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1/18 18:10:42
Name Leeka
Subject 프로토스가 이벤트전 최강 종족이 되나요..+ 올스타전 감상평

스타2 공성전 우승 - 서기수(프로토스)

블리즈컨 우승 - 정민수(프로토스)

스타2 올스타전 - 서기수 VS 정민수 8강(최소 4강에 1프로토스 확정)
* 정민수 선수는 무려 지난시즌 우승자인 임재덕선수를 제압...  서기수 선수도 이윤열 선수를 제압했네요..

GSL 시즌1 - 4강에 3테란 + 1저그(우승은 저그)

GSL 시즌2 - 4강에 3테란 + 1저그(우승은 저그)

이벤트전[?].. 과 공식전에서의 상황이 극과 극인 프로토스... 이번 올스타전에서도 우승을 할런지..



위 내용과 별개로.. 오늘 올스타전 4경기는 모두 질이 대단했네요..

정말 해병왕의 위엄을 보여준 이정훈선수의 해병찌르기..  한준도 잡고, 임재덕과는 4:3 박빙에.. 오늘은 제니오도 잡아버리네요..

이 뭐 말도 안나오는 해병컨트롤과 초반 찌르기 이후의 자신감.. 대단하네요..


2경기는 김원기 선수와 안홍욱 선수의 멋진 저프전... 아쉽게도 튕김현상으로 맥이 살짝 풀리긴 했지만요..


3경기의 이중연결체를 쓱쓱 성공하는 정민수 선수의... 칼타이밍 파느님과 추적자 컨트롤도 대단했고..

4경기에서 보여준 사기수 선수의..  아 이걸 어떻게 막나요 싶은..

칼같은 방어력도 정말 대단하네요..

(어떻게 이 선수가 예선전에서 탈락한건지...  경기가 궁금할정도로..)


현장 자체가 지스타에.. 디아블로3 시연이 겹쳐.. 사람도 바글바글해서.. 선수들도 경기하는 맛이 한층 더 증가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내일 올스타전도 기대되고... 결국 올스타전에서도 프로토스가 우승할 것인지도 기대되네요...


결론은 프로토스 화이팅!!!

p.s 설마 블리자드 직원 앞에서만 강력해지는 프로토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몬카라멜
10/11/18 18:23
수정 아이콘
아직 경기를 다 못보긴 했지만 갠적으로는 기사도 황영재 해설의 방송 데뷔무대(?)도 꽤나 좋았던 것 같네요.
차분한 목소리, 정확한 해설 등 외에도 개인적으로 유머코드가 참 마음에 들어서 아프리카 때부터 좋아했었는데
오늘 방송경기 중계에서도 이정도면 괜찮았던 것 같네요.

기사도의 스타챌린지 외에도 앞으로 여기저기서 자주 뵐 수 있었으면 합니다.
10/11/18 18:26
수정 아이콘
서기수 vs 정민수 이벤트의 사나이끼리의 대결!! 임재덕 선수가 떨어진게 너무 안타깝네요 ㅜㅠ 마지막 3경기 판단은 살짝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시즌3는 플토가 적으니까(?) 우승 화이팅!
28살 2학년
10/11/18 18:29
수정 아이콘
사기수 선수에게서 슬슬 누군가의 스멜이 나기 시작합니다.... 그럼 안되는데....
로트리버
10/11/18 18:48
수정 아이콘
DK : 역시 프로토스는 강하군. 음음.
LucidDream
10/11/18 19:03
수정 아이콘
띄엄띄엄 보면서 의문이 든 점은 이정훈 선수의 수비력은 어느 정도일까 였습니다. 한준 선수와의 경기가 없는 건 아닌데, 결과적으로 이 선수가 수비를 잘해서 경기를 유리하게 이끈 건 못 본 듯 싶거든요. 김원기 선수는 원래부터 미친 수비력으로 유명했고, 정민수 선수 역시 다 막고 이기는 걸로 유명해졌구요. 서기수 선수는 말 할 것도 없죠. 공격보다 수비가 쉽고 우위를 점하기 쉬우며 불리한 상황을 뒤집을 수 있다는 건 거의 모든 RTS의 동일 명제인데, 이정훈 선수는 그걸 전면으로 부정하고 있습니다. 사실 스타 2가 너무 빠르게 수비 위주로 굳어지는 것을 좀 우려하고 있는 입장이라서 응원은 합니다만, 이정훈 선수처럼 공격으로 경기를 풀어나가는 선수가 잘 등장하지 않는 걸 보면 그게 참 어렵다는 생각도 들면서 동시에 이 선수가 얼마나 대단한가를 느끼게 하네요.
스치파이
10/11/18 19:21
수정 아이콘
그렇지만 홍진호 선수가 복귀를 한다면...?
10/11/18 22:08
수정 아이콘
왠지 플토가 황신화(?) 가 되는거같에서 기분이 야리송하네요..... [m]
10/11/18 22:29
수정 아이콘
공성전이라...규모가 큰대회엿나요? 서기수선수가 저대회때문에 지존이미지를 가지고있는거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719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5회차 #2 [257] 한울10351 10/11/24 10351 0
43718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5회차 #1 [236] 한울8286 10/11/24 8286 0
43716 전용수 선수(미오웨라)의 사과문 [54] East13701 10/11/23 13701 0
43715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3회차 #2 [49] kimbilly5929 10/11/23 5929 0
43714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3회차 #1 [175] kimbilly7324 10/11/23 7324 0
43713 철권 크래시 32강 전환 가능성에 대하여...... [24] 세인5953 10/11/23 5953 0
43712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2회차 #1 [161] 어진나라6840 10/11/23 6840 0
43710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1회차 #4 [83] kimbilly7224 10/11/22 7224 0
43709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1회차 #3 [303] kimbilly11210 10/11/22 11210 0
43708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1회차 #2 [247] kimbilly9514 10/11/22 9514 0
43707 미오웨라 문제와 대진표 의혹에 대한 채정원 해설의 해명 [80] 삭제됨13051 10/11/22 13051 7
43706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 - 64강 1회차 #1 [337] kimbilly10905 10/11/22 10905 0
43704 2010년 11월 셋째주 WP 랭킹 (2010.11.21 기준) [3] Davi4ever5742 10/11/22 5742 0
43701 GSL 대진표부정의혹에 대하여 [174] 호리호리13141 10/11/22 13141 4
43700 GSL의 64강 대진표와 관련해 부정 의혹을 제기합니다. [196] Sunsu16106 10/11/22 16106 3
43699 미오웨라는 비난 받아 마땅합니다만...너무 마녀사냥쪽으로 가고있진 않으신가요? [74] 문성은9594 10/11/21 9594 0
43698 디아블로3 벌써부터 두근두근하는군요. [26] 오크의심장8264 10/11/21 8264 0
43697 G★STAR 2010 : 행사 4일차 (일요일) - 현장 스케치 [5] kimbilly7993 10/11/21 7993 0
43696 Playxp 게시판의 미오웨라 사과문 그리고 댓글 [63] 몽키매직13094 10/11/21 13094 1
43695 G★STAR 2010 : 스타크래프트2 올스타전 - 3/4 위전 + 결승전 [187] kimbilly7606 10/11/21 7606 0
43694 곰TV가 너무 비난받는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43] East6866 10/11/21 6866 0
43693 G★STAR 2010 : 스타크래프트2 올스타전 - 4강 불판 [75] Leeka5833 10/11/21 5833 0
43692 미오웨라, GSL 운영측, 그리고 임요환을 비난합니다. [103] LucidDream13764 10/11/21 13764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