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1/26 20:38:24
Name Alan_Baxter
Subject MSL 10년을 말한다. - 1부 : 기록으로 본 MSL의 역사




























































본 문서의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엔하위키와 위키백과를 출처로 함을 알려드립니다. 본 문서의 자세한 사항은 엔하위키 MSL 문서와, 위키백과 MBC 게임 스타리그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만수르
12/01/26 20:53
수정 아이콘
스프리스가 토스가 한명이라고 했는데 준우승 박용욱 강민이 4위네요 위에 리그랑 하시면서 실수하신듯 잘봤습니다 추게로!
Go_TheMarine
12/01/26 20:54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프링글스1 3위가 최연성선수네요 전상욱선수일텐데....
RegretsRoad
12/01/26 21:00
수정 아이콘
글과사진이 하나씩밀렸네요;; 우주배MSL 결승은 박정석대마재윤인데말이죠 [m]
Alan_Baxter
12/01/26 21:04
수정 아이콘
결승전 영상이 아니라, 명경기를 올려둔 것입니다.
확인해보니 틀린 점이 없는 것 같습니다.
운체풍신
12/01/26 21:10
수정 아이콘
공교롭게도 '22'번의 리그가 열렸네요. 이것도 황신의 계시인가요.
그리고 아레나 msl 때 박지수 선수가 결승 진출하며 흥행 실패 했을 때 조소하고 정전록 때 분노하며 잠깐이나마 msl의 폐지를 바랬던 적도
있었는데 이렇게 역사속으로 사라지니 인생에서 뭔가 빠져나간 것 같은 허전함이 몰려오네요
사티레브
12/01/26 21:12
수정 아이콘
3.3혁명도 전시즌에 기록되어있습니다
한시즌씩 밀린거 같아요

ps. 03년, 04년 경기도 눈에 선한데 이제 그 맥이 끊기다니 ..
Alan_Baxter
12/01/26 21:17
수정 아이콘
저는 영상이 의도한 대로 맞게 잘 나오는데, 인터넷 환경마다 차이가 있는 것 같네요 ㅜ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나름대로 수정해보았습니다. 맞게 잘 나오시나요?
12/01/26 21:29
수정 아이콘
전 msl에서 이윤열선수가 안타까운 느낌을 받는데
kpga투어에서 msl로 명칭이 바뀐이후 결승에 3번이나 올라갔는데
다 준우승했다는게 정말 아쉽습니다 결승상대가 강민,최연성,박태민 이렇게 3명의 선수들이엇는데
특히 이 3번의 결승중에서 최연성선수와의 경기가 너무나도 아쉽네요 4경기 bbs가 그렇게 막혀버릴줄이야..
그리고 로스트사가msl이었나요 허영무선수와의 8강경기도 매우아쉽네요 당시 재수중이어서 경기를 못봐가지고
경기결과 모른채 봤는데 3대2로져서 더더욱 아쉬웠던.. ㅜㅜ
12/01/26 21:42
수정 아이콘
33혁명 결과가 마재윤 심소명으로 중복됬네요. 잘읽었습니다. 옛날생각나네요^^
만수르
12/01/26 21:43
수정 아이콘
곰티비 시즌1 김택용이 우승하지 않았나요?
위에거랑 같네요
또다른나
12/01/26 22:31
수정 아이콘
제가 광빠여서그런지 강민선수랑 마재윤이 안나오는시점부터는 MSL을 안 챙겨보게 되더라구요.
여러명의 선수가 MSL에서 우승을했지만 특히 위의 두 선수가 여러선수들과의 스토리도많았고 명경기도많아서 MSL에서 참재미를 많이 제공했었는데 아쉽네요.
원래는 MSL을 선호했었는데 언젠가부터 스타리그쪽에 흥미가 더 생기더군요. 뱅빠가 되기시작한 시점부터인가...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가을독백
12/01/26 22:32
수정 아이콘
제게 msl에서의 역사로 기억이 되는 건 크게 3가지정도가 있네요.
강민의 할루시리콜, 최연성vs홍진호의 유보트혈전.
이제동vs이영호 로키 대혈전.
흑역사도 기억이 나지만 그건 패스;;하구요.
언제나 기록을 정리해주시느라 Alan_Baxter 님께서 수고가 많으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376 마지막 스타리그라도 열렸으면 좋겠습니다. [58] 구오구오9748 12/02/18 9748 1
46375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2주차, CJ vs 삼성전자 #1 [223] SKY926652 12/02/18 6652 0
4637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2주차, STX vs 웅진 #2 [136] SKY925104 12/02/18 5104 0
46373 라그나로크2가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려고 하네요 [17] 창이7374 12/02/18 7374 0
46372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2주차, STX vs 웅진 #1 [304] SKY926132 12/02/18 6132 0
46371 인벤 LOL 네임드 챔피언쉽, 온게임넷 LOL 인비테이셔널 [223] 키토7532 12/02/17 7532 0
46370 리그 오브 레전드, 신규 e스포츠 공인종목 선정 [26] TheWeaVer6411 12/02/17 6411 0
46369 [불판] 2월 17일 - 나는캐리다(게스트 : 래퍼드 선수) [51] Leeka7670 12/02/17 7670 0
46368 [문명 5] 확장팩 발매가 발표되었습니다. [19] Ayanami5904 12/02/17 5904 0
46367 신화를 읊고 농담을 던지는 그대들을 위해 [5] 王天君6347 12/02/16 6347 17
46366 온게임넷 LOL 정규리그 오프라인 진출전 P조 Team IU vs 독사 [63] 키토5085 12/02/16 5085 0
46365 리그오브레전드가 드디어 사건?하나 터트렸네요 [62] 마빠이11416 12/02/16 11416 0
46364 [LOL] 쉽고 강력한 챔피언을 원해? [57] 달의몰락10931 12/02/16 10931 1
46363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1주차, STX vs 8게임단 #2 [310] SKY926756 12/02/15 6756 0
46362 HOT6 GSL Season 1 - Code S 8강전 1회차 #3 [74] 꼽사리5023 12/02/15 5023 0
46361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1주차, STX vs 8게임단 #1 [287] SKY926274 12/02/15 6274 0
46360 HOT6 GSL Season 1 - Code S 8강전 1회차 #2 [106] 꼽사리5375 12/02/15 5375 0
46359 위치로 보는 정찰과 승률의 상관관계 [5] shinys5485 12/02/15 5485 0
46358 인벤 LOL 네임드 챔피언쉽 6일차 [316] 키토5138 12/02/15 5138 0
46357 HOT6 GSL Season 1 - Code S 8강전 1회차 #1 [118] 꼽사리4933 12/02/15 4933 0
46356 온게임넷 LOL 인비테이셔널 Ban/Pick List [48] Leeka6286 12/02/15 6286 0
46355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1주차, KT vs 삼성전자 #3 [185] SKY926866 12/02/14 6866 0
4635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1주차, KT vs 삼성전자 #2 [248] SKY926390 12/02/14 63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