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9/07 11:42:51
Name 로베르트
Subject 프로리그 중계 어디서 해야 할것인가?
mbc게임은 사실상 개점휴업상태로 들어갔습니다.
물론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지만 루머가 아닌 관계자들과 언론에서 직접적인 확인이 가능한만큼 사실상 폐지됐다고 보는게 맞겠죠.
그렇다고 프로리그를 지금 상태에서 확 줄인다면 200명이넘는 프로게이머들의 연봉은 sk kt를 제외하곤 반토막이라는 직격탄과 해체팀선수들은 그보다 더한 삭감을 받아들여야 하는만큼 스투본좌를 꿈꾸면서 유명선수들까지 탈출해버리는 상황에 봉착하게 될겁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어짜피 주5일은 이젠 무리더라도 주3일 6경기를 위해서 어떤 방송국의 문을 두드려봐야할지

1.MBC계열내 채널



인력문제나 스튜디오에서 가장 높은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상 MSL을 위해서 하루정도 프라임타임대를 비워주면 모를까.....프로리그를 3일이나 트는건 정말 힘든거죠.그리고 어짜피 MBC플러스에서 차기 MSL 프로리그를 안한다고 했으니 사실상 힘들다고 보여집니다.


2.CJ E&M내 채널

CJ E&M내 채널현황과 6월 평균시청률 순위를 봤습니다.
TVN-5위 0.548
투니버스-8위 0.434
채널CGV-10위 0.430
OCN-11위 0.415
슈퍼액션-18위 0.298
O'LIVE-20위 0.205
M.NET-30위 0.160
XTM-35위 0.154
ON STYLE-38위 0.127
내셔널지오그래픽-42위 0.117
STORY ON-43위 0.117
바둑TV-51위 0.098
중화TV-63위 0.058
온게임넷-70위 0.047
KM-80위 0.016

그리고 현재 온게임넷의 프로리그 시청률



현재 중화TV랑 KM정도가 후보군으로 불수 있겠습니다.


3.온겜과 엠겜사이들의 채널

그리고 가장 유력한 후보군들이라 할수 있는 온겜 엠겜과 같이 군집한 채널들




4.그냥 온게임넷이 6경기 다한다

토,일요일 두경기씩 때려넣어버리고 금욜 오후1시 1경기 월욜 오후6시 1경기
어쩌면 이게 가장 현실적일지도 모르곘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일롯토
11/09/07 11:46
수정 아이콘
저시청률보고 골드타임내어줄방송국은없겠지요... 온겜이 주말에는 1시,7시를하는게 가장좋을듯합니다
근데 신한은행이 11-12다음시즌도 해주는건가요? 스폰잡힌건가요?
멀면 벙커링
11/09/07 11:58
수정 아이콘
경기수 이제 줄여야죠.
주 5일제?? 이딴 건 이제 개나 주라고 해야합니다.
목 토 일 주 3일제가 나아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각 팀의 경기수 텀도 생기고 개인리그 프로리그 연습량 분배하기도 편해 질 겁니다.
하심군
11/09/07 12:06
수정 아이콘
일단 프로리그를 가장 도와줄만한 채널이라면 XTM정도일까요..? 보니까 XTM이 의외로 7~8시에 할만한게 별로 없던거 같은데요 [m]
하심군
11/09/07 12:20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걸 방영하는 시간이 10~11시란 말이죠. 다시말해 TVN이나 XTM, MNET은 6~8시가 프라임 타임이 아닙니다. 뭐...10시는 안넘기려고 정규방송크리나 방영시간을 앞당기거나 5전 3승제로 낮추는 등 패널티는 있겠네요. [m]
11/09/07 12:28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이 6경기를 다 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프로리그를 주3일한다면 토,일,월이 유력한데 토요일과 일요일 저녁은 SF프로리그가 진행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하루에 한 경기 씩 진행될 수 있다고 봅니다. 예전 2006년 처럼 일주일에 5경기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제 생각에는 곰TV가 엠비시 게임 해설진을 영입해서 주말에 프로리그를 하는 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온게임넷에서 3경기 중계하고 곰TV가 2경기를 중계하는 것이지요. GSL은 주말 경기는 결승전과 MLG등 해외 대회 밖에 없으니까 시간은 괜찮다고 보여집니다.
미하라
11/09/07 12:49
수정 아이콘
방학 시즌 아니면 평일 오후 시간대는 그냥 차라리 경기를 안하는게 낫겠죠. 프로리그를 더 축소하더라도요.
솔직히 그 시간대에 휴학생, 백수 아니면 누가 스타리그를 관람할수 있겠습니까.
어떤날
11/09/07 13:3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주중 낮 경기를 늘리는 건 그렇지 않아도 침몰하고 있는 속도를 더 가속화시킬 겁니다. 미하라님 말씀처럼 백수, 여유 많은 자영업자 정도 아니면 주중 낮 경기는 거의 보기 힘듭니다. 애초에 관심이나 시청률을 손해보고 시작하는 거죠. 수요일 낮 하루만 해도 좀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1/3 이상이 낮 시간대에 배정된다면 그야말로 무관심의 나락으로...

팀 수도 줄어들었으니 축소 자체는 불가피할 거고 이런 상황에선 남은 팬들이라도 끌어모아야 할 노력이 필요하지 있는 팬마저 내치는 건 그냥 관두겠단 소리밖에 안 된다고 보이네요.
으랏차차
11/09/07 13:39
수정 아이콘
4번은 절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Han승연
11/09/07 14:16
수정 아이콘
엠겜해설진들 영입해서 주말에 2경기씩 월요일 1경기씩하면 괜찮지않을까요? 팀도 7~8개라고 가정하면
괜찮은거같은데..
Amaranth4u
11/09/07 15:47
수정 아이콘
근데 단순히 다른방송사에서 방송하기엔 일단 인력이 안되지 않나요? 게임방송 경력이 있는 사람도 없을 것이며 프로리그 중계하나 때문에 엠비씨게임 피디나 스텝들을 영입할수도 없고요. 스튜디오나 피씨등 기기도 마련해야 되는데 단순히 비디오만 받아서 방송하는것과는 다르지 않을까요?
운체풍신
11/09/07 16: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어떻게든 한팀을 더 만들어서 8팀을 프로리그에 참가시키고 주말에는 오후 1시에 경기하고 월요일과 화요일에 6시나 7시에 경기해서 각 팀마다 일주일에 한경기씩이라도 했으면 좋겠네요. 그래서 각 팀당 한 라운드에 7경기씩 했으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562 SC2 오프라인 주요대회 일정 (~WCG 2011) [13] 좋아가는거야6522 11/09/22 6522 2
45561 베틀넷 필승전략 - 당신도 고수를 이길 수 있다! [22] Harq8257 11/09/22 8257 0
45560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 개념은나의것6706 11/09/22 6706 0
45559 온게임넷 <특집 뒷담화 : 스타2를 말하다>의 내용 정리 [17] 대청마루10806 11/09/22 10806 0
45558 한눈에 보는 aos 장르의 역사 part 1 [33] 마빠이9276 11/09/22 9276 0
45556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4.0 [51] 한울9753 11/09/22 9753 0
45555 이승원 해설을 떠나보내며 [53] VKRKO 15212 11/09/22 15212 2
45554 하등종족의 사기화? - 빠른 무한 [31] Harq13774 11/09/21 13774 0
45553 온게임넷 wcg 스타크래프트 2 예고 영상 [22] 피로링8681 11/09/21 8681 0
45552 혹시 방금전 철구방송 보셧나요?? 익명 현프로간의 경기.. [12] 바알키리15027 11/09/21 15027 0
45551 온게임넷의 대안은 인터넷 방송국이 되지 않을까요? [66] 파르티아10713 11/09/20 10713 0
45550 GSL 의 공식전 경기가 2000경기를 돌파했습니다. [56] Lainworks7666 11/09/19 7666 0
45549 우려하던 것이 표면화 될 때.. [25] 황제랑 늙어간다9545 11/09/19 9545 0
45547 온게임넷도 채널 전환 가능성, 기사가 나왔네요 [52] 마빠이17765 11/09/19 17765 0
45546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9] 개념은나의것9476 11/09/19 9476 2
45545 허영무의 우승을 바라보며 [3] 王天君12156 11/09/19 12156 5
45544 허영무 선수는 제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큰선수였습니다 [4] 불멸의황제7515 11/09/18 7515 0
45543 정명훈 선수, 힘내십시오. [8] Winter_Spring6573 11/09/18 6573 0
45542 Dreamhack Valencia Invitational 결과 정리 (박수호, 송현덕, 박서용 출전) [14] 언데드네버다��7052 11/09/18 7052 0
45541 결승전 5경기 정명훈선수의 자원이 4자리가 된 이유. [21] 전국수석11723 11/09/18 11723 0
45539 늦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버린 스타리그 결승.. [2] 신동v5443 11/09/18 5443 0
45538 스타리그여 영원하라!!(부제 고마워요 허영무!) [4] 파쿠만사6417 11/09/18 6417 0
45537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결승전 <5경기 하이라이트 ; 직캠> [8] kimbilly8808 11/09/18 88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