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9/06 09:36:15
Name 흑태자만세
Subject 철권 크래쉬 지금까지 우승자 및 준우승자 정리 (시즌 8 로얄럼블 16강 진출자 스포도...)
이제 6 BR이 끝나고 태그2로 하는 새로운 철권 크래쉬 대회를 앞두고 있는데...
엠겜이 1월이면 종료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과연 태그2 철권 크래쉬가 한 번이라도 열릴까 하는 걱정까지 듬.

어쨋든 6 BR의 마지막 대회도 끝나서 한 번 정리해보았음.

홀맨 : 4회 우승 1회 준우승
통발러브 : 2회 우승 3회 준우승 - 다승 3위

역시 철권 크래쉬에서 가장 많은 이름이 오른 두 선수답게 결승 경력도 가장 많음.
다만 레인, 통발러브와 함께 다승 경쟁을 하던 홀맨은 근래 너무 훅 가서 결국 다승 5위에도 못 든 채 철권 6 BR을 마감.

무릎 : 2회 우승 1회 준우승 - 다승 5위, 2회 로얄럼블 우승
레인 : 1회 우승 2회 준우승 - 다승 1위
한쿠마 : 1회 우승 2회 준우승 - 다승 2위, 1회 로얄럼블 우승
잡다캐릭 : 3회 준우승 - ......

사실 무릎이 철권 크래쉬에서의 활약은 명성에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싶었는데 그 부족한 수준이 바로 저 정도.
통발러브와 함께 철권 크래쉬의 아이콘으로 대표되던 레인 역시 뛰어난 활약을 함.
무엇보다 잡다캐릭이...... 아흑......

나락호프 : 2회 우승
Envy : 1회 우승 1회 준우승
냉면성인 : 1회 우승 1회 준우승
빈창 : 2회 준우승 - 다승 4위
Crazy동팔 : 2회 준우승
썬칩 : 2회 준우승 - 1회 로얄럼블 우승

시즌 8의 영웅은 바로 Envy! 진짜 이 정도로 발전할 줄은 몰랐음.
빈창도 언제나 꾸준한 모습을 보여줬고 결국 홀맨과 무릎을 제치고 다승 4위로 6 BR을 마감.
나락호프도 머독으로 2회 우승을 차지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함. (뭐 아스카보다는 좋지만...)

미스티 : 1회 우승 - 1회 로얄럼블 우승
구라 : 1회 우승 - 1회 로얄럼블 우승 (5인조 걸그룹)
Only_practice : 1회 우승 - 1회 로얄럼블 우승 (5인조 걸그룹)
아뚱 : 1회 우승 - 1회 로얄럼블 우승 (5인조 걸그룹)
뺑신영 : 1회 우승
춘래 : 1회 우승
박우정 : 1회 우승
샤넬 : 1회 우승
B.D.D.J. : 1회 우승
촉새 : 1회 우승
Ran : 1회 준우승
말구 : 1회 준우승
소용돌이 : 1회 준우승
지삼문에이스 : 1회 준우승

이 부분에서는 의외의 선수들도 있고 반면 명성에 비해 아쉬운 선수들도 있음.
개인적으로는 구라랑 말구는 명성에 비해 좀 더 커리어를 쌓을 수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듬.
소용돌이나 지삼문에이스도 명성은 한 두 번 더 결승에서 볼 만한 선수들이었고...

그리고 시즌 8 로얄럼블 16강 멤버들은 다음과 같음.

필사마(레오)
각시니(드라구노프)
KCI(스티브)
CHANEL(알리사)
Hideto(폴)
잡다캐릭(아머킹)
Saint(간류)
Sun Chip(브루스)
화랑신공(브루스)
홀맨(라스)
Bebe(아스카)
Ccer(리리)
헬프미(브루스)
아뚱(아스카)
DNGW(브라이언)
통발러브(데빌진)

2연속 16강 탈락한 레저렉션에서 유일하게 활약했던 무릎은 떨어지고 반대로 다른 두 선수는 올라간 가운데...
개인적으로 처음 보는 선수들도 몇몇 있음.
그리고 브루스가 왠일로 많이 보인다는 생각이 들고 (캐릭 성능이야 엠흑이지만 대회에서는 잘 안 보였던...)...
이런 로얄럼블에서라도 제발 잡다캐릭이 한을 풀지 궁금함.

개인적으로는 썬칩이 우승할 것 같음. 이유는 그냥 감으로...

P.S : 어느 날 제 친구랑 오락실 이야기를 하는데 그 친구가 '중학교 때 같은 반의 정우라는 애가 있었는데 걔는 소풍으로 놀이동산 같은 데 가면 맨날 오락실 가서 킹오파만 했어. 그런데 한 번 돈 넣으면 집에 갈 때까지 지는 법이 없었고 일본에서 놀러온 학생들도 다 이길 정도로 진짜 잘했는데'라는 말을 함. 그 순간 정우라는 이름을 듣고 홀맨 선수 사진을 보여줬는데 어~ 얘 정우 맞아. 그런데 살 쪘네...;;; 뭐 이런 이야기가...

P.S 2 : 제가 만약 철권 팀을 만든다면...

선봉 : 무릎(브라이언)
중견 : 레인(스티브)
대장 : 구라(리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9/06 09:42
수정 아이콘
앞으로 온겜에서 볼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m]
ミルク
11/09/06 09:54
수정 아이콘
홀맨이 킹오파도 잘했었군요. 역시 게이머는 타고나는듯;
CoralEyez
11/09/06 10:00
수정 아이콘
나락호프도 2회 우승 아닌가요? S2, S7
11/09/06 10:13
수정 아이콘
빈창은 어떤 시즌을 우승했었나요?
11/09/06 10:14
수정 아이콘
레인은 로얄럼블 탈락했나요??
11/09/06 10:28
수정 아이콘
원래는 콩발러브였는데

이번 텍크 이후

콩의 지위는 잡다케릭한데..

왜 딜캐를 못하니 잡다야

1피에서는 잘하는데 2피에서는 왜이러니;
CoralEyez
11/09/06 10:29
수정 아이콘
수정사항이요.
나락호프 우승1회 ->우승2회
빈창 우승1회,준우승1회 -> 준우승2회
냉면성인 우승1회,준우승2회 -> 우승1회,준우승1회
11/09/06 11:01
수정 아이콘
제가 봐도 썬칩이 로얄럼블 우승할 거 같네요

마땅히 경쟁자가 없음
11/09/06 11:17
수정 아이콘
레인선수나 한쿠마선수는 진짜 홀맨선수의 그 결승 활약이 아니었으면 우승 0회로 끝났을수도....

사실 저 두선수가 우승 1회밖에 없다는게 믿겨지지 않네요
dsfsdfdsf
11/09/06 11:31
수정 아이콘
오 헬프미 나오시네요 ~ 헬프미님 브루스 사실 6때 초반떄 푸진 최초로 찍은 사람이 헬프미님이였고 텍갓을 리차오롱으로 처음 찍은 사람도 헬프미님이였죠(레인 레오를 잡고) 실력이랑 센스는 정말 ...
위원장
11/09/06 12:08
수정 아이콘
썬칩선수는 브루스로 나온건가요? 브라이언으로 안나오고?
히스조커
11/09/06 12:39
수정 아이콘
정리된걸보니, 지금까지 텍크 본 기억이 스쳐가네요..^^

만약 제가 팀을 만든다면 - 선봉:크레이지동팔/ 중견::촉새/ 대장:킹박사or파뎁진, 사나이의 로망이 느껴지지 않나요??^^
11/09/06 12:47
수정 아이콘
철권리그는 온게임넷에서 하게 될 확률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사실상 엠비시게임에서 이번시즌이 마지막 리그이고 WCG한국 대표선발전 이후로 철권리그가 진행될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11/09/06 15:38
수정 아이콘
오히려 홀맨이 간것보다 통발이 간게 더 타격이 크죠. 홀맨이야 꾸준히 잘하기보다는 중요한 순간에 활약을 해줬고, 통발은 소년가장으로 꾸준하게 승수 쌓다가 무릎, 홀맨하고 드림팀 구성하고 대장역활에 충실했었는데, 저번에도 그렇고, 이번에도 ;;
무릎은 정말 몇시즌 나오지 않았는데, 괴물같은 모습을 보여줬고, 근데 결승은 생각보다 큰 활약은 못한것 같고, 개인전도 2회 우승하고,

근데 개인전 2회우승이 무릎하고 미스티인걸로 아는데 미스티는 1회우승인가요? 이거 확인좀 해주세요.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것은 레저렉션 팬이기는 하지만, 라이벌이었던 레인의 부진이 좀 안타깝네요. 취직도 해서 더 바빠졌겠지만, 다시 살아나는 모습을 보고 싶어요. 그리고, 4강까지는 S+ 한쿠마 선수도 여전히 잘하고 있지만, 우승하는 모습을 보고 싶네요. 더불어서 잡다캐릭도;;

그리고, 정말 인상적이었던 지난시즌 이번시즌의 나락호프하고 엔비선수는 다시 한번 축하해주고 싶네요.
11/09/06 15:42
수정 아이콘
로얄럼블은 잡다캐릭 홀맨 통발러브가 활약앤부활하기를 기대... 우승은 잡다캐릭(?)
루크레티아
11/09/06 17:11
수정 아이콘
잡다캐릭이 준우승하면 정말 진정한 콩라인일듯...2인자의 전설에서도 2번째로 유명할 것 같네요...
kogang2001
11/09/06 17:12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wcg철권예선은 언제부터 하나요??
이번에도 무릎이 우승해서 wcg에서 금을 땄으면...
엠겜이 없어지니 이번 wcg예선부터 정인호, 박현규 듀오를 영입해서 철권중계했으면 하네요...
운차이
11/09/06 17:15
수정 아이콘
무릎 썬칩 잡다케릭으로 팀 만들면 후덜덜할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562 SC2 오프라인 주요대회 일정 (~WCG 2011) [13] 좋아가는거야6521 11/09/22 6521 2
45561 베틀넷 필승전략 - 당신도 고수를 이길 수 있다! [22] Harq8256 11/09/22 8256 0
45560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 개념은나의것6703 11/09/22 6703 0
45559 온게임넷 <특집 뒷담화 : 스타2를 말하다>의 내용 정리 [17] 대청마루10806 11/09/22 10806 0
45558 한눈에 보는 aos 장르의 역사 part 1 [33] 마빠이9274 11/09/22 9274 0
45556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4.0 [51] 한울9752 11/09/22 9752 0
45555 이승원 해설을 떠나보내며 [53] VKRKO 15211 11/09/22 15211 2
45554 하등종족의 사기화? - 빠른 무한 [31] Harq13773 11/09/21 13773 0
45553 온게임넷 wcg 스타크래프트 2 예고 영상 [22] 피로링8680 11/09/21 8680 0
45552 혹시 방금전 철구방송 보셧나요?? 익명 현프로간의 경기.. [12] 바알키리15027 11/09/21 15027 0
45551 온게임넷의 대안은 인터넷 방송국이 되지 않을까요? [66] 파르티아10713 11/09/20 10713 0
45550 GSL 의 공식전 경기가 2000경기를 돌파했습니다. [56] Lainworks7666 11/09/19 7666 0
45549 우려하던 것이 표면화 될 때.. [25] 황제랑 늙어간다9543 11/09/19 9543 0
45547 온게임넷도 채널 전환 가능성, 기사가 나왔네요 [52] 마빠이17764 11/09/19 17764 0
45546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9] 개념은나의것9475 11/09/19 9475 2
45545 허영무의 우승을 바라보며 [3] 王天君12156 11/09/19 12156 5
45544 허영무 선수는 제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큰선수였습니다 [4] 불멸의황제7515 11/09/18 7515 0
45543 정명훈 선수, 힘내십시오. [8] Winter_Spring6572 11/09/18 6572 0
45542 Dreamhack Valencia Invitational 결과 정리 (박수호, 송현덕, 박서용 출전) [14] 언데드네버다��7052 11/09/18 7052 0
45541 결승전 5경기 정명훈선수의 자원이 4자리가 된 이유. [21] 전국수석11723 11/09/18 11723 0
45539 늦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버린 스타리그 결승.. [2] 신동v5443 11/09/18 5443 0
45538 스타리그여 영원하라!!(부제 고마워요 허영무!) [4] 파쿠만사6417 11/09/18 6417 0
45537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결승전 <5경기 하이라이트 ; 직캠> [8] kimbilly8808 11/09/18 88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