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5/30 11:02:18
Name 카르타고
Subject 분리형 다전제에 대해서
MSL이 대대적인 개편을 했더군요.
단연 집중되는부분이 32강 광속 탈락 => 오프라인예선 각 팀당 KESPA랭킹이 높은 한명의 선수 서바이버예선면제
이에비해 분리형 5전제는 약간 관심(?)을 못받고있는거같은데요.
문득 축구에 쓰이는 방식을 쓰는 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들어 처음으로 게시판에 글을 쓰게 되네요.
분리형 5전제... 이러는건어떨까요?
일단 분리형 5전제를 하는 이유가
1.좀 더 많은 연습시간(이로 인한 경기력 향상)
2.8강에 처음 올라온 선수들이 맞이하는 첫 5전3선승제 그로 인한 OME 양산 방지
3.너무빨리 바뀌는 스타판에 의해 A급 이상의 선수들이 아닌 이상에야 잘생기지않는 선수들을 위한 두 선수간의 라이벌관계 형성(예를 들어 A 선수가 1차전에서 져서 복수의 칼날을 갈고 나온다는 둥...)
하지만 1,2차전의 경기 수가 달라서 어느 한선수가 불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생각은 흔히 축구 토너먼트에서 자주 쓰이는 방식인 홈&어웨이 방식으로  1차전,2차전 두 번을하듯이 3전2선승제+3전2선승제 두 번을하는겁니다.
이렇게 되면 1차전 1판 2차전 최소 2판~4판의 유·불리가 거의 없지 않을까요?
3전2선승제라면 다 전제라고 해도 거의 부담이 안갈 것 같습니다.
8강까지간 선수들 중 공식전 3전 2선승제 안해본 선수는 거의 없지않을까요.
게임방식은 예를 들어 A 선수가 1차전에서 2:0으로이기고 2주차에서는 B 선수에게 1:2로 패배했다 이렇게 되면 A선수가 올라가는것입니다
축구에서 다득점(?) 같은 거랑 비슷한 경우죠.
만약 1차전에서 2:0으로 이겼는데 2차전에서 0:2로 패했다면 2차전에서 마지막 한 경기를 더하는 겁니다 맵 선정은 두선수가 맵 하나씩 빼고 추첨한다는지 말이죠.
일단 제 생각은 이러하고요 공격적인 태클은 좀 삼가 해주셧으면 좋겠고 의견이나질문은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p.s 각 팀당 한명의 선수 서바이버 면제를 반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30 13:29
수정 아이콘
글쎄요. 경기수가 짝수번이 나올 수 있는 방법은 그다지 바람직해보이진 않네요.
2:1 1:2가 나오면 7전째도 치뤄야하는건가요?
치토스
09/05/30 13:55
수정 아이콘
분리형 5전제는 대체 다전제의 의미가 있는건지나 모르겠습니다.

MBC게임은 엄옹의 포장술을 배우는게 빠를것 같습니다.
카르타고
09/05/30 14:10
수정 아이콘
웩님// 1차전 2차전 합계 동률이나올경우 마지막경기를 한다고 본문에 적어뒀습니다.
저역시 치토스님말처럼 분리형다전제는 다전제의 의미가없는거같아서 분리형으로하면서(분리형한다는자체가 5전3선승제를하기에는 검증이안된선수들때문이라고생각) 다전제를할수있는방법을 생각해봐서 적은것입니다
王非好信主
09/05/30 14:33
수정 아이콘
2가지 이유에서 좋지 않습니다.

1. 엠겜에서 분리형 다전제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8강진출자를 하루에 모두 본다는 것입니다. 3전2선승으로 분리할경우 이러한 잇점이 없습니다.

2. 3전2선승의 2회를 할경우 '다전제'임에도 불구하고 의미 없는 게임이 생깁니다. 다전제 토너먼트가 리그방식에 비해 갖는 잇점이 사라지는 것이죠. 2:0으로 이긴 선수는 다음날 한겜이라도 이기면 되는데, 1경기를 이긴경우 2,3경기는 '의미없는 경기'가 되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5전3선승을 하는데, 3:0이 나오더라도 4경기까지는 하고, 4경기까지 2:2일 경우엔 7전4선승을 한다... 라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4경기까지 3:1이 나왔는데도 3:0후에 1경기가 따라잡힌 경우라면 5경기를 또해야하죠. 그냥 5전3선승을 하는 거에 비해 불필요하게 하는 경기도 나오고, 더 불합리한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945 아발론 MSL 32강 3회차 [250] SKY925391 09/06/18 5391 0
37944 KT의 희망고문..(슬램덩크 버젼..) [33] 스웨트8367 09/06/18 8367 22
37943 정명훈 허영무 선수의 알콩달콩 컨쮸롤 [17] 체념토스7320 09/06/18 7320 5
37942 5라운드 4주차 엔트리(수정) [43] SKY925187 09/06/18 5187 0
37941 수재(秀才). 정명훈. [26] fd테란9511 09/06/18 9511 8
37940 유게의 ' 저그를 노리는 t1의 눈빛' - 김정우 본좌후보론? [125] 국제공무원9681 09/06/17 9681 0
37939 090617 오늘의 프로리그 - MBCgame VS Hite // 공군 VS 웅진 [235] 별비5943 09/06/17 5943 0
37938 6강 예상팀 원투쓰리펀치~~~ [43] noknow7488 09/06/17 7488 0
37936 잊고 있었던 올드들의 해리티지 매치! 주관 방송사와 일정 안내 [44] Alan_Baxter7041 09/06/17 7041 0
37935 보험사기 - 진영수 vs 김택용 아웃사이더 관전평 - [45] fd테란13996 09/06/17 13996 23
37934 오늘의 프로리그-삼성vsEstro/화승vs위메이드(2) [204] SKY924649 09/06/16 4649 0
37933 오늘의 프로리그-삼성vsEstro/화승vs위메이드 [285] SKY924875 09/06/16 4875 0
37932 최화정의 파워타임 김택용,마재윤,이영호 출연 문자중계 [61] 공고리14646 09/06/16 14646 0
37931 곰TV e스포츠 리그가 블리자드의 공식 후원을 받는다고 하네요 [35] 아기돼지6451 09/06/16 6451 0
37929 김택용 선수의 최근들어 약간의 부진 [104] 하나8116 09/06/15 8116 0
37928 오늘의 프로리그-STXvsSKT/KTvsCJ(2) [86] SKY924647 09/06/15 4647 0
37927 오늘의 프로리그-STXvsSKT/KTvsCJ [374] SKY925909 09/06/15 5909 0
37926 제 생각에 컨트롤은 '일반컨트롤'과 '고급컨트롤'로 나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17] 창이8493 09/06/14 8493 0
37925 스캐럽에 조용호선수가 출연하셨네요~ [38] Grateful Days~8816 09/06/14 8816 0
37924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하이트/MBCgamevs웅진 [315] SKY925979 09/06/14 5979 0
37922 아발론 MSL 32강 2회차 [206] SKY926372 09/06/13 6372 0
37921 양대리그를 빛낸 100명의 위인(?)들 [26] 信主SUNNY7101 09/06/13 7101 0
37920 선수별 MSL, OSL 연속 진출 횟수 [12] 꼴통저그5270 09/06/13 5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