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0/22 04:05:56
Name kimbilly
Subject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군단의 심장, 기술과 유닛 소개
블리즈컨 2011에서 선보일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의 새 유닛과 기술을 소개합니다. 먼저 군단의 심장이 아직 개발 단계에 있으며 아래에 소개될 모든 유닛과 기술, 그리고 그 한국어 번역은 바뀔 여지가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희가 게임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수정함에 따라 이 유닛과 기술 중 몇몇은 없어지고 새로운 것들로 대체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 열거되는 내용은 군단의 심장 멀티플레이어의 현재 모습일 뿐 입니다.

한편 저희의 목표는 플레이어들이 치열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멀티플레이어의 불필요한 중복을 줄이고 적정 수의 유닛과 기술을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유의 날개의 몇몇 유닛이 퇴역했음 또한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프로토스]

프로토스는 자신들의 최근 전투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적에 대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몇몇 개선 요소를 발견하였다. 프로토스는 분석 결과에 따라 또 다른 사이오닉 유닛으로 화력을 증대시켰고, 뮤탈리스크 무리의 습격에 대응할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으며, 적을 괴롭힐 새로운 방안 또한 강구해내었다.

폭풍
설명: 폭풍은 새로운 주력함으로서 넓은 지역에 있는 공중 유닛에게 큰 피해를 줍니다. 폭풍에는 기본적인 지상 공격 능력도 있지만 그들의 주 역할은 프로토스가 제공권을 장악하도록 돕는 것이다.

예언자
설명: 예언자는 우주관문에서 생성되는 사이오닉 전함이며 몇몇 특수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적들을 공격하고 괴롭힌다. 첫 번째 기술인 봉쇄는 적이 광물을 캐지 못하도록 광물 지대를 막아버린다. 또 다른 기술로는 천리안이 있는데 이 능력은 상대방 구조물에 대한 시야를 확보해 주고, 적이 어떠한 유닛을 생성하는지 혹은 어떠한 기술을 개발 중인지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차원 이동은 대상 건물의 위상을 변환시켜 그 건물이 공격을 당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그 능력이나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미사일 포탑과 같은 구조물에 사용하여 공격을 봉쇄하는 것은 물론, 저그의 둥지탑에 사용하여 저그의 뮤탈리스크 및 타락귀 생산이나 공중 유닛의 업그레이드를 막을 수도 있다.

복제자
설명: 복제자의 능력은 하나다. 거대 유닛을 제외한 모든 유닛으로 변신할 수 있는 것. 그 생산 비용을 고려하면 저글링을 복제하는 것이 자원 낭비이겠지만, 밤까마귀나 감염충, 공성 전차 등으로 변신한다면 프로토스에게 흥미롭고 다양한 전략들이 펼쳐질 것이다.

새로운 기술
연결체에 아크 보호막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생긴다. 이 기술은 프로토스의 구조물에 추가적인 방어력과 광자포와 같은 공격 능력을 잠시 동안 부여한다. 부여된 공격 무기는 일반적인 광자포와 동일한 피해를 주지만 경장갑 유닛만을 공격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예상치 못한 적의 공중 침투에 대응할 시간을 프로토스에게 벌어줄 것이다. 프로토스 연결체에는 대규모 소환이라는 기술도 추가된다. 전장에 있는 아군 병력들을 연결체로 순간 이동시키는 기술이다. 소환된 유닛들은 소환되고 몇 초 동안은 움직일 수 없다.

퇴역하는 유닛들
멀티플레이어 게임에 새로운 유닛을 추가하면서 게임 균형을 맞추고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 때때로 기존 유닛을 삭제하거나 다른 유닛의 기술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군단의 심장 디자인에서 프로토스는 모선과 우주모함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군단의 심장 멀티플레이어에서 없어지더라도, 자유의 날개 멀티플레이어에서나 싱글 캠페인에서는 이 유닛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테란]

영리한 테란 또한 코프룰루 구역의 전투에서 생존해 나가기 위하여 그들의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분쇄기
설명: 분쇄기는 군수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유닛으로 테란 플레이어에게 전장을 장악할 수 있는 힘을 준다. 분쇄기는 이동 모드에서는 공격 능력이 없으나 정지 모드에서는 공중과 지상에 범위 공격을 가하며, 아군 유닛이 해당 범위 내에 들어오면 공격을 멈춘다.

투견
설명: 투견은 크기가 작은 보행형 기계 병기로서 자유의 날개 속 토르와 같이 효과적인 대공 방사 공격을 한다. 차이점이라면 토르보다 몸집이 잡고 빠르다는 점과, 기동성을 위해 사거리가 짧아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투견이 사용하는 소형 지상 공격 무기는 기계 유닛에게 추가 피해를 주기 때문에 적의 공성 전차를 상대하는 데 적합하다. 하지만 반대로 기계 이외의 유닛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토르(변경)
설명: 토르가 공중과 지상에서 상당히 효과적이었지만 이 유닛의 가장 큰 문제는 거대한 몸집으로 인한 제한된 움직임이었다. 이 문제에 대해 테란은 토르를 아예 더 크게 만들기로 했다. 군단의 심장 멀티플레이어에서 테란 플레이어들은 한 번에 한 기의 토르만 소유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거대한 유닛은 기본 지상 무기로 더 강한 피해를 줄 수 있고 더 많은 공격을 견뎌 낼 수 있다. 또한 토르의 대공 무기가 폭격 능력으로 바뀌면서 넓은 지상 범위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게 되었다. 토르는 공성 전차와 같이 폭격 모드로 변환하거나 원래처럼 돌아오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강력한 무기를 쓰려면 당연히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무기고와 융합로를 지어야만 토르를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
화염차는 바이킹과 같이 변신할 수 있는 유닛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변신하였을 때는 새로운 전투 기계 모드로 돌입하는데, 이 모드에서는체력이 증가하며 불꽃 공격도 사거리는 짧지만 더 강력해진다. 이로써 화염차는 경기 후반 광전사와 같은 다수의 경장갑 유닛을 좀 더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게 되었다. 유령의 은폐 능력 또한 끄고 켤 수 있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정해진 에너지를 한 번 소비하고 특정 시간 동안 은폐하는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은폐 중에도 에너지는 계속 회복될 것이고 핵 공격 시 공격을 멈추지 않고도 다시 은폐할 수 있게 되었다. 전투순양함에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있는 한계 반응로라는 속도 증폭 기술이 생긴다. 마지막으로 사신의 특수 건물 공격 능력이었던 D-8 폭탄이 사라지고, 대신 체력 회복 지속 능력이 생겨 비전투 시 체력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저그]

저그는 변화하는 환경, 특히 전장에서 마주치는 위험에 적응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저그는 새로운 생물체들을 이용해 포위작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것이며 적을 조종하는 특수한 능력들로 자신의 화력을 강화할 것이다.

살모사
설명: 살모사는 새로운 공중 유닛으로 세 가지 특수 능력이 있다. 흑구름은 구름 내 모든 지상 유닛들의 사거리를 근접 사거리로 줄이고, 에너지 기반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둘째, 납치를 사용하면 살모사가 대상 유닛을 자신이 있는 곳으로 잡아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안구 기생충이라는 기술이 있는데 이 기술은 거대 유닛을 제외한 모든 아군 유닛에게 살모사의 눈을 부착시켜 그 유닛을 탐지기로 만든다.

군단 숙주
설명: 군단 숙주는 이동 속도가 느린 지상 유닛으로 기본적인 공격 능력은 없으나 땅속에 숨었을 때 "식충"이라는 느린 근접 공격 유닛을 지속적으로 생산해 낸다. 이 능력은 포위 작전과 견고한 적의 위치를 압박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

새로운 능력
타락귀의 타락 능력은 흡입이라는 새로운 능력으로 대체된다. 흡입은 적 대상 구조물에게 천천히 피해를 주고 이 피해를 자원으로 변환해 가져간다. 울트라 리스크에게는 땅속으로 들어가 순식간에 대상에게 접근할 수 있는 수 있는 잠복 돌진이라는 새로운 능력이 생기는데, 이 능력은 울트라 리스크가 유닛들이 밀집한 전장에서 신속하게 전투에 투입되도록 도와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맹독충에는 바퀴와 같이 땅굴을 뚫을 수 있는 발톱이 생겼는데 이것으로 땅속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진화 덕분에 적들은 아군의 숨은 공격을 더 경계할 것이며, 자신들의 진영에 탐지기를 필히 배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점막 밖에서의 히드라리스크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새 업그레이드가 생겼다.

퇴역하는 유닛
감시군주는 퇴역하며, 탐지 능력은 살모사와 안구 기생충 기술로 대체될 것입니다.

(제공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러쉬본능
11/10/22 04:13
수정 아이콘
스타2를 아예 갈아업을 생각인것 같네요.
Lainworks
11/10/22 04:16
수정 아이콘
유닛 추가로 밸런스를 바꾸는게 아니라 아예 그냥 스타2.5......
11/10/22 04:17
수정 아이콘
이번 스2의 확팩이름은 군단의 심장이 아니라 대격변이네요.

스타2:대격변
11/10/22 04:19
수정 아이콘
어-_-? 테란은 퇴역하는 유닛이 없나요???
파쿠만사
11/10/22 04:19
수정 아이콘
진짜 이건 확장팩이 아니라 그냥 또다른 시리즈 같네요..음 아직 발매전이기에 어떻게 또 바뀔지 모르지만..
이런 식이면 스타2 유저 사이에도 시리즈별로 유저들이 나뉠거 같네요..
11/10/22 04:20
수정 아이콘
음.. 자유의 날개는 그래도 스1의 감각이 살아있었는데 군단의 심장 부터는 그런 느낌으로부터 단절되는 듯 하네요 일단은.. 뭐 해봐야알겠지만..
함정카드
11/10/22 04:30
수정 아이콘
맹독충 잠복이동 돋네요...이제 밤까없인 공격은 꿈도못꿀 기세...
어진나라
11/10/22 04:36
수정 아이콘
토르가 오딘됐네요 덜덜;;;
루스터스
11/10/22 05:39
수정 아이콘
저그는 마지막 확장팩에서는 유닛만으로 지하 연결 통로를 만들지도 모르겠네요
울트라 리스크가 땅속에 들어가는걸 넘어 이동이 되니
abyssgem
11/10/22 09:21
수정 아이콘
유일하게 에픽유닛이던 모선이 퇴역하고 토르가 오딘화하여 에픽유닛이 된다는 얘긴데...

이걸로 프로토스의 암울함이 테란으로 옮겨가려나요?

아, DK가 그걸 방치하진 않겠지... 프로토스는 안될거야 아마.
루크레티아
11/10/22 09:46
수정 아이콘
군단숙주는 왠지 망이 될 것 같은데...그냥 무리군주 말고 광역 뎀딜 러커를 달란말야!
그리고 블리자드가 자기네 실수를 드디어 인정했네요. 드디어 히드라 발업이 등장..;
감성소년
11/10/22 10:26
수정 아이콘
전혀 예상밖이네요. 브루드워같은 단순 추가유닛이 아니라 추가유닛과 함께 퇴역유닛이라...
그럼 공허의 유산까지 나왔을 경우 대회의 기준은 자유의 날개가 될까요 아니면 공허의 유산이 될까요?
단순히 버전이 다르다고 단정짓기에는 각 확장팩들이 너무 차이가 나는데요.
11/10/22 12:04
수정 아이콘
복제자가 건설로봇을 복제했을 경우에 건물이 지어지는 지가 궁금하네요.

어차피 테크올려서 유닛 뽑는거야 200인구수를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이 별로라 쳐도 프로토스가 궤도사령부를 지어서 지게로봇을 쓸 수 있게 되는 것은 메리트가 있을 것 같습니다. 초반부터 맘껏 쓰는 테란만큼은 아니겠지만....
시간증폭 쓰면서 지게로봇을 사용할 수 있다면 후반 자원채취효율은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상대편 유닛 한가운데 있는 적 유닛을 빼앗는 마인드 컨트롤과는 다르게 호위 받으면서 복제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좀더 실용적인 것 같구요.

유령, 살모사 등등 상대방의 주요 마법유닛 복제하는 것도 좋을 것 같고..

이렇게 얘기해봐야 신유닛이 그대로 나올 리가 없지만 말이죠-_-;;
아나이스
11/10/22 14:25
수정 아이콘
우모가 쓰레기라는 소린 많아도 솔직히 캐리어 없는 토스라 너무 아쉬운데요...
11/10/22 17:13
수정 아이콘
우모는 패치의 여지가 전혀 없었나보군요. 하긴 유닛만봐도 1하고 똑같은데다가 너무 성의가 없는 느낌이라 없는게 스2색깔이 더 나서 좋긴합니다.

이렇게 패치가 되더라도 결국 2개가 공존하지는 않을겁니다. 전혀 다른게임이 된 프로즌쓰론의 경우만봐도 지금 오리지널 워크하는사람 없는거 처럼요.
CounSelor
11/10/23 18:41
수정 아이콘
대규모 소환이라니 크크 몇년전쯤에 토론게시판에 파일런에 리콜기능을 추가하면 어떻겠냐고 올렸다가 반응이 없어 지웠었는데 비슷한 기술이 생기네요
11/10/24 01:44
수정 아이콘
복제는 그냥 마인드컨트롤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스1의 마인드컨트롤도 왠만하면 다크아칸이 죽어나가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775 리그오브레전드 Shyvana patch Notes [16] 마빠이11408 11/11/01 11408 0
45774 2011 Sony Ericsson GSL Nov. - Code S, 32강 1회차 #1 [227] kimbilly5082 11/11/01 5082 0
45772 [펌]케스파는 스스로를 개혁하지 않는 이상 스타2 판에 들어와선 안 됩니다. [18] 리멤버10095 11/11/01 10095 0
45771 디아블로3 한정판이 정식 발매 될 거 같습니다 [30] 8141 11/10/31 8141 0
45770 스타1 선수들의 스2 병행은 사실인거같습니다. [77] dfsefsfdfefs11607 11/10/31 11607 0
45769 2011 스타크래프트2 상금랭킹 TOP 20 (10.31) [4] sleeping0ju5438 11/10/31 5438 0
45768 셧다운과 여가부, 그리고 블리자드 [32] 스치파이6476 11/10/31 6476 0
45767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정종현-임재덕 선수의 군단의 심장 신유닛 체험기 [41] kimbilly45318 11/10/30 45318 0
45766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 스타2 : 16강 D조 [244] kimbilly7402 11/10/30 7402 0
45764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 스타2 : 16강 C조 [175] kimbilly6723 11/10/29 6723 0
45763 [영상] Dear. 이현주... [7] 염력의세계7107 11/10/29 7107 4
45762 스2갤 문학-광장 [6] 럭스6277 11/10/29 6277 0
45761 이영호 선수가 스타2를 플레이 하고 있다는 말이 트윗에 떴네요. [30] 순유묘12522 11/10/28 12522 0
45760 리그디스 이벤트전 스타테일 vs TEAM OP [109] 마빠이8205 11/10/28 8205 0
45758 2011 Global StarCraft II Leauge Nov. - Code S, 조 지명식 [104] kimbilly5822 11/10/27 5822 0
45757 곰TV, 2012 GSL Tour 부터 적용되는 GSL Nov. 의 경기 방식 공개 [28] kimbilly5708 11/10/27 5708 1
45755 박지수선수의 본격적인 GSL정복이 시작되었습니다 [29] DJLORD11213 11/10/27 11213 0
45754 요새 스타판에 안 좋은 소식들만 날아오네요.. [39] 강민화이팅13032 11/10/26 13032 0
45753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한국 선수들과 함께한 스타2 결승전 영상 스케치 [3] kimbilly6930 11/10/26 6930 0
45752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4.2 PTR이 공개되었습니다. (북미) [30] purplejay8518 11/10/26 8518 0
45751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Day 2, 폐막식과 Community Summit 스케치 kimbilly5678 11/10/26 5678 0
45750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Day 1, 개막식과 행사장 현장 스케치 [1] kimbilly5680 11/10/26 5680 0
45749 지금까지 알려진 복제자의 특징 [44] RPG Launcher8152 11/10/25 815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