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5/30 11:02:18
Name 카르타고
Subject 분리형 다전제에 대해서
MSL이 대대적인 개편을 했더군요.
단연 집중되는부분이 32강 광속 탈락 => 오프라인예선 각 팀당 KESPA랭킹이 높은 한명의 선수 서바이버예선면제
이에비해 분리형 5전제는 약간 관심(?)을 못받고있는거같은데요.
문득 축구에 쓰이는 방식을 쓰는 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들어 처음으로 게시판에 글을 쓰게 되네요.
분리형 5전제... 이러는건어떨까요?
일단 분리형 5전제를 하는 이유가
1.좀 더 많은 연습시간(이로 인한 경기력 향상)
2.8강에 처음 올라온 선수들이 맞이하는 첫 5전3선승제 그로 인한 OME 양산 방지
3.너무빨리 바뀌는 스타판에 의해 A급 이상의 선수들이 아닌 이상에야 잘생기지않는 선수들을 위한 두 선수간의 라이벌관계 형성(예를 들어 A 선수가 1차전에서 져서 복수의 칼날을 갈고 나온다는 둥...)
하지만 1,2차전의 경기 수가 달라서 어느 한선수가 불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생각은 흔히 축구 토너먼트에서 자주 쓰이는 방식인 홈&어웨이 방식으로  1차전,2차전 두 번을하듯이 3전2선승제+3전2선승제 두 번을하는겁니다.
이렇게 되면 1차전 1판 2차전 최소 2판~4판의 유·불리가 거의 없지 않을까요?
3전2선승제라면 다 전제라고 해도 거의 부담이 안갈 것 같습니다.
8강까지간 선수들 중 공식전 3전 2선승제 안해본 선수는 거의 없지않을까요.
게임방식은 예를 들어 A 선수가 1차전에서 2:0으로이기고 2주차에서는 B 선수에게 1:2로 패배했다 이렇게 되면 A선수가 올라가는것입니다
축구에서 다득점(?) 같은 거랑 비슷한 경우죠.
만약 1차전에서 2:0으로 이겼는데 2차전에서 0:2로 패했다면 2차전에서 마지막 한 경기를 더하는 겁니다 맵 선정은 두선수가 맵 하나씩 빼고 추첨한다는지 말이죠.
일단 제 생각은 이러하고요 공격적인 태클은 좀 삼가 해주셧으면 좋겠고 의견이나질문은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p.s 각 팀당 한명의 선수 서바이버 면제를 반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30 13:29
수정 아이콘
글쎄요. 경기수가 짝수번이 나올 수 있는 방법은 그다지 바람직해보이진 않네요.
2:1 1:2가 나오면 7전째도 치뤄야하는건가요?
치토스
09/05/30 13:55
수정 아이콘
분리형 5전제는 대체 다전제의 의미가 있는건지나 모르겠습니다.

MBC게임은 엄옹의 포장술을 배우는게 빠를것 같습니다.
카르타고
09/05/30 14:10
수정 아이콘
웩님// 1차전 2차전 합계 동률이나올경우 마지막경기를 한다고 본문에 적어뒀습니다.
저역시 치토스님말처럼 분리형다전제는 다전제의 의미가없는거같아서 분리형으로하면서(분리형한다는자체가 5전3선승제를하기에는 검증이안된선수들때문이라고생각) 다전제를할수있는방법을 생각해봐서 적은것입니다
王非好信主
09/05/30 14:33
수정 아이콘
2가지 이유에서 좋지 않습니다.

1. 엠겜에서 분리형 다전제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8강진출자를 하루에 모두 본다는 것입니다. 3전2선승으로 분리할경우 이러한 잇점이 없습니다.

2. 3전2선승의 2회를 할경우 '다전제'임에도 불구하고 의미 없는 게임이 생깁니다. 다전제 토너먼트가 리그방식에 비해 갖는 잇점이 사라지는 것이죠. 2:0으로 이긴 선수는 다음날 한겜이라도 이기면 되는데, 1경기를 이긴경우 2,3경기는 '의미없는 경기'가 되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5전3선승을 하는데, 3:0이 나오더라도 4경기까지는 하고, 4경기까지 2:2일 경우엔 7전4선승을 한다... 라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4경기까지 3:1이 나왔는데도 3:0후에 1경기가 따라잡힌 경우라면 5경기를 또해야하죠. 그냥 5전3선승을 하는 거에 비해 불필요하게 하는 경기도 나오고, 더 불합리한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854 나의 스타크래프트 이야기 [2] 드론찌개4149 09/06/05 4149 0
37852 양대리그 역대 공식맵 정리 [8] 개념은나의것9493 09/06/04 9493 0
37851 아발론 2009 MSL 조지명식(3) [383] SKY928033 09/06/04 8033 0
37850 아발론 2009 MSL 조지명식(2) [299] SKY925713 09/06/04 5713 0
37848 아발론 2009 MSL 조지명식 [326] SKY926236 09/06/04 6236 0
37845 5라운드 2주차 엔트리 [43] SKY925250 09/06/04 5250 0
37844 도재욱과 초반, 그리고 격려 [11] DoJAE6724 09/06/03 6724 0
37843 박카스 스타리그 36강 I조/고인규VS김상욱VS신희승 [93] Alan_Baxter5161 09/06/03 5161 1
37841 새로운 MSL 로고와 새로운 MSL 방식 시뮬레이션 [57] Alan_Baxter9649 09/06/02 9649 0
37840 오늘의 프로리그-SKTvsEstro/CJvs위메이드 [122] SKY924968 09/06/02 4968 0
37838 임요환선수 진정한 30대 프로게이머를 위해 특훈중이라고합니다. [19] 황제의마린7987 09/06/02 7987 1
37835 [알림] 스타크래프트II 한글화 아이디어 콘테스트 : 테란편 [5] 메딕아빠4425 09/05/08 4425 0
37834 마재윤의 빵 가게 습격 사건.....(4) [2] 점쟁이5085 09/06/02 5085 1
37833 저그와 테란이 반대가 된 경기 [17] [秋] AKi6341 09/06/02 6341 2
37832 E-Stars 2009 대륙간컵 대륙별 대표 최종 참가선수(팀)이 공개되었습니다!!! [8] 잘가라장동건4476 09/06/02 4476 1
37831 오늘의 프로리그-삼성vs웅진/화승vs하이트(2) [164] SKY925411 09/06/01 5411 0
37829 오늘의 프로리그 - 삼성전자-웅진/화승-하이트 [291] Alan_Baxter5279 09/06/01 5279 0
37827 역대 KeSPA 랭킹의 흐름 [15] 개념은나의것6436 09/06/01 6436 0
37826 마재윤의 빵 가게 습격 사건.....(3) [12] 점쟁이6305 09/06/01 6305 0
37824 2009년 6월 커리어랭킹 [15] ClassicMild5302 09/06/01 5302 4
37823 곰 TV 클래식 시즌 3 32강 4주차 [304] SKY926085 09/05/31 6085 0
37822 오늘의 프로리그 - STX VS MBCgame // KTF VS 공군 (2) [56] 별비4644 09/05/31 4644 0
37821 오늘의 프로리그 - STX VS MBCgame // KTF VS 공군 [384] 별비5890 09/05/31 589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