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7/10 19:31:59
Name 언데드맨
File #1 j_graph.jpg (421.1 KB), Download : 17
File #2 j_rank.JPG (37.3 KB), Download : 13
Subject 2011/7/10 종족최강 랭킹 (2011년 7월 둘째주)






종족최강 랭킹은 테란,토스,저그 중 어떤 종족이 최근에 잘 나가는지 보여줍니다.
랭킹산정방식은 wp랭킹 방식과 같습니다.

<기간별가중치>
2010.7.11~10개월전 => 점수의 25%반영
10개월전~8개월전 => 점수의 50%반영
8개월전~6개월전 => 점수의 75%반영
6개월전~4개월전 => 점수의 100%반영
4개월전~2개월전 => 점수의 125%반영
2개월전~2011.7.10 => 점수의 150%반영

위와같이 최근에 잘할수록 점수가 높습니다. (공식전 기준)
종족랭킹 순위는 바로 위 상위랭커 점수 점유율에서 0.5% 마다 1위씩 내려갑니다.
그래프는 2달 간격입니다. (ex: 5월 11일~7월10일의 전적은 가장 오른쪽에 나타납니다.)


<최근 1년간 종족별 출전횟수>
테란: 1431번 출전 (31.5%)
플토: 1453번 출전 (32.0%)
저그: 1652번 출전 (36.4%)


<최근 2개월 종족별 강,약세>
기준: 50%에서 +-5 미만은 동률, +-5이상 +-10 미만은 강세, +-10 이상은 초강세

테란(57.1%, 48승) vs 저그(42.9%, 36승): 테저전 테란 강세
저그(52.4%, 54승) vs 프로토스(47.6%, 49승): 저프전 동률
프로토스(61.5%, 48승) vs 테란(38.5%, 30승): 프테전 프로토스 초강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첼시
11/07/10 20:13
수정 아이콘
이걸보면 뭐 프징징 저묵묵 테뻔뻔해도 스타1 밸런스는 정말 잘 맞는거 같네요
웃어보아요
11/07/10 21:33
수정 아이콘
테저 프저 뭐니뭐니해도 프테가 밸런스 최악이네요 지금은....
예전 테저만큼 벌어지려하네요 우와..
샤르미에티미
11/07/10 21:53
수정 아이콘
프테는 제 체감에는 최연성 코치님이 빌드 하나 만들어내거나 이영호 선수가 해법 찾기 전까지는 되게 힘들어보입니다.
무난하게 물흐르듯 이어지는 확장과 확장 지역 게이트 지어지기 시작하면 테란이 200에 3/3해도 이젠 안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저프는 임팩트는 히드라 물량으로 포토캐넌이고 질럿이고 다 쏴죽이고 이기는 경기가 기억에 많이 남는데 차이는 얼마 안 나네요.
11/07/10 23:38
수정 아이콘
요즘 프테전에서 테란은 거의 배럭 더블이 정석이 되어버렸죠.
치즈러쉬를 하던 타이밍을 잡던간에 다른 돌파구를 찾아야 할 듯...
기차를 타고
11/07/11 08:18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의 프로토스 점수를 보니 그저 눈물만....
Jeremy Toulalan
11/07/11 08:58
수정 아이콘
왜 랭킹에 1,2,3위가 아니라 더 간격이 벌어져있죠?
고윤하꺼
11/07/11 15:33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개인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야 그 종족이 좀 괜찮아 보이던데 TT..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901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2회차(2) [240] SKY924801 11/07/15 4801 0
44900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2회차 [304] SKY925578 11/07/15 5578 0
44899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및 참가 접수 일정 발표 [18] kimbilly7418 11/07/15 7418 1
44898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7회 - 전개3 - [10] aura5183 11/07/15 5183 0
44897 2002년 풋풋했던 그들 [18] 정열7560 11/07/15 7560 5
44896 프로토스전 퀸의 활용 [20] 다레니안6181 11/07/15 6181 0
44895 스카웃의 봉인해제를 위하여.. [82] mirtoss6853 11/07/15 6853 0
44893 스타2 게임단 SlayerS 팀, 스타2 최초로 여성 게이머가 입단. [95] kimbilly11257 11/07/15 11257 0
44892 대 저그전 옵티컬 플레어의 활용에 대하여 [30] 소디10825 11/07/14 10825 0
44891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2) [119] SKY924564 11/07/14 4564 0
44890 토스는 대 저그전에서 아비터와 다크아콘을 사용하자! [68] 머드8532 11/07/14 8532 0
44889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 [301] SKY924831 11/07/14 4831 0
44888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2) [147] SKY924559 11/07/14 4559 0
44887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 [233] SKY924602 11/07/14 4602 0
44886 신맵도 스타걸도 사라진, 이상한 이번 스타리그 [66] Alan_Baxter9339 11/07/14 9339 0
44883 다승왕을 정확히 이해하기. [56] 절름발이이리9475 11/07/14 9475 16
44882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6회 - 전개2 - [10] aura5300 11/07/14 5300 0
44881 현재 포모스에서 인터넷 투표페이지를 만들어서도 투표중입니다만 [44] 파라디소6255 11/07/14 6255 0
44880 여자도 손스타를 하고 입스타도 하고 스타를 잘만봅니다. [75] 벡터와통계7095 11/07/14 7095 3
44879 개인리그(우승자)와 프로리그(다승왕) 제대로 한 번 비교해봅시다. [116] 매콤한맛6886 11/07/14 6886 2
44878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역대 스1에서 기억나는 선수들, 아까웠던 선수들.. [41] Gloomy6992 11/07/13 6992 0
44877 개인리그 준우승 VS 프로리그 다승왕. 어느쪽의 위상(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 <II> [487] 파라디소10260 11/07/13 10260 2
44876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3) [231] SKY925710 11/07/13 571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