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0/18 22:45:44
Name Leeka
Subject 오늘 스타2 경기 전체적으로 어떠셨나요?

저그의 땡바퀴와 막는 토스의 뚫느냐 막느냐.. 무한 대결..

몰래 파일런에서 나오는 공허와 소환되는 광전사.. 막으러 올라오는 불곰의 대결..

초반 치즈러쉬를 역장으로 막고 역러쉬.. 다시 벙커와 건설로봇으로 버티고 역러쉬..

그분의 동시 흔들기와 무빙컨트롤..

배째는 저그를 상대로 바로 광자포로 응징.


순간순간 센스와 지속적인 교전.. 빠른 교전 스피드.

한번 전투에서 패해도 그대로 끝나는것이 아닌, 역전에 재역전을 만드는 경기들과..

역장/점멸/스팀/무빙/수혈 등이 활용되는 컨트롤전.

맵 전체를 정찰하면서 여러 빌드들을 섞어쓸수있는 재미.


대치상황에서 10분간 러쉬 안가!.. 하고 병력만 뽑는것이 아닌..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대치상태와 교전.

GSL 시즌1에서도 느꼈지만.. 시즌2 개막전에서도 많은걸 보여준것 같습니다..

확실히 선수들의 실력이 늘면 늘수록, 보는 재미와  엎치락뒷치락 하는 재미가 최고네요..


캐스터와 해설진도 완벽하고.. 피드백도 좋고..
(서버는...  사실 케이블방송과 빨리 계약을 하는것이 정답이겠지요.. 잘 됫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멋진경기 계속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정말 재밌었네요..


p.s 쿡TV 설치하신 분들이 진정한 승자입니다..    부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태연사랑
10/10/18 22:40
수정 아이콘
지난시즌도 재밌게봤는데 점점 재밌어지네요
*짱구*
10/10/18 22:40
수정 아이콘
일단 내년시즌까지는

시즌을 거듭할 수록 재미가 배가 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제 두번째 시즌인데 이렇게 재미있는데 1년동안 더 재미있어지면....
루미큐브
10/10/18 22:49
수정 아이콘
이제 슬슬 경기의 퀄리티 들이 높아지는 느낌인데요?
이게 뭐야? 에서 오_오? 오↗오↗↗ 로
10/10/18 22:49
수정 아이콘
오늘부로 보는재미 운운하는건 안했으면 싶어요. 스2도 '누가' '어떻게'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재밌죠.
앞으로도 더더욱 발전할 기회가 많다는 점에서 저는 너무 즐겁게 시청했네요. 곰티비측에서는 서버확충좀 해줬으면...
버틸수가없다
10/10/18 22:40
수정 아이콘
그분의 경기를 제외하고도 4경기에서 얼마나 많은 소스와 드립이 넘쳐났는지, 서버문제가 심각하긴 하지만... 인터넷매체를 통한 방송의 위력을 봤습니다.
베이컨토마토디럭스
10/10/18 22:41
수정 아이콘
전 임요환 선수의 플레이를 보면서 강민선수가 생각났습니다. 강민 요원도 어서 국방의 의무를 마치고 스2에서 볼수 있었슴 좋겠습니다.
10/10/18 22:4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시즌 1은 보면서 O.M.E 경기도 있었는데
이번 시즌 2를 보니 64강임에도 불구하고 선수들의 수준이 전 시즌에 비해 많이 높아져서 즐겁게 봤습니다.
과장님과의 첫 경기를 제외하고는 다 만족했습니다.
서버가 제일 불만족스럽네요.
The xian
10/10/18 22:41
수정 아이콘
시즌 1보다는 확실히 경기 수준이 좋아졌다고 봅니다.
10/10/18 22:42
수정 아이콘
음..오늘은 속칭 네임드들의 경기가 몰려있어 더 그랬던점도 있었던것 같네요.
헌데 저번시즌 64강도 OME경기가 속출했던만큼 적어도 16강 이상은 되야 오늘같은 경기들이 난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그와는 별개로 아이유를 성우로 기용한건 정말 대박이었네요.
트위터에 그래텍 배사장이 성우는 깜짝놀랄만할 일이 있다고 한게 어젠데...
Kurenai25
10/10/18 22:42
수정 아이콘
임요환의 임요환을 위한 임요환에 의한
10/10/18 22:51
수정 아이콘
오늘 대박이이었는데 마지막경기때문에 눈버리네요..

경기의 질문제가아니고...이건 뭐 나와야 말이죠
10/10/18 22:51
수정 아이콘
아직 경기 수준이나 해설 수준이 스타1의 코카콜라배 정도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앞으로 선수들 기량이 발전하고 방송에 적응하면 충분히 재미 있을 듯 합니다.

하지만 3D는 아직 좀 적응이 어렵네요.
하루사리
10/10/18 22:42
수정 아이콘
점점 재밌어 지는거 같습니다. 아마 계속 이런 경기력이 나온다면 좋겠네요~
서버 증설도 참 힘든게 단지 임요환을 위한 경기에 서버를 증설하기엔 돈이 엄청 깨지긴 한다는 거죠. 끌끌 ~
고민이 많겠습니다. 곰티뷔~
10/10/18 22:52
수정 아이콘
곰TV의 서버 폭발(...)을 제외한 모든 면이 맘에 듭니다. 리그 자체 운영도 깔끔해 보이고 해설진도 너무 맘에 들구요. 엄전김, 강철승 못지 않은 스타2에서는 최고의 해설 조합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개막전 경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매우 훌륭하더라구요. 게다가 이미 프로게이머란 직업이 생긴지 오래 되었고 스타1이나 워3 게이머들의 유입도 빠르다 보니 경기 수준도 빠르게 올라갈 거라 기대되구요.

빨리 케이블 방송에서 볼수 있기를 바랍니다.
산타아저씨
10/10/18 22:52
수정 아이콘
이렇게 재밌을줄은 몰랐습니다.

솔직히 이전까지만 해도 전투 한번에 대세가 기울어지는 등 해서 영 그랬거든요.

오늘처럼만 경기력이 나와준다면 정말 고마울 듯 하네요 : )
오크의심장
10/10/18 22:52
수정 아이콘
오늘 스타1중계불판은 아예 안올라왔네요. 안올리기로 결국 된건가요?
반면 스타2불판은 오랜만에 불타는 게시판이네요.
이렇게 되면 스타2게시판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어 보일정도...
그분이 넘어가면서 확실히 중심이동이 이뤄진듯
Amaranth4u
10/10/18 22:54
수정 아이콘
오늘 정말 흥했네요... 스타1 게임방송 초창기도 생각이나고 오랜만에 흥분되는 경기를 본 것 같습니다. 서버문제도 역시 케이블송출이 답이겠지요. 늘 오늘같이 접속자가 몰린다면 모를까 라인업에 따라서 접속자수의 편차가 클텐데 무리한 서버증설은 부담이 있을것 같네요. 앞으로 판이커진다면 스타1처럼 tv뿐만아니라 여러 사이트에서 실시간 중계서비스를 하게 되었으면 좋겠네요~
스타카토
10/10/18 22:51
수정 아이콘
정말 이정도로 재미있을줄은...

서기수, 마카프라임을 보면서도 와....이렇게 봤는데..
박서는 달라요...클래스가 달라요

정말 기대가 됩니다.
그양반이야기
10/10/18 22:45
수정 아이콘
서버폭파만 빼고 완벽했습니다(이게 정말크지만;)
강조하고 싶은건 캐스터랑 해설진이 정말 좋습니다.
만담이면 만담 경기보는눈! 억양,흥분,발음 모두 좋고 거기다 타방송 해설진을 압도하는 개그!!!.
전 곰티비 중계진이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0/10/18 22:46
수정 아이콘
사실 뭐... 그레텍쪽도 이렇게까지 서버 터질줄 모르지 않았을까요.
그도 그럴게 시즌1 결승전만 해도 이런일 없었으니까요.

차차 나아지겠죠. 이제 겨우 출범한지 2달된 리급니다.
버틸수가없다
10/10/18 22: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온게임넷 중계확정되고 TV로는 엄전김들을 수 있다고해도, 땅굴채와 엔준영이 해설할 땐 곰티비 볼 것 같네요.
완소히드라
10/10/18 22:54
수정 아이콘
개막전때도 HD 방송이 먹통이되서 욕먹었었는데.. 음...
10/10/18 22:57
수정 아이콘
시즌1 때의 64강 수준이랑 비교하면 넘사벽이죠.
시즌1때는 한 16강부터 저런 경기력이 나왔던거 같습니다.

오늘 경기들은, 아 물론 한쪽이 탑플레이어라 그랬겠지만,
반대쪽 선수들도 어떻게 64강에 진출했을까 의심가는 실력은 한사람도 없더군요.

재밌게 봤습니다.
10/10/19 00:03
수정 아이콘
쿡티비가 설치된 저는 승자로군요. ^^
오늘 동접자가 77만명이었다는 얘기를 풍문으로 들었는데 그게 사실이라면 서버에 관해서는 할말이 없지요.
동접 77만을 튼튼하게 감당할 서버가 과연 있을까 싶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387 GSL Aug. Code. S. 16강 프리뷰 2일차 [10] Lainworks6228 11/08/24 6228 0
45386 이판의 몰락은 레전드의 부재다? [24] 마재곰매니아7221 11/08/23 7221 0
45385 이영호가 E-스포츠를 망하게 한다? [70] 데프톤스8637 11/08/23 8637 0
45384 2011 PEPSI GSL Aug. - Code S, 16강 1회차 [285] kimbilly4861 11/08/23 4861 0
45383 스타판 전성기를 추억하는 기사들 [33] 로베르트7217 11/08/23 7217 0
45381 여러분은 혹시 주종족보다 부종족의 플레이가 더 원활했을때가 있나요? [31] 진꼬토스5531 11/08/23 5531 0
45380 모래위에 지은 성은 결국 한번에 무너진다. [54] 황제랑 늙어간다9165 11/08/23 9165 3
45379 희망적인 소식은 없는가 [14] [god]휘우7706 11/08/23 7706 0
45378 지금이라도 유즈맵 자체 패치로 리그를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71] 마빠이8990 11/08/23 8990 0
45377 e스포츠의 현실을 바라보며 [12] 요환이형...5821 11/08/23 5821 0
45375 이스포츠의 한계... 해결방안?? [46] 최군7230 11/08/23 7230 0
45374 이달말 폭스외 2개팀이 더 문을 닫는다는군요... [76] 마재곰매니아13447 11/08/23 13447 1
45373 GSL Aug. Code. S. 16강 프리뷰 1일차 [11] Lainworks5423 11/08/22 5423 1
45371 (위메이드) 폭스 게임단 해체 소식입니다. [95] 플로엔티나17454 11/08/22 17454 0
45370 lol, 리그 오브 레전드)euphoria의 챔프 가이드 이모저모 #1 Range AD편 (2/2) [18] Euphoria7414 11/08/22 7414 1
45369 이영호 (사실상) 재계약 체결 [19] 시경10135 11/08/22 10135 0
45367 6분 42초만에 인구수 200 채우기 [26] 2NE714170 11/08/21 14170 0
45366 '이영호 vs 도재욱 7set'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도재욱 선수의 패인 [29] 냥이풀8574 11/08/21 8574 2
45365 스타리그와 MSL, 프로리그의 중흥을 축원하며.. 내 기억 속 가장 재미있고 멋있었던 결승전 [9] 시나브로5520 11/08/21 5520 0
45364 김택용, 더 강해져라. [20] swflying6648 11/08/21 6648 0
45363 리그오브레전드 Intel Extreme Masters 결승전 [146] 마빠이5664 11/08/21 5664 0
45361 아마고수 VS 프로 [54] 내가바라는나10039 11/08/21 10039 1
45360 이영호의 아름다운 질주 [42] 신선8438 11/08/21 843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