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0/27 18:04:12
Name kimbilly
Subject 곰TV, 2012 GSL Tour 부터 적용되는 GSL Nov. 의 경기 방식 공개
곰TV 의 2012 GSL Tour 부터 적용되는 GSL Nov. 의 경기 방식이 공개 되었습니다.

2012년의 컨셉은 "보다 많은 기회, 스스로 증명하라, Code S 에 머무를 자격이 있는가?" 입니다.

간단하게 설명 드리자면,
1. Code S 최종 8명만 다음 시즌 Code S를 보장 받는다.
2. Code S 가 진행됨에 따라, 패자들은 Code A와 섞여서 경기를 하는데, 늦게 패할수록 (Code S 성적이 좋을수록)
    좋은 자리에 배정받고 패자 부활전이 많아진다.
3. Code A 에서 3번을 이기면 Code S로 직행할 수 있다.
4. Code S 에서 2연패를 하고 Code A에서도 한 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면 Code S -> Code B 가능
입니다.

세부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줄 요약하면,
Code A 에서 올라 오는 선수는 3명만 이기면 (1회 이상 S 선수를 만나게 되고) S로 진출 / S 에서 내려오는 선수는 2패 하면 예선행.

※ 이 경기 방식은 내년에 경기가 있기 전 내부 사정에 의해 일부 수정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esports.gomtv.com/gsl/community/view.gom?msgid=23436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0/27 18:09
수정 아이콘
CodeS와 CodeA의 구별이 모호해졌네요.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CodeS탈락자가 즉각 CodeA로 수급이 되는군요. CodeS가 되기도 쉽고, CodeA로 떨어지기도 쉬운거 같네요.
하루빨리
11/10/27 18:15
수정 아이콘
해외 승강전 시드권자는 왜 있는지 모르겠네요. 코드S 시드면 코드S 시드고 코드A면 코드A 시드죠. 저번 IEM우승자 정우서 선수에게 시드 주는 것 마냥 시즌 도중에 비는 자리를 외부 대회 우승자들이나 추천자들로 채우겠다는건가요?
11/10/27 18:16
수정 아이콘
리그 방식 마음에 드네요
다만 더블엘리미네이션조차 복잡하다고 싫어했던 사람들은 어떤 반응일지 궁금하네요 [m]
11/10/27 18:20
수정 아이콘
방식 맘에 드네요~ 일단 코드A도 1경기만 이기면 최소 승강전 확보는 하는군요 1경기 지더라도 승강전에서 다시한번 기회가 있네요 코드S의 경우야 간략하네요 8강안에 들면 코드S유지 못들면 코드A! 코드A룰이 좀 복잡하긴 하네요
Marionette
11/10/27 18:21
수정 아이콘
예전처럼 1승만 하면 코드S가 유지되는 철밥통의 장점은 있지만, 경기가 없어서 백수가 되는 현상은 완전히 사라졌군요
32강 조4위는 정말 이후 죽음의 일정...
그리고또한
11/10/27 18:23
수정 아이콘
표 하나에 모아놔서 그렇지 따로보면 그닥 복잡하진 않을거라 봅니다. 코드A에 사람이 들어오고 빠지는 게 좀 복잡해지긴 했네요.

코드S는 8강진출자 제외하면 전원 코드A를 거쳐서 다시 올라와야 한다는 건데요. 코드A에서도 상위12명에 못들면 다시 승강전이군요.
Marionette
11/10/27 18:2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예전 엠겜의 더블엘리미 같은 경우에는 같은 선수를 또 만날 수 있었는데,
이문제는 어떻게 또 해결했는지 모르겠네요
조 편성만 살짝 바꾸면 같은 선수와 다시 붙는 일은 상당히 줄일 수도 있을텐데 말이죠
언데드네버다��
11/10/27 18:25
수정 아이콘
코드S의 입장에서 보면 이해하기 편하실 겁니다.

코드S 8강 = 차기 시즌 시드
코드S 16강 = 코드S 진출전
코드S 32강 3위 = 승강전
코드S 32강 4위 = 코드A
11/10/27 18:2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CodeS에 있더라도 4등 - 2패 하면 다음시즌은 CodeB로 가네요 덜덜;
11/10/27 18:29
수정 아이콘
제일 후덜덜한건 코드S라도 32강 조4위에 코드A 48강 탈락이면 바로 예선전으로 강등되는 것이네요.
32강 때 3,4위전 싸움도 치열할듯 합니다.
거기다 코드A는 전부 토너먼트로 하네요....남자다잉~~
불곰과연어
11/10/27 18:31
수정 아이콘
그럼 이제 codeA에서는 24강까지만 하고 그 이후의 우승자는 안뽑는건가요?
11/10/27 18:56
수정 아이콘
예전 MSL서바이버 방식과 비슷하다고 보여집니다. 코드A24강은 MSL진출전으로 보면 될것 같고 승격강등전은 리그결정전이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것 같습니다.
kimbilly
11/10/27 19:29
수정 아이콘
1줄 요약하면 - Code A 에서 올라 오는 선수는 3명만 이기면 (1회 이상 S 선수를 만나게 되고) S로 진출 / S 에서 내려오는 선수는 2패하면 예선행.
11/10/27 19:39
수정 아이콘
이제서야 고치네요.
11/10/27 19:59
수정 아이콘
경기 수가 왕창 늘어난 포맷인데. 중계진이 더 필요할듯 싶은데, MBC게임 중계진이 들어가게 되는게 아닌지 궁금하군요.
Lilliput
11/10/27 20:00
수정 아이콘
GSL만의 방식을 새로이 만들었네요. 11월 대회를 기점으로 코드 S와 코드 A, Up and Down의 의미가 바뀌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기존 GSL ==
코드S - 1부리그
코드A - 2부리그
Up and Down - 승강전, 1.5부리그(?)

== 바뀐 GSL ==
코드S - 승자조 (천계)
코드A - 패자조 (지상계)
Up and Down - 패패자조 (마계)

코드 A 48강 - 블랙홀, 헬게이트, 발푸르기스의 밤 등등....

코드 A 48강은 GSL을 보는 새로운 흥미거리로 자리잡을 듯 합니다. 과연 누가 살아남느냐~!!
지게로봇
11/10/27 20:22
수정 아이콘
덕분에 이정훈 선수는 코드S와 A를 둘 다 준우승한...
유일한 선수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젠 아무도 못깰 기록...크크크.
쓰면서도 왜 이리 눈물이 나는지...
인생은금물
11/10/27 20:32
수정 아이콘
/지게로봇 기존 코드에이 준우승자가 차후에 코드에스 준우승하면 경신가능하죠크크
하지만 눈물이 나는건 어쩔수.. [m]
꼽사리
11/10/27 21:09
수정 아이콘
일단 적어도 코드A48강에서 한번이라도 이겨서 24강만간다면 코드S의 가능성이 있다는것에 대해 선수들이 굉장히 만족할꺼같습니다


그리고 코드S 32강에서 1승만하면 잔류가되는 먹튀[?]급 룰때문에.. 자리가 없었는데

코드S 8강 진출자만이 시드를 받는다는것만으로도 만족스럽습니다. 조금더 많은 선수들을 코드S에서 보고싶습니다.
꼽사리
11/10/27 21:12
수정 아이콘
그러면 코드A는 24강까지만하고 일정을 끊겠네요?

이전 방식을 폐기한다면 그렇곘네요

12명만 가리면되니까.

기대되는건

코드S 32강 16강에서 탈락하시는분은..정말.. 헬 로드가 기다리고있습니다.. 만족합니다..
11/10/27 23:44
수정 아이콘
코드S에서 예선까지 탈락할 수도 있는건가요? 변화를 원하긴 했지만 너무 극단적인데요. 그리고 해외 승강전 시드권자는 단번에 코드S로 올라갈 권리와 함께 코드A시드를 같이 받는거군요. 이건 좋습니다.
11/10/28 00:21
수정 아이콘
굉장히 마음에 드는 방식이네요 큭큭
그동안은 솔직히 코드S에 어울리지 않는 선수들이 몇몇 있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 선수들 경기를 보면 준비된 날빌로 무조건 1승을 목표로 하는 경기를 하더군요 -_-;
근데 방식을 바꾸게 되면서 정말 강한 선수들이 코드S에 남겠네요.
DSP.First
11/10/28 00:31
수정 아이콘
이제서야 바뀌는 군요. 그동안 코드 S 철밥통 문제로 말들이 많았었는데, 정말 잘된 일이네요.

특히나, 코드 S 8강만 시드 보장한 부분이나 전패를 했을때 코드 B 강등부분은 대찬성!
실루엣게임
11/10/28 12:34
수정 아이콘
룰이 사실상 1부리그/2부리그 형태라기 보다는, 본선/예선/와일드카드 개념에 가깝지 않나 싶네요.
스타1으로 치자면 Code S가 스타리그/MSL, Code A가 듀얼토너먼트/서바이버, 그리고 up&down이 듀얼토너먼트/서바이버 와일드카드전이라는 개념으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사실상 승강제 폐지 선언이라고 봐야 겠네요.
저는 이 방식이 더 마음에 들긴 하는데, 역시 개인리그에서 승강제는 비현실적이라는 이야기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768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를 읽고. [6] Black_smokE5203 12/07/12 5203 0
47741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 [25] becker7935 12/07/10 7935 18
47725 LOL 제이스 패치가 완료되었습니다. [43] Leeka6823 12/07/10 6823 0
47622 라이엇게임즈, LOL 서버 점검에 대한 사과 및 보상안 발표 [42] kimbilly7586 12/06/28 7586 0
47608 인벤방송에 로코도코와 마파 선수가 나왔네요. [12] No.10 梁 神7091 12/06/27 7091 0
47425 [LOL] 나진 소드 선수 변경, 전 스타 프로게이머 영입! [46] 아티팩터9348 12/06/11 9348 0
47328 수도사 불지옥 가이드 [50] Cand8277 12/06/04 8277 2
47196 [LOL] 비주류 챔피언 탐구 - "전략적인 선택이군요, 소환사님" [20] 별비8061 12/05/23 8061 1
47163 [GSL 결승 리뷰] 1경기~3경기 [10] 캐리어가모함한다5083 12/05/21 5083 1
47135 [LOL]이번 대회에서 정글과 미드를 보며 생각한 것들 [10] 뚫훓쀓꿿삟낅6311 12/05/20 6311 0
46970 불판사이에 죄송한 MIG.Fvs제닉스스톰의 3경기리뷰. [13] nickyo4718 12/05/02 4718 0
46780 결승전 소회, 그리고 이영호 선수를 더 큰 목소리로 응원합니다. [12] 오세돌이5484 12/04/09 5484 0
46700 스타인 이야기 : 통신사 더비의 역사 [12] 한니발9678 12/03/31 9678 21
46666 반상위의 돌부처 - 1 - [14] fd테란7891 12/03/28 7891 22
46542 [LOL] iem 월드 챔피언쉽 챔피언 픽/밴/승률 정리. 대세 챔피언은? [34] 냥이풀11390 12/03/11 11390 1
46394 드디어 그2분이 수면위로 나타나셨습니다. [111] 마빠이9549 12/02/22 9549 0
46183 [펌/해외번역] 이스포츠에 대한 외국 프로게이머의 관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20] 타이밍승부7981 12/01/18 7981 0
46163 스타리그의 딜레마, 그러나 조속히 개최되어야 합니다. [50] svNClvr9086 12/01/15 9086 2
46146 [쓴소리] 선택적 셧다운제. 게임계의 등에 비수를 꽂다 [21] The xian6298 12/01/12 6298 0
46072 2012 시즌1 GSL 코드S 조편성이 나왔습니다. [23] Lainworks6137 11/12/30 6137 0
46062 sk플래닛배 프로리그 5주차(12/24~12/28) 간략 리뷰 [17] 전준우5982 11/12/28 5982 2
45959 금요일 오후 7:30분 [23] 로렌스5844 11/12/11 5844 0
45840 스타1 관련 리그들의 데이터 엑셀 파일을 공유합니다. DavidVilla4580 11/11/17 45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