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3/17 12:05:37
Name
Subject 더이상 온실 속의 화초가 아닌 그들에게 경의를...
예전 KTF를 기억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딱 "부잣집 도련님"이었습니다.

어려움 없이 자라서 정정당당한 승부에 만족하고
지면 분해하지만 딱 자기 자라온 환경의 수준에서만 분해하는...

심지어 가난한 폭풍의 대가 홍선수도 제겐 그런 이미지였습니다.
영웅 박정석 선수도, 어려운 환경에서 고생하셨다던
강민선수도, 뭔가 치사하리만치 집요하고, 결핍을 가진 그런 이미지라기보다는
자기의 재능과 노력을 한껏 펼치는 천재들의 그것이었습니다.

반면 모든 영광은 다 가진 듯한 SK의,
SK보다도 더한 영광은 다 가진 듯한 황제 임선수는
아무런 영광도 가지지 못한 것처럼 행동하더군요.

그가 가진 승부에 대한 집요함과 치열함은
마치 그는 한번도 승리를 하지 못해서
어떤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서라도 이기고 싶어하는
정말 특이한 선수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스타라는 판이 허용하는 한 그는 어떤 치사한 전략이나 꼼수라도,
승리를 위해서라면 주저없이 몇백번이고 쓸 수 있는
그런 선수로 보였고, 그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특이하죠... 그는 정말 누릴만큼 다 누린 부자인데
스타하는 스타일은 정말 며칠 굶은 여우같습니다.)

더구나 집요함의 대명사 악마 박용욱 선수도 있었고
그런 이미지는 SK로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
승부는 항상 평소에 잘하던 부잣집도련님들이
정작 중요한 승부에서는 집념의 승부사들에게
눈물을 흘리는 그런 식이었지요.
눈물을 흘리며 더 노력해서 다음을 다짐하지만, 제가 보기엔
그들은 너무 순하고, 착해 보였습니다.
----------------------------------------

엊그제 준플옵을 다 보진 못했지만
케텝이 달라졌더군요.

정당한 승부에서 지면 어쩔수없지라고 자조하는듯한
부잣집 도련님은 온데간데없었습니다.
이영호 선수야 원래 꼼딩이라고까지 얘기될만큼
온갖 날빌과, 자신의 그런 이미지조차 이용해먹는 심리전을 잘 펼치는 선수지만,
박찬수 선수야말로 무시무시하더군요.
딱 "이대도강"이란 단어에 가장 어울리는 선수입니다.

"너는 내 다리를 분질렀지만, 난 네 심장을 찢겠다"랄까요..

그리고 그런 케텝은 이제야말로 대등하게 SK와 싸울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정벅자까지 들어오면 더욱 강해지겠지요. 기대됩니다.

케텝의 승리를 뒤늦게 축하하며,
와신상담하며 칼을 갈고 있을 SK의 화려한 복수를 또한 기대합니다.

이래서 스타판은 재밌다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노련한곰탱이
09/03/17 12:17
수정 아이콘
특히 요새 박찬수 선수의 경기는 손에 땀을 쥐게하더군요. 아슬아슬하게 판을 짜와서 없는 틈을 비집어파고들어 단 한번의 찬스를 살리는.. 이름에 빗댄 별명이기는 하지만 정말 찬스박이라는 별명을 잘 지었다는 생각이 들게하는게 요새 박찬수선수의 경기인 듯.. 강민 이적 이후로 케텝빠인 저로서는 그저 덩싱덩실한 요새입니다
인하대학교
09/03/17 13:06
수정 아이콘
이제 다시 공격적인 저그가 대세를 탈듯한 분위기더군요
근 2~3년간 마재윤으로 시작된 3해처리 부자운영이 대세로 지겹게 반복되어왔는데
요즘 베틀넷만해봐도 9드론발업 후 해처리 러커or뮤탈, 2해처리 발업저글링 이후 러커or뮤탈,
9드론후 3해처리 운영 등등 많이쓰더군요
상대하기도 까다롭고... 예전같은 2해처리에서 몰아쳐서 끝내는 운영이아니라
요즘은 그 이후 하이브 운영까지 무리없이 하더군요 ;; 저그는 역시 변해야...

그 중심에서있는 선수가 박찬수선수랄까요
쭉 생각해보면 제가 본 이 선수 경기는
초반에 공격적인 빌드로 시작해서 운영하는경기가 많은데 승률도 좋고...
캐리건을사랑
09/03/17 13:53
수정 아이콘
요즘 박성준선수에게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그에게 필요한건 가스일뿐 미네랄이 아니다라는 마인드
미네랄당 드론이 한마리만 붙어 있으면서 가스 유닛을 최대한 활용하는 운영을 이성은전부터 보여주고 있는데 어제 경기도 인상적이더군요
도달자
09/03/17 16:47
수정 아이콘
박찬수선수경기를 보면 조마조마한게.. 5:5상황에선 보통저그느낌인데 4:6상황으로 불리해지면 위기는 찬스다 라는 느낌으로
경기를 뒤집더라구요. 교촌뮤탈은 재밌게 봤는데 박찬수선수가 KTF로 오면서 감정이입까지 되네요.
Desafío
09/03/17 18:15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이예요. SK의 승부사 기질은 주훈감독 시절부터 대단했었죠.. 그 성과가 바로 트리플 크라운 달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KTF가 선수 영입에 힘써서 다시한번 과거의 영광(이래봤자 준우승 다수..)을 다시한번 맛봤으면 합니다.. 준우승도 좋으니 결승 좀 가자꾸나.. 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529 심판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느낀 사건.. [25] 구원왕조용훈7273 09/04/10 7273 0
37528 10년간 역대 스타리그 스폰서의 역사 [28] 리콜한방10534 09/04/09 10534 0
37527 4라운드 1주차 엔트리~ [57] SKY927926 09/04/09 7926 0
37526 눈빛이 살아있는 남자 '이제동' [18] 카스7669 09/04/09 7669 0
37525 결승전에서 3:2로 진다는 것. [70] DEICIDE13187 09/04/09 13187 127
37523 2009 본격 스덕들을 위한 서사시 - 성실한 왕족, 국본 정명훈 [35] becker11791 09/04/07 11791 64
37519 E-Stars Seoul 2009 워3/카스 대륙간컵 후보팀이 공개되었습니다. [18] 잘가라장동건4926 09/04/07 4926 0
37518 서바이버 토너먼트의 대진표가 공개되었습니다. [21] 에반스6683 09/04/07 6683 0
37516 앞으로 스타는 몇년이나 갈수있을까요 그리고 스타인기 하락세의 문제는 무엇일까요 [59] Nal_rAMAN6901 09/04/07 6901 0
37515 주훈 해설위원이 하차했네요. [58] 우리결국했어13676 09/04/07 13676 0
37514 스타리그 10년을 기념한 이벤트가 있었으면... [20] 유유히5241 09/04/07 5241 0
37513 프로리그 4라운드 신규맵이 공개되었습니다. [62] DEICIDE9897 09/04/06 9897 0
37510 저그의 우승, 본좌론, 박명수. [30] 애국보수9598 09/04/05 9598 2
37509 시즌별 개인리그 종족밸런스 [13] 王非好信主5610 09/04/05 5610 1
37508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 3 64강 1라운드 방송경기 [267] The xian5626 09/04/05 5626 0
37505 이제동을 위한 변호. - 본좌론의 상대성에 대하여. [37] 골이앗뜨거!7465 09/04/05 7465 0
37504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 3 128강... 관심 있었던 선수들의 근황 [9] The xian5330 09/04/05 5330 0
37503 본좌 가 아니어도 더 위대할수 있다. [25] 마빠이6795 09/04/05 6795 0
37502 스타크래프트 비평? [22] skzl6300 09/04/05 6300 1
37501 본좌가 되기 위한 조건 [22] 러브포보아5894 09/04/05 5894 1
37500 라운드 진출기준 양방송사 개인리그 통합 연단위 랭킹 [6] 王非好信主4684 09/04/05 4684 0
37498 어떻게 그들은 바투 스타리그를 흥행하도록 연출했을까? [44] Alan_Baxter10044 09/04/05 10044 2
37497 라운드 진출기준 양방송사 개인리그 통합 커리어 랭킹 [8] 王非好信主4587 09/04/05 458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