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1/08 22:10:23
Name 잘가라장동건
Subject WCG2011 스타크래프트2의 본선 참가선수 명단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XiGua (저그), F91 (저그), MacSed (토스)

독일: DarKFoRcE (저그), Socke (토스), GoOdy (테란)

러시아: Happy (테란), Aristeo (저그), TitaN (토스)

우크라이나: KaS (테란), Sterlok (테란), Dimaga(저그, 3위는 비용이 자가 부담이라 올 확률이 5대5)

핀란드: elfi (토스), Welmu (토스)

스웨덴: MorroW (저그), Cytoplasm (저그)

벨기에: Orly (저그)

프랑스: ToD (토스)

칠레: KiLLeR (저그)

아르메니아: Kelevra (저그)

엘살바도르: Josh (토스)

영국: d.BlinG (토스)

대만: Sen (저그)

일본: Breek (저그)

태국: RedArchon (테란)

벨라루스: LoWeLy (저그)

싱가폴: nirvAnA (토스)

불가리아: Splendour (토스)

파나마: Souke (저그)

세르비아: Beastyqt (테란)

멕시코: Maker (테란)

이탈리아: ClouD (테란)

말레이시아: CoBo (토스)

페루: Fenix (테란)

노르웨이: Snute (저그)

스위스: biGs (저그)

폴란드: SLideR (토스) (Nerchio 대타로 출전)

호주: mOOnGLaDe (저그)

캐나다: KiWiKaKi (토스)

나미비아: wern (토스)

필리핀: EnDerr (저그)

브라질: ReasoN (저그)


지금 한국선수 3자리만 빼도 현재 인원이 42명이나 되네요...

한국쪽은 3명이 모두 테란으로 채워지는게 이미 확정이 되었는데^^;;

물론 조편성 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첫 스2 대규모 세계대회이고 하니 여러모로 변수가 많을꺼라 생각을 합니다...

저 42명에서 우리나라 3테란을 위협할만한 선수가 여기서는 누가 있을꺼라 생각하시나요??

개인적으로 EG.HuK 크리스 선수와 프랑스의 스테파노 선수... 그리고 미국의 아이드라가 참여했다면

보다 흥미진진한 경기가 예상될꺼 같은데 이 선수들의 불참으로 외국에서 한국 3테란의 대항마로 누가 나설지 기대가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모리아스
11/11/08 22:15
수정 아이콘
한국 토스나 저그도 아니고 악랄하기로는 같은 한국인도 두려워하는 김치테란 3인방이 나가는 데

금은동은 기본 아닌가요? 아 스타2미래를 위해 동을 포기하고 금은만 가져오는게 더 좋을까요?
11/11/08 22:15
수정 아이콘
생각보타 테란이 없네요
이러니 DK가 패치를 이따위로 하는거군요.
사실 이러면 안되지만....
한국3테란이 다른 선수들을 발라버리고 1,2,3등을 휩쓸었으면 합니다.
그래야 DK가 제대로 패치를 할수 있게...
지게로봇
11/11/08 22:17
수정 아이콘
설령 그래도 초지일관의 자세로...
"음.. 역시 한국은 잘 하는 사람이 테란을 하는군요..."
..라고 스스로를 납득시킬게 뻔한지라... 별 충격도 못 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테란은 핵심적인거 피해서 패치, 저그는 쓸모없는 거 상향, 플토는 삭제....
박예쁜
11/11/08 22:16
수정 아이콘
xigua,sen,키위카키,모로우,페닉스 정도가 눈에 띄네요 그래도 김치 테란이 우승할듯 ;;
박예쁜
11/11/08 22:16
수정 아이콘
DK:테란이 강한게 아니라 한국 테란이 잘하는겁니다
Lainworks
11/11/08 22:19
수정 아이콘
저번주에 목동에서 디마가 선수 봤네요. 아마 계속 한국에 있지 않을까 싶긴 한데
2_JiHwan
11/11/08 22:19
수정 아이콘
아직 미국 예선은 덜끝났고 크리스 로랑줴 선수는 특이하게 미국 예선에 나갔네요.
8강이 가려졌고 매우 당연히 그렉필즈, 크리스 로랑줴는 있고 그 밖에 EG.Axslav, GoSu.Gatored, FXOqxc, GoSu.ViBE, RGN.giX 선수들이 진출해 있는 상태입니다.
잘가라장동건
11/11/08 22:20
수정 아이콘
2_JiHwan 님//미국은 이번에 스2 선수 안 보낸다고 합니다...^^;; 크로스파이어, 리그오브레젼드만 보낸다고 하더라구요...
그럭저럭하루
11/11/08 22:23
수정 아이콘
이와중에 구성훈선수는 스1 프로생활 완전 접는다는군요...

스2를 본격적으로 하면서 스1 아프리카 방송위주로 한다고하네요.

1차협상 실패후 한상용코치가 팀알아봐준다고했는데 거절했다고하네요.
11/11/08 22:24
수정 아이콘
헉. 이드라. 스테파노가 없는게 아쉽긴하네요.. 그래도 우리나라가 1~3위까지 휩쓸지 못할꺼 같습니다.

전 과감히! 정종현 vs 외국게이머를 예상해봅니다.
11/11/08 22:24
수정 아이콘
정종현 선수는 단기간 토너먼트에서도 강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좋은 성과가 있을 거 같은데 나머지는 잘 모르겠네요.
자유수호애국연대
11/11/08 22:43
수정 아이콘
키위카키, 센 등 외국 선수 중에도 그래도 방심해선 안될 수준들이 몇몇 있긴 하네요.
하지만 그 수준의 외국 선수 중에 테란은 없습니다-_-;; (아 페닉스 선수 한명 있긴 하네요.)
한국이랑은 진짜 딴 판이죠. 밸런스 팀 입장에서도 적잖이 딜레마일겁니다.
the hive
11/11/08 22:49
수정 아이콘
워크는 한국종특은 나엘이여서 밸런스가 어느정도 맞았었던것 뿐.... 스타 2는 한국종특이 테란이니..쿨럭
11/11/08 22: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해외에서 탑이라고 부를만한 선수(이드라 헉 스테파노)는 없네요. 별기대가 안 됩니다.
DSP.First
11/11/08 23:27
수정 아이콘
우크라이나랑 대만 정도가 눈에 띄고, 폴란드 정도겠네요.

근데 WCG는 답답한게 방송때문인건 알겠지만, 예선 자체를 너무 오래끄는 면이 있어서 답답하네요.
8강정도만 뽑아놓고, 이틀 정도에 했으면 좋겠는데, 그리고 본선은 며칠 걸리지도 않으면서;;
11/11/08 23:28
수정 아이콘
설마 ...토드...토드가 그 토드...인가요? 워3의?
11/11/09 00:26
수정 아이콘
요새 가끔 스2경기 보고 저그 상대로 의료선 견제에 보는 제 신경이 쇠약해질정도지만

전세계적으로 종족밸런싱이 크게 무너지지 않아서.... 블리자드에서도 고심이 많겠네요.

우리나라 테란 선수들이 스1처럼 압도적인 성적으로 승승장구하지않으면 (자기들끼리만의 패배, 어쩌다 한번 패배)

딱히 패치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어렵겠네요.
11/11/09 00:38
수정 아이콘
한국은 프로 지망생들이 대부분 테란을 고르나요? 뭐가 문제지
포프의대모험
11/11/09 00:38
수정 아이콘
emp패치로 토스는 확실히 숨을 돌릴거같은데..(업토스덕에 살아나고 있기도 했고)
테저전이 계속 걱정이네요
벙커링 염차 밴시 더블을 떡주무르듯 하는 김치테란들 때문에..
파랑파랑
11/11/09 01:19
수정 아이콘
선수 명단보니까 대진표 운만 따라주면 3테란 금은동 싹쓸이 가능하겠는데요 이거 -_-;
쌀이없어요
11/11/09 01:25
수정 아이콘
한국테란 3명을 포함해도
테란이 가장 적군요;;; 저그가 가장 많고.

이러니 DK가 테란의 강함을 인식 못하죠.

저도 테란이지만 참...
디비시스
11/11/09 03:42
수정 아이콘
러시아의 Happy 꼬마도 스2하는군요..
워3에서는 언데드로 고생했었는데..역시 테란을 하는군요.
"테란해라.."
Oz-Jaedong#03
11/11/09 09:32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는데 스타1처럼 스타2도 한국이 최강인가요?
11/11/09 09:40
수정 아이콘
스1 만큼 압도적이진 않아도 최강국은 틀림 없을 것 같습니다.
한국 선수들이 참여하는 외국 대회는 우승을 놓친 적이 별로 없어요.
콩쥐팥쥐
11/11/11 14:23
수정 아이콘
테란이란 종족이 스1때도 그랬지만 워낙 기본기에 따라 실력이 크게 갈리는 종족이니까요. 뭐....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986 sk플래닛배 프로리그 3주차(12/08~12/14) 간략 리뷰 [29] 전준우7344 11/12/14 7344 1
45985 2011 GSL Tour : Blizzard Cup - 6강전 [128] kimbilly6074 11/12/14 6074 0
4598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3주차, SKT vs 웅진 #2 [138] SKY925681 11/12/14 5681 0
45983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3주차, SKT vs 웅진 #1 [271] SKY925028 11/12/14 5028 0
45980 2011 GSL Tour : Blizzard Cup - 10강 풀리그, B조 #2 [234] 2_JiHwan5043 11/12/13 5043 0
45978 2011 GSL Tour : Blizzard Cup - 10강 풀리그, B조 #1 [210] 2_JiHwan5221 11/12/13 5221 0
45977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3주차, 삼성전자 vs STX #2 [50] 전준우4537 11/12/13 4537 0
45976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3주차, 삼성전자 vs STX #1 [223] High-End5609 11/12/13 5609 0
45975 `MBC 게임` 폐지를 바라보며 [16] Onviewer7690 11/12/13 7690 0
45974 [LOL] 스킨 인게임 이미지 링크 사이트와 스킨 이야기 [35] 화잇밀크러버10200 11/12/13 10200 0
45972 [LoL] pc방 혜택이 바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20] 네오크로우7223 11/12/12 7223 0
45971 2011 GSL Tour : Blizzard Cup - 10강 풀리그, A조 [266] kimbilly5720 11/12/12 5720 0
45970 [LoL]드디어 시작 이군요!! [135] 신과달9098 11/12/12 9098 0
45969 2011 GSL Tour : Blizzard Cup - 출전 선수 10명과 함께하는 Media Day [23] kimbilly4512 11/12/12 4512 0
45967 스타크래프트 2 리그의 축제, 블리자드컵이 열립니다! [6] JuninoProdigo4965 11/12/12 4965 0
45966 [LOL]리그오브레전드 오픈베타 12월 3째 주중! [9] khw7115116 11/12/12 5116 0
45965 이번 WCG, 해설을 들으면서 느낀점. [13] 하얀호랑이7657 11/12/12 7657 0
45964 WCG 2011 Grand Final - 4일차 : 세계 최대 e스포츠 페스티벌 현장 스케치 [10] kimbilly8683 11/12/11 8683 0
45963 WCG 2011 Grand Final - 4일차 : LOL 결승전 < CDE vs Gameburg > #3 [47] kimbilly7980 11/12/11 7980 0
45962 WCG 2011 Grand Final - 4일차 : 스타2 결승전 < 정종현 vs IG.XIGua > #2 [144] kimbilly9692 11/12/11 9692 0
45960 WCG 2011 Grand Final - 4일차 : 철권6 결승전 < NOBI vs 안성국 > #1 [151] kimbilly8351 11/12/11 8351 1
45959 금요일 오후 7:30분 [23] 로렌스6569 11/12/11 6569 0
45956 [LOL] 리그오브레전드 PC방 혜택이 !!! [49] Teemo9598 11/12/10 959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