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7/14 03:11:14
Name 파라디소
Subject 현재 포모스에서 인터넷 투표페이지를 만들어서도 투표중입니다만



이걸 여기다도 올릴지.. 어떨지
고민되네요.

투표방식을 댓글로만 하자니
댓글 하나하나 제가 독해를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차라리
투표페이지로 깔끔하게, 앞뒤 잴거 없이
그냥 준우승이면 준우승
다승왕이면 다승왕
확실하게 하는게 어떨까 싶기도 합니다만

일단 이곳 PGR에서의 지금까지 결과는

다승왕 : 준우승 : 39 : 37입니다.
앞으로 더 늘어나겠죠..


페이지를 링크시켜 드려야되나 어째야되나.
어떻게할까요? 이정도면 댓글투표만으로 충분할까요?


P.S 투표에 참가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잔혹한여사
11/07/14 03:19
수정 아이콘
댓글만으로 충분할 듯 하네요.
11/07/14 03:49
수정 아이콘
전 다승왕에 한표입니다
전에 이영호 선수가 한참 개인리그에서 부진할때 택뱅리쌍에서 빠지지 않았던 이유가 프로리그 때문이었죠.
비교하면 개인리그1회우숭>=다승왕>준우승 정도일까요
다승왕을 만만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다승왕은 우승만큼이나 값어치 있는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Over The Horizon
11/07/14 04:00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스타를 봐왔던 사람으로서는 역시 개인리그가 훨씬 위라고 생각되네요.(제 생각입니다.)
다승왕도 대단한 일이지만, 확실히 개인리그 결승 만큼의 느낌을 저에게 주진 못하네요.
11/07/14 04:39
수정 아이콘
전 개인리그가 훨씬 위라고 생각되네요 개인리그1회우승과 >= 다승왕은 진짜 어불성설인거같습니다...

위에 이영호선수을 예로 드셨는데 이영호선수가 개인리그 부진한건 1시즌뿐입니다

김택용선수는 요 근래 개인리그활동 자체를 잘 못하고있죠 다승왕에 너무 의미부여를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김택용선수에 대한 팬심으로밖에 안보입니다.
탱힘내
11/07/14 06:35
수정 아이콘
우승 > 준우승 > 다승왕 순으로 생각합니다.
냉철한블루
11/07/14 07:31
수정 아이콘
우승 >> 다승왕> 준우승 이라 보네요.
우꼬살자
11/07/14 08:39
수정 아이콘
우승>다승왕>준우승 이라 봅니다
11/07/14 08:48
수정 아이콘
우승>>>준우승>>>>>>>>다승왕 이라고 봅니다.
골든보이
11/07/14 09:03
수정 아이콘
준우승은 몰라도 개인리그 우승과의 비교는 무리라고 보네요.

나오기 더 어려운 기록이라고 해도 무조건 더 큰 가치를 가지는건 아니죠. 야구에서 4할이 나오기 어려운 기록이라지만 4할에 20홈런보다는 3할5푼에 50홈런이 세이버상으로는 더 가치가 크니까요.
일년에 6번 우승자가 나오고 다승왕은 1년에 한번 나온다고 해도 정작 선수를 응원하는 팬들 입장에선 개인리그 우승을 더 바라는게 현실인데 다승왕의 위상이 우승보다 클수는 없죠. 택뱅리쌍 팬들중에 우승보다 다승왕을 더 원하는 분들의 비율이 1할은 될까요?
에휴존슨이무슨죄
11/07/14 09:16
수정 아이콘
염보성과 박태민을 비교하면 어떤가요. 둘다 각각 다승왕, 우승을 해본선수들이고 반대편에선 그닥 좋은성적을 거두진 못한것 같은데.
11/07/14 09:17
수정 아이콘
카라님 이제 어그로 그만 끄세요.
소와소나무
11/07/14 09:31
수정 아이콘
각각 한번씩 비교하면 대등하게도 보이는데, 개인적으로 쌓이는 느낌은 우승이 압도적입니다. 이영호선수를 여태까지 지켜봤을 때 다승왕 계속해도 이번해도 열심히 했구나 정도였는데 1회 우승에서 한번씩 한번씩 우승해서 올라가는 느낌은 정말 최고였죠. 이번 해도 다승왕을 놓친 것보다 우승을 한게 훨씬 크게 느껴집니다.
11/07/14 09:35
수정 아이콘
양쪽다 팽팽한거 같은데 투표글은 이쯤이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런건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인정되어야지 지금 억지로 권위를 말로 설명해서 강요한다고 되는게 아니니까요.
사실 프로리그선 보이지도 않는데 우승,개인리그는 1년내내 광탈인데 프로리그 다승왕 같은 극단적인 케이스는 앞으론 안 나올수도 있는거구요.
11/07/14 09:52
수정 아이콘
지난 번 설문글에 대한 정확한 집계결과가 궁금하네요.
지금 얼핏 훑어 봤을 때에는 지난 번 조사에서 "우승 >= 다승왕 >>준우승" 정도의 결과가 나온 것 같은데,
두 달이 지나고, 김택용이 다승왕을 획득하고 나니 여론이 상당히 바뀌었네요.
11/07/14 10:05
수정 아이콘
욕 먹을지언정 좀 대놓고 말할꼐요

다승왕 논쟁 나온것도 김택용이 다승왕이 확실시 되기 시작하니까 나온 거 아닙니까

다승왕 논쟁 일으키는 사람들은 멀 해도 다승왕을 높게 볼건데 이래저래 토론한들 머합니까

이미 결론이 내려져있는데

택신이 다승왕 하셨으니 다승왕 가치 높이자는거 아닌가요? 이 토론이 현재로서는 순수하게 다승왕의 가치에 대해 따질지언정

애초에 김택용 팬들이 다승왕 가치 올릴려고 디씨나 포모스에서 드립친거죠

예전에 이영호가 김택용에게 단 1승 앞서고 다승왕 먹었으나 승률이 김택용이 더 높으니까

승률왕 이야기도 나왔는데 다승왕 논쟁 보면 우습지도 않습니다
벡터와통계
11/07/14 10:19
수정 아이콘
정작 택빠들은 이딴 설문조사 안반갑습니다. 다승왕이 높다치면 택빠의 팬심 취급에 어그로 끌릴수록 욕먹는 건 김택용인데요. 팬들이 드라군인줄 아십니까? 어그로 좀 작작 끄시죠. [m]
혼돈에카오스
11/07/14 10:29
수정 아이콘
못해도 수백명 단위로 투표를 해야 신뢰도가 있을텐데요..
그대가있던계절
11/07/14 10:58
수정 아이콘
아래글 부터 쭉 읽었지만 스타판은 팬심 vs 팬심이네요.

선수 a 준우승 >>> 다승왕

준우승 <<< 선수 a 다승왕

언제든지 팬심 마음데로 바뀔수 있는 부등호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팬심 (이라기 보다 개인리그 선호자로서) 포함된 투표한표 하자면

준우승 >>>>>>>>>>>>>>>>>>>>>>>>>>>>>>>>>>>>>>>>>>>>>>>>>>>>>>>>> 프로리그의 모든 업적

한표 하겠습니다.
운체풍신
11/07/14 10:59
수정 아이콘
어차피 준우승이든 다승왕이든 주관적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되네요.
차라리 올해 프로리그 40승+스타리그 준우승 16강진출, msl 8강&16강의 송병구 선수와
프로리그 다승왕(63승)+프로리그 mvp+스타리그 36강 광탈, pc방 광탈, msl 16강&32강의 김택용 선수 중
어느 선수가 올해의 프로토스 상을 받는게 합당한가가 준우승과 다승왕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1/07/14 11:00
수정 아이콘
딱 차명환 vs 김택용이네요. [m]
벡터와통계
11/07/14 11:03
수정 아이콘
이제와보니 애초에 다승왕 준우승 위상 비교가 아니라 욕을 어떻게하면 더 먹일까 같기도 하네요. 결과는 대 성공이라고 보여집니다 -_- 거 참 어제 달았던 댓글들이 유치하고 부끄러워지는 순간. 댓글 수준이 점점 비꼬기의 향연으로.. [m]
11/07/14 11:05
수정 아이콘
애초에 김택용선수 팬분들이 시작한것도 아니고 다승왕이 가치가 있든 없던 김택용 선수와 그의 팬들을 욕먹이는것에는 성공했네요. 자신들이 시작하고 김택용 선수팬들이 선동하는것처럼 매도하고 참 가지가지 한다는 생각밖에 안듭니다.
제일앞선
11/07/14 11:09
수정 아이콘
댓글들을 읽지 않았습니다
up 테란
11/07/14 11:47
수정 아이콘
돌려서 질문하지 말고,,,
정명훈, 송병구, 이영호, 김명운, 신동원, 차명환, 김택용 중에서
올해 누가 잘한것 같냐라고 물어 본다면 김택용이 몇등인가요.

저는
이영호 김택용 신동원 정명훈 김명운 송병구 차명환 순.

참고로 skt나 김택용 지면 다시보기 챙겨 보는 사람입니다.
파이터바키
11/07/14 12:06
수정 아이콘
다승왕>우승>준우승이죠
파라디소
11/07/14 13:00
수정 아이콘
여기에 다시는 댓글들은 투표결과에 반영하지 않겠습니다.
투표하고싶으신 분들은 아래 원본글에 투표해주세요
무도빠
11/07/14 14:50
수정 아이콘
김택용선수가 대단할 뿐입니다 e스포츠의 아이콘이라도 할말이 없을정도
그만큼 팬들도많고 싫어하는사람도 많습니다.
하지만 어떤기사를 눌러도 김택용 선수를 개인리그로 깍아내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분명 저는 [부러워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잘하고 겸손하고 깔꺼리는없고
계속 개인리그로 물고 늘어지는거보니 부러워서 그런거같습니다
뭐만하면 택신보고있냐? 양대 광탈 등등 김택용선수의 가슴에 비수를 꼽고있는데
그래도 저는 프로토스는 김택용선수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골수 토스빠입니다
김택용선수가 최고인거는 부정할수없는 사실이고 토스 프로게이머들도 인정한 먼가 급이 다른듯한 포스를 풍깁니다
개인적으로 CJ토스들 분들이 김택용선수를 신처럼 모실때 정말 신기했었습니다 프로게이머도 이렇게 찬양하는데?
우리같은 일반인은 어떨까 라는생각을 가지게되었고,
토스가 다승왕+승률+MVP 가져 갔다는것도 중요하지만,
63승15패 했다는거 자체가 놀라울 따름입니다. 역대 이런선수가 없었다는것도 중요하고, 이번시즌은 라이벌이없다는자체도
김택용선수를 더욱더 높히 평가하는 대목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분명 예전 다승왕과 차이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느끼고있고
다승왕 vs 준우승보다는 다승왕안에서도 이선수가 어떤 성적을 냈는지가 더욱더 중요하게 다가옵니다 만약에 40승/40패해서 다승왕하면
이렇게까지 혼란스러웠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이번시즌만큼 이렇게 압도적으로 승과 승률을 낸선수가 없었기때문에
더욱더 논란이 커진거라고 생각하고 이렇게 잘하는선수가 개인리그에서는 성적을 잘못내고있기때문에 논란은 더 커진거라고 생각합니다
미카에르
11/07/14 16:09
수정 아이콘
굳이 가치의 경중을 공식화할 필요가 있나요? 그냥 각자 생각하고 싶은대로 생각하면 안 되는 겁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046 Daum Tekken Crash Season 8 16강 B조 [231] SKY927145 11/07/27 7145 0
45043 mbc관계자와 팬 여러분 msl을 지켜주세요~ ㅠ [33] 마빠이8175 11/07/27 8175 5
45040 루머가 아니라 사실이 되었습니다. [60] 벡터와통계8972 11/07/27 8972 0
45039 [팬아트] GSL July 결승 포스터 [4] 염력의세계4279 11/07/27 4279 1
45038 2011 PEPSI GSL July. - Code S, 결승전 : 미디어데이 [26] kimbilly4373 11/07/27 4373 0
45037 김철민 캐스터의 트위터에 30일 방송 중단할지 모른다는 트윗이 떴네요 [108] 루베트12693 11/07/27 12693 0
45035 리그 오브 레전드 함께 즐겨요~ 간략한 소개 (1) [75] 거북거북10499 11/07/26 10499 1
45034 2011년 7월 넷째주 WP 랭킹 (2011.7.24 기준) [10] Davi4ever5803 11/07/26 5803 0
45032 인내는 쓰나 그 열매는 달다. [21] Rush본좌7680 11/07/26 7680 0
45031 '제가 슈마지오때부터 팬이었는데.....' [31] survivor10867 11/07/25 10867 5
45030 2011 PEPSI GSL July. - Code S, 4강전 [202] kimbilly5333 11/07/25 5333 0
45028 토스의 저그전 빌드말인데요..원게이트와 더블넥을 적절히 합쳐보면 어떨까요? [74] 삭제됨9546 11/07/25 9546 0
45027 CJ엔투스 3년간의 포스트시즌을 되돌아보다... [26] noknow6814 11/07/25 6814 0
45026 2011년 7월 넷째주 종족최강 랭킹 + 승률 및 다승왕 (2011/7/24) [19] 언데드맨8072 11/07/24 8072 0
45025 현재의 포스트시즌 방식 조금 아쉽지 않으세요? [60] 개념은?7597 11/07/24 7597 1
45023 CJ의 다음 시즌을 바라보면서... [26] 체념토스6140 11/07/24 6140 1
45022 stx외 타 팀들도 슬슬 리빌딩 들어 갔으면 좋겠습니다. [50] 마빠이6947 11/07/24 6947 0
45021 KT 의 오랜 팬으로서 너무 기쁩니다. [6] joynshine5086 11/07/24 5086 0
45020 불편한 멘탈과 정신력 얘기. [35] wizard6746 11/07/24 6746 0
45019 skt-kt 맵순서 [62] SKY926113 11/07/24 6113 0
45018 스파키즈를 그리워하며 cj를 응원한다 [6] 주환4236 11/07/24 4236 0
45017 CJ 반성해주시기 바랍니다. [25] 미소속의슬픔6244 11/07/24 6244 0
45016 수 많은 패배를 했지만 익숙해 지지가 않네요.. [14] PRIDE OF5000 11/07/24 500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