첫째로 표본이 그다지 신뢰성을 보일만한 시행횟수가 아닌데다 둘째로 대회에서는 대개 팀간의 전체적인 전략 싸움과 포지션 선정에서 승부가 갈리기 때문에 (장판조합이라던가, 카운터정글 조합이라던가, 스위칭,탑듀오 등등..문제는 일반 랭크게임이라면 이게 예외적 경우이겠으나 대회에선 거의 매경기마다 일어난다는거죠.) 개개 챔프의 강함만으로는 큰 영향을 끼칠수가 없죠.
포풍트런들
12/03/12 02:21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문도는 개인적인 생각으로 준OP를 넘어서 요즘은 확실한 OP냄새마저 풍깁니다. 저번에 상향을 팍팍 받더니 일단 정글러간의 싸움에서 무적에 가까운게 가장 크고(저렙싸움때 문도의 딜링은 모든 챔프중에서도 탑클래스입니다.) 식칼은 딜템을 안가도 엄청나게 아픈 포킹에 갱킹에도 무지 좋은데다 마조히즘으로 평타도 아프고 요즘은 이그나이트 맞아도 그냥 그런갑다 하고 싸워도 이기고 한마디로 대충커도 강한 모습을 많이 보네요..
이헌민
12/03/12 21:27
수정 아이콘
현재 정글속도 탑3 쉬바나,문도,우디르
정글속도가 빠른만큼 카운터정글에도 용이하고 더 많이 먹은만큼
정글싸움에서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파밍력을 바탕으로 한타에서 미친존재감을 뽐내기도 하죠.
리신은 정글속도야 그저그렇지만 기동력과 갱킹이 뛰어나고 소수전에서 강력하니 자주 쓰이는것 같네요.
요즘 추세가 갱킹 잘 안당하니 정글이나 쓸어담자는 식이니까요.
초가스도 정글하나는 기똥차게 빠른데 CLG EU의 스누피밖에 쓰는 사람을 못봤네요.이것도 솔랭에서 겨우...
다레니안
12/03/13 00:36
수정 아이콘
여러분 자르반 좋아요 ㅠㅠ 자르반 하세요
아나키
12/03/13 10:17
수정 아이콘
요릭 0%.... 0%!!
12/03/13 23:03
수정 아이콘
내사랑 자르반이.....
12/03/14 12:11
수정 아이콘
침착하고 매서운 클템이 보면 막 자르반으로 대회 휩쓸고 싶어지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768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를 읽고. [6] Black_smokE5203 12/07/12 5203 0
47741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 [25] becker7935 12/07/10 7935 18
47725 LOL 제이스 패치가 완료되었습니다. [43] Leeka6823 12/07/10 6823 0
47622 라이엇게임즈, LOL 서버 점검에 대한 사과 및 보상안 발표 [42] kimbilly7585 12/06/28 7585 0
47608 인벤방송에 로코도코와 마파 선수가 나왔네요. [12] No.10 梁 神7091 12/06/27 7091 0
47425 [LOL] 나진 소드 선수 변경, 전 스타 프로게이머 영입! [46] 아티팩터9348 12/06/11 9348 0
47328 수도사 불지옥 가이드 [50] Cand8277 12/06/04 8277 2
47196 [LOL] 비주류 챔피언 탐구 - "전략적인 선택이군요, 소환사님" [20] 별비8061 12/05/23 8061 1
47163 [GSL 결승 리뷰] 1경기~3경기 [10] 캐리어가모함한다5082 12/05/21 5082 1
47135 [LOL]이번 대회에서 정글과 미드를 보며 생각한 것들 [10] 뚫훓쀓꿿삟낅6311 12/05/20 6311 0
46970 불판사이에 죄송한 MIG.Fvs제닉스스톰의 3경기리뷰. [13] nickyo4718 12/05/02 4718 0
46780 결승전 소회, 그리고 이영호 선수를 더 큰 목소리로 응원합니다. [12] 오세돌이5482 12/04/09 5482 0
46700 스타인 이야기 : 통신사 더비의 역사 [12] 한니발9678 12/03/31 9678 21
46666 반상위의 돌부처 - 1 - [14] fd테란7891 12/03/28 7891 22
46542 [LOL] iem 월드 챔피언쉽 챔피언 픽/밴/승률 정리. 대세 챔피언은? [34] 냥이풀11390 12/03/11 11390 1
46394 드디어 그2분이 수면위로 나타나셨습니다. [111] 마빠이9549 12/02/22 9549 0
46183 [펌/해외번역] 이스포츠에 대한 외국 프로게이머의 관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20] 타이밍승부7981 12/01/18 7981 0
46163 스타리그의 딜레마, 그러나 조속히 개최되어야 합니다. [50] svNClvr9086 12/01/15 9086 2
46146 [쓴소리] 선택적 셧다운제. 게임계의 등에 비수를 꽂다 [21] The xian6298 12/01/12 6298 0
46072 2012 시즌1 GSL 코드S 조편성이 나왔습니다. [23] Lainworks6137 11/12/30 6137 0
46062 sk플래닛배 프로리그 5주차(12/24~12/28) 간략 리뷰 [17] 전준우5981 11/12/28 5981 2
45959 금요일 오후 7:30분 [23] 로렌스5843 11/12/11 5843 0
45840 스타1 관련 리그들의 데이터 엑셀 파일을 공유합니다. DavidVilla4580 11/11/17 45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