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9/29 08:41:19
Name 信主
Subject 프로리그 방식에 대한 희망사항
프로리그 방식에 대한 희망입니다. 어디까지나 희망사항...

- 양 팀은 각각 세 경기씩(한팀은 1,3,5경기, 한팀은 2,4,6경기) 출전선수와 맵을 결정해 상대팀에 통보합니다.
- 양 팀이 세 경기의 선출전선수를 결정할 때는 '반드시' 서로다른 종족으로 결정합니다.
- 상대팀은 맵과 상대선수를 보고 출전선수를 결정합니다. 종족제한은 없습니다. 결정 후 미리 통보하든, 당일 한번에 통보하든, 매 경기 발표하든 상관은 없습니다.
- 에이스 결정전은 미리 맵을 결정해두고, 현재방식과 차이없이 진행합니다.
- 선출전선수는 한 라운드(새 팀이 창단될 경우 최대7경기)에 동일맵을 3번까지만 선정할 수 있습니다. 상대가 결정한 맵에 출전하는 것은 제한없습니다.


방식의 예상되는 장점.
- 위너스리그방식보다도 스나이핑이 쉽습니다. 그것으로 인해서 특정종족에 대한 스페셜리스트들의 활용가치가 올라갑니다. 테란전, 저그전, 토스전 전담선수등 전문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선출전선수가 종족별로 1명씩 있어야하기 때문에 세 종족을 상대로 다 잘하는 선수도 종족별로 필요성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선수들의 역할을 다양하게 두는 것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체적으로도 재미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맵사용에 제한을 둬 한 선수가 특정맵을 전담하는 방식을 어느정도 피할 수 있어 좀 더 다양한 플레이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인해 선출전선수를 고정한 경우엔 맵을 바꿔야하고, 맵을 고정한 경우엔 선출전선수를 변경해야합니다. 둘 중에 하나라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선출전 선수는 서로 다른 종족이어야하기 때문에, 각 팀은 종족별로 적어도 1명의 유력선수는 필요하게 됩니다. 선수구성의 다양성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상대팀 선정맵의 경우엔 종족제한이 없기때문에 특정종족이 강한 팀색체도 살릴 수 있습니다.

방식의 예상되는 단점.
- 일단 맵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하더라도, 선수를 나중에 결정하는 쪽이 유리할 것입니다. 그래서 1,3,5경기에 선수와 맵을 결정하는 팀이 조금 불리합니다. 그래서 짝수라운드로 진행해 교대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혹은 두경기씩만 선결정하고, 5,6,7경기는 미리 정해두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은 에이스결정전의 묘미가 좀 더 약해질 듯 합니다.
- 맵을 팀에서 결정하기 때문에, 동일맵을 결정해서 하루에 같은 맵을 2번 사용할 가능성도 발생합니다. 큰 단점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단점인 것은 부인할 수가 없구요.
- 팀에서 맵을 결정하기 때문에 시즌맵 중 선호맵과 비선호맵이 갈리게 됩니다. 4~5개맵만 사용되어 맵의 다양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꿈꾸는꿈
11/09/29 09:01
수정 아이콘
출전선수의 통보는 안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두려운 기억이 다시 생각나네요..;;;
파일롯토
11/09/29 09:14
수정 아이콘
근데 프로리그하긴 하나요? 끝난지 한달도 훨넘은거같은데...
sad_tears
11/09/29 09:30
수정 아이콘
장점에 언급되었지만
종족별 선수층이 얇은 팀은 상대적으로 정확한 스나이핑을 당할 가능성이 크겠네요.
같은 종족이라도 다른 스타일을 구사하는 선수 폭이 넓을수록 조금 더 유리해질수있겠네요.
선수 인프라가 없는 팀은 종족뿐 아니라 선수를 먼저 공개하는것과 마찬가지인 효과를 기대할 수도있겠네요.
팀간의 선수자원 양극화에 대한 부작용을 줄이려면 아예 선수를 공개하는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어요.
프로리그 초창기엔 이렇게 했던것 같은데 왜 바뀌었는지는 모르겠어요
lionheart
11/09/29 09:35
수정 아이콘
오센 고용준기자 기사는 그냥루머를 짜집기한거고
실제로는 아직 암울한 상태더군요.
프로리그 언제열릴지는 아직 미정.
제임스
11/09/29 10:22
수정 아이콘
상대팀에만 하는 거랑 전체공개하는 거랑 전혀 다를 게 없지요. 어차피 승부조작의 주체가 선수들인데요.
석본좌
11/09/29 11:47
수정 아이콘
방식은 좋은데 맵에따라 유불리한팀이 나올꺼 같은데요? 135이라면 유리한반면 246이라면 불리한팀이 생기기 때문에
정규리그때는 모르지만 포스트시즌같은 중요할때는 좀 문제가 될꺼같네요
11/09/29 11:48
수정 아이콘
출전선수보다는 출전종족(z/t/p)만 공개 하는게 더 좋아보이긴 한데..
이건 또 팀별 유불리가 있어서..
비비안
11/09/29 13:35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같은 맵에서 두번연속 같은종족 못내게만 하면 좋겠습니다.
11/09/29 13:41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를 하기 위해선 신한은행이든 하나은행이든 뭐든 후원사가 하나 이상 있어야 하지 않나요? 그런데 현재는 신한은행도 더 이상 손대려하지 않는 상태인데 후원사를 KesPa로 할려나?
혹시나 해서 케스파 홈페이지에 정보가 있나 싶어 봤더니 홈페이지 관리가 개판이군요.
LikeAMiu
11/09/29 13:53
수정 아이콘
07그랜드파이널이었나요 sk vs 엠겜 그때까지 미리알려주는방식이었던걸로기억..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667 2011 Sony Ericsson GSL Oct. - Code A, 결승전 <이원표 vs 김학수> [98] kimbilly4935 11/10/10 4935 0
45664 IPL에 눈에 띄는 외국인 선수가 등장했습니다 [27] 7358 11/10/10 7358 0
45663 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5] 개념은나의것8579 11/10/09 8579 0
45662 IEF 2011 국가 대항전 - 결승전, 시상식 <현장 스케치> [11] kimbilly10630 11/10/09 10630 0
45661 IEF 2011 국가 대항전 - 스타크래프트1 결승전 <송병구 vs 김택용> [146] kimbilly26726 11/10/09 26726 0
45660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 스타2 : 32강 D조 [176] DJLORD8573 11/10/09 8573 0
45659 IEF 2011 국가 대항전 - 워크래프트3 결승전 <장재호 vs 박 준> [38] kimbilly6784 11/10/09 6784 0
45658 다시 한 번 돌아보는 역대 스타리그 오프닝 모음 [20] VKRKO 15807 11/10/08 15807 1
45657 GSL 결승전에서도 각 종족을 대표하는 성우들을 초청하는 것이 어떨까요? [13] RPG Launcher5509 11/10/08 5509 1
45656 [펌] 스타크래프트1 스토리 다시보기(3) [20] 러쉬본능5695 11/10/08 5695 2
45655 2011 GSTL Season 1 - Grand Final <Prime.WE vs MVP> #2 [60] kimbilly5392 11/10/08 5392 0
45654 2011 GSTL Season 1 - Grand Final <Prime.WE vs MVP> #1 [217] kimbilly5958 11/10/08 5958 1
45653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 스타2 : 32강 E조 [216] DJLORD7425 11/10/08 7425 0
45652 [IPL3] Day 2 - 송현덕, 김성한, 최연식, 문성원 출전! [32] 언데드네버다��6260 11/10/07 6260 0
45651 [펌] 스타크래프트1 스토리 다시보기(2) [15] 러쉬본능7462 11/10/07 7462 1
45650 신작 게임 '레이지(Rage)' 리뷰랄까요? [16] 빼꼼후다닥7325 11/10/07 7325 1
45647 이런 방법은 어떤지요 ? [25] 승리의기쁨이6906 11/10/07 6906 0
45645 [IPL3] Day 1 - 임요환, 김동원, 한이석, 장민철 출전 [238] 언데드네버다��8695 11/10/06 8695 0
45644 [펌] 스타크래프트1 스토리 다시보기(1) [16] 러쉬본능7140 11/10/06 7140 3
45640 [잡설] 이 판이 슬슬 달아오르는듯한 느낌입니다 [42] DJLORD14398 11/10/06 14398 0
45639 2011 Sony Ericsson GSL Oct. - Code S, 16강 2회차 #4 [88] kimbilly5297 11/10/05 5297 0
45638 2011 Sony Ericsson GSL Oct. - Code S, 16강 2회차 #3 [325] kimbilly5126 11/10/05 5126 0
45637 주요 프로게이머 닉네임 정리 [23] 개념은나의것16809 11/10/05 16809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