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3/13 15:09:21
Name 최후의토스
Subject 시대별로 나열한 역대 저그vs저그 강자들 분석
저그전은 변수가 많기로 소문난 종족전입니다. 빌드에서 승부가 갈리는 경우가 많아서 운이 많이 좌우하기도 하는 종족전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저저전에서 큰 두각을 나타냈던 선수들을 기억하실 겁니다.

많이 언급되었고, 기억에 남는 저저전 강자들을 연도별로 조회하여 시대별 강자들을 나열해봤습니다.

홍진호
2000~2003년 (폭풍저그 홍진호 선수... 정말 초기에 저저전 하면 이 선수를 떠올렸던 것 같습니다.)
139 전 93 승 46 패 (66.91 %)
연승기록 : 11연승(이벤트전 7승), 6연승(2회)
               (공식전) 6연승 <박경락 선수로 시작해서 박경락 선수가 끊었습니다.>

조용호
2002년~2003년 (이 선수의 저그전도 많이 주목했었죠. 저그군단 소울의 저그였기 때문에 많이 주목했었죠.)
80 전 48 승 32 패 (60 %)
연승기록 : 6연승
               (공식전) 7연승

박태민
2003년~2004년 (이 시기에 정말 7할을 넘어서는 무서운 저저전을 보여줬네요. 최근에 전적은 적지만 김명운, 신노열 선수등을 꺾으며 좋은 기록을 보여줬는데, 공군에서도 기대가 됩니다. ^^)
64 전 46 승 18 패 (71.88 %)
연승기록 : 9연승, 8연승(06년 말부터 07년까지 제2의 전성기를 보여줬으나, 공교롭게도 이제동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7연승(2회), 6연승, 5연승... (모든 연승기록을 다해봤습니다. 놀라 자빠질뻔했네요;)
               (공식전) 6연승

변은종
2004년~2005년 (역시 저그 군단 소울의 저그... 확실히 승률도 높았군요.)
전적 74 전 50 승 24 패 (67.57 %)
연승기록 : 9연승, 8연승, 7연승(2회), 6연승, 5연승... (;;; 박태민 선수와 연승기록이 똑같네요. 절대 실수가 아닙니다. 놀랍네요;; 어이가 없어서 다시 2번 조사해봤습니다.)
               (공식전) 7연승, 5연승

마재윤
2005년~2006년 (2004년 말 변은종 선수를 2-0으로 꺾고, 투산배 팀리그에서 KTF를 상대로 홍진호, 조용호 선수를 1경기, 4경기에서 꺾으며, 제게 각인을 시켜줬었던 마재윤 선수.)
전적 65 전 44 승 21 패 (67.69 %)
연승기록 : 8연승 (김준영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공식전) 5연승 (박명수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이제동
2006년~ (스타리그 24강 진출전에서 마재윤 선수를 꺾으며, 이제동이라는 이름을 석자를 제대로 각인해줬었죠.)
전적 98 전 76 승 22 패 (77.55 %)
연승기록 : 12연승(임동혁 선수에게 끊겼습니다.) 10연승
               (공식전) 12연승(이주영 선수에게 끊겼었죠.), 9연승(박찬수 선수에게 끊겼었죠.)

박찬수
2007년~  (2005년 당시에는 반타작 정도의 신인. 하지만 2006년 말 홍진호, 조용호, 이제동이라는 과거와 현대 저저전의 강자를 꺾으면서 급상승 했더군요.)
전적 64 전 45 승 19 패 (70.31 %)
연승기록 : 10연승(서경종 선수에게 끊겼네요.)
                6연승(역시 서경종 선수에게..)


이상으로 역대 저그전 강자를 제 나름대로 나열해본 결과
홍진호/조용호 - 박태민 - 변은종 - 마재윤 - 이제동/박찬수
선수 순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이의는 있을 수 있겠지만 거의 어느정도는 공감하실 것 같네요. ^^;


(참고로 다음은 전성기가 약간 겹치는 선수들간의 상대 전적입니다.
상대전적으로도 저저전 시대의 흐름을 어느정도 짐작해 볼수 있더군요. 특히 변은종 선수 같은 경우는 천적인 박태민 선수를 자신의 전성기 때 드디어 극복해내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홍진호 10:6 조용호 (초기의 이제동, 박찬수 선수의 관계 같습니다. 조용호 선수도 강자였지만 역시 초기의 최강자는 홍진호 선수...)
조용호 8:7 박태민 (박태민 선수가 전성기에도 유독 조용호 선수에게는 강력하지 못했었네요.)
박태민 5:1 홍진호 (조용호 선수의 벽, 홍진호 선수에게는 유독 강했습니다.)
박태민 8:3 변은종 (변은종 선수는 계속 패배만 하다가 마지막 5전에서 3승 2패를 했더군요. 물론 전성기 때입니다.)
변은종 6:5 조용호 (역시 뒤쳐져 있었으나 전성기 때, 5승을 몰아 쌓았습니다.)
마재윤 13:8 조용호 (처음에는 마재윤 선수가 뒤져있었으나 6연승을 하는 등, 자신이 저그전의 새로운 강자임을 보여줬습니다.)
마재윤 3:2 변은종 (역시 조용호 선수와 더불어 강자였던 변은종 선수마저 꺾었죠.)
마재윤 0:2 박태민
이제동 4:3 마재윤 (강력했던 마재윤을 스타리그에서 꺾으며, 자신의 시대가 올 것임을 보여줬군요.)
마재윤 1:1 박찬수 (박명수 선수에게도 6:3으로 앞서있고, 쌍둥이 형제에게 강력한 것 같습니다.)
이제동 6:2 박찬수 (박찬수 선수가 분명 강자임에는 틀림없지만 이제동 선수의 벽이 높군요;)

이상으로 '저저전 강자'로 군림했던 선수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d Sniper
09/03/13 15:12
수정 아이콘
삼성준선수도 저그전 정말 잘했던걸로 기억하는데.덜덜
좋은 자료 읽고 갑니다 ~
09/03/13 15:14
수정 아이콘
박명수선수의 기록은 없나요? 이제동이야 워낙에 저저전 괴물이지만 찬스박의 저저전 기록도 괴물이네요..
최후의토스
09/03/13 15:14
수정 아이콘
Red Sniper님// 아... 기억납니다. 좋은 지적이네요. 한번 조회해 보겠습니다. ^^
09/03/13 15:15
수정 아이콘
김근백 선수를 챌린지 결승에서 리버스스윕시킨 선수가 조용호 선수던가요?
기억이 가물가물..
최후의토스
09/03/13 15:18
수정 아이콘
jc님// 박명수 선수는... 제가 내린 결론은 '이제동 선수의 거의 유일한 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저그전 한 시대를 풍미한 강자는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승률면이나 여러가지로 조금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팀플의 영향이...;
Hellruin
09/03/13 15:18
수정 아이콘
박성준선수는 기록에 없군요 ... 삼신전때 박성준vs박태민 듀토경기할때 두선수 전적 쩔었던걸로 기억하는데...
키보디스트
09/03/13 15:19
수정 아이콘
투신의 저그전은 어땠나요?
투신 전성기 당시 저그전이 타종족전에 비해 약한편이였나요 아니면
저그전은 그리 뛰어나지 않았나요?
초원의빛
09/03/13 15:19
수정 아이콘
좋은 기록 잘 봤습니다.
그나저나 이제동 선수가 생각보다 데뷔가 엄청 빨랐었군요~ 2004년이면..; 마재윤 선수랑 데뷔시기는 거의 같네요.

Red Sniper님// 삼성준 선수는 데뷔초에만 저그전 연승을 하다 이후론 크게 빛을 못본걸로 압니다.
최후의토스
09/03/13 15:20
수정 아이콘
Red Sniper님// 조회해보니 삼성의 박성준 선수는 너무 단기포스가 강한 것 같습니다. 다른분들의 의견을 들어봐야할 것 같네요. ;;
초원의빛
09/03/13 15:20
수정 아이콘
투신의 저그전은 당시에 꽤 뛰어난 편이었지만 토스전,테란전에 가려서인지 극강의 평가를 받지는 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다른 저그전 스페셜리스트들과의 전적에서 크게 앞서지 못했던 점도 있구요.
Red Sniper
09/03/13 15:21
수정 아이콘
초원의빛님// 아 그렇군요.
vs 김민구선수 경기의 에리조나 울트라 관광의 임펙트가 너무 컸던거같네요,
만루홈런맞은 강병규의 시초인..
키보디스트
09/03/13 15:23
수정 아이콘
초원의빛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제 기억에도 워낙 테란전, 토스전에서의 강력한 모습때문이었는지
저그전은 어땠는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
최후의토스
09/03/13 15:26
수정 아이콘
빠진 것이 있거나 더 확인했으면 하는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점심 먹고 와서 확인하겠습니다. 하;;
초원의빛
09/03/13 15:27
수정 아이콘
Red Sniper님// 네 저저전 전무후무한 울트라 관광 기억합니다^^;;
검색해보니 삼성준 선수의 저저전 전체 성적도 63%로 상당히 준수한 편이긴한데 예선전 기록이 좀 많아 스페셜리스트엔 살짝 모자라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보디스트님// 그렇죠. 테란전,토스전이 워낙 강력했기에..승률상으론 꽤 훌륭해도 (60%정도) 스페셜에 가까운 평가를 받지는 못했던거 같습니다.

최후의 토스님// 이제동 선수에게 박태민 선수 연승(2003~2004)이 끊겼다고 하셔서 찾아보았는데 이제동 선수의 데뷔가 2006년이네요. 하긴 이제동 선수 커리지를 딴게 김택용 선수랑 거의 비슷한 시기였으니.. 잠깐 착오가 있으셨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Red Sniper
09/03/13 15:29
수정 아이콘
성학승선수도 저저전 포스라면 어디가서 빠지지 않을 포스인데 말이죠.
요 근례 너무 많이 깎아 먹어서..
싸이언배 승자 4강 vs 조용호를 재밌게봐서..
TheInferno [FAS]
09/03/13 15:35
수정 아이콘
박성준선수의 저그전은 단기전에서는 강한 편이지만 다전제에서 엄청나게 약합니다
스타리그와 MSL에서 다전제에서 이기고 올라간건 김근백선수와의 대전이 유일한걸로 알고 있어요
09/03/13 15:37
수정 아이콘
변은종 선수는 저저전 강했긴 한데 조용호, 홍진호 선수에게 연속 3:0 패배 가 워낙충격적이였죠
최후의토스
09/03/13 15:46
수정 아이콘
초원의빛님// 제가 한 가지 실수했네요. 박태민 선수의 8연승은 전성기가 지나서 06년 말부터 07년에 기록한 것입니다. 아니 특별히 제 2의 전성기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 같네요. 06년 말에는 박성준, 변은종, 마재윤 선수를 연달아 잡았고, 07년에는 고승률에 더구나 공식전은 6경기 뿐이었지만 전승을 기록했으니 말입니다.

박태민 선수가 05년에 반타작 정도로 하락하긴 했지만 어떻게 보면 정말 꾸준히 저저전 강자인 것 같습니다. 최근 08년도에도 피시방 예선의 기록을 살펴보니 전승이더군요;
헤나투
09/03/13 15:47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확실히 '저그전 몰라요~ ' 라고 표현할수도 있었겠으나, 요즘은 저그전도 실력차가 꽤 느껴지네요. 이제동 박찬수 선수 승률 덜덜;;
회전목마
09/03/13 16:14
수정 아이콘
제목만 보고는 염보성 선수 예상했는데 본문은 저저전 이야기이군요 수정해주세요^^
09/03/13 16:35
수정 아이콘
6개월 단위로 끊으면 좀더 세밀한 기록이 나왔을텐데...
조용호선수가 저저전 최다전적을 가지고 있는데 살짝 덜 부각되는거 같아서 아쉽구요
사이언배 결승이후에 트랜드+이제동,박찬수선수의 신컨이 더해져서 저런 말도 안되는 승률이 나오는거 같네요
두선수는 3~4년간은 70프로를 유지할거라는 예상도 어렵지 않게 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최후의토스
09/03/13 16:58
수정 아이콘
회전목마님// 아... 그렇군요. 수정하였습니다.
최후의토스
09/03/13 17:03
수정 아이콘
Ygok님// 말씀대로 다른 여러가지 면에서도 조사했으면 좋았을 것 같네요. 하;
저는 그저 각 선수의 전성기와 그것을 시대순으로 나열한다는데에 주안점을 뒀습니다.
sgoodsq289
09/03/13 17:10
수정 아이콘
변은종 선수 진짜 저저 전 잘했었죠. 그 선수 특성이 승기를 잡으면 절대 잘 놓치지를 않아서 조금씩 조금씩 이익을 쌓아서 확실하게 이기는 타입이었는데, 그게 저그저그 전의 성격과 완벽하게 맞았던 것 같아요. '같은 빌드면 저그저그 전에서는 절대로 지지 않는다.' 는 본인의 말을 정말 공감했었습니다.
게다가 요새의 저그저그 전은 이제동 선수 등의 신들린 듯한 컨트롤이 상당히 중요하게 부각되지만 당시에는 특유의 저글링 숨기기, 저글링 던지고, 무탈로 한대 더 때리기... 등등의 센스넘치는 플레이가 상대적으로 훠얼씬 크게 작용하다 보니...
저그 유저인 저로서는 당시가 더 재미있었지 않나 싶어요..
떠돌이낭인
09/03/13 17:22
수정 아이콘
마재윤 0:3 박태민 에서 마재윤이 종족 테란으로 한경기가 포함되어있지 않을까 생각되는데요.
제기억으론 박태민이 마재윤도발당시 2:0까지로 알고 있어서요.
최후의토스
09/03/13 17:22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의 연승기록이 빠졌었네요. 늦었지만 추가했습니다. ^^;
최후의토스
09/03/13 17:23
수정 아이콘
떠돌이낭인님// 헉, 포모스에 올릴 때는 2:0으로 올렸었는데, 제가 쓸데없이 재검색을 하면서 종족체크를 안 했던 것 같군요. 수정하겠습니다;;
산들 바람
09/03/13 17:24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 저저전은 말이 필요 없죠.
화이트푸
09/03/13 17:42
수정 아이콘
저걸 보니 박경락 선수가 생각이 나는군요... 정말 동족전만 아니었어도.. 결승가서 우승할수 있을만한 선수 였는데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조용호 선수가 저저전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09/03/14 01:37
수정 아이콘
삼신전 당시의 박태민 선수 저그전은 최고 수준이였죠.
안정감만 놓고보면 지금의 이제동 선수 못지 않죠.
최후의토스
09/03/14 01:46
수정 아이콘
KanRyu님// 말씀대로 정말 최고수준의 저그전이며, 정말 타고난 선수 같습니다. 현재까지도 지금 한창 물이 올라있는 선수들을 제외한다면 경기가 되는 것 같더군요. 피시방 예선 같은 곳에서는 거의 지지를 않는다고 하니요.
특히 제가 놀란 것이 있는데, 최근 선수들과의 전적이 몇 개 있었는데, 그 중에 MSL4강에서 맞붙은 김명운선수와 박찬수 선수와의 상대전적입니다.
vs 김명운 5:0, vs 박찬수 3:0....
정말 클래스는 영원하는 말이 이럴 때,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하;
카르타고
09/03/14 16:16
수정 아이콘
최후의토스님// 김명운선수야 워낙 심하게부진하다가 근몇개월만에 각성한케이스라 박태민선수가졌을수도있지만 박찬수선수는 쫌의외네요 근데 한2~3년전기록이라면 의미없을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393 리쌍록. [36] 김재혁7818 09/03/22 7818 0
37392 화승 VS KTF 관전평 [13] 잠잘까7424 09/03/22 7424 0
37391 에이스 선봉, 양날의 검? [23] RunDavid6291 09/03/22 6291 1
37390 본좌 or 포스? 개인리그 or 프로리그? [11] Nothing better than5041 09/03/22 5041 3
37389 CJ VS 화승 결승맵순서 나왔군요. [30] SKY925583 09/03/22 5583 0
37388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플레이오프 화승 VS KTF(3) [505] SKY927399 09/03/22 7399 0
37387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플레이오프 화승 VS KTF(2) [289] SKY924340 09/03/22 4340 0
37386 스타크래프트2 배틀넷 공개 했다네요!!! [8] 카스트로폴리5153 09/03/22 5153 0
37385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리그 플레이오프 화승 VS KTF [259] SKY924557 09/03/22 4557 0
37384 곧 다가올 위너스 리그 플레이오프 예상 [6] H.P Lovecraft4572 09/03/22 4572 0
37382 로스트 사가 MSL 결승전을 본 후 [28] Outlawz10424 09/03/21 10424 1
37381 라운드 진출기준 엠비씨게임 누적포인트 랭킹 [21] 王非好信主4880 09/03/21 4880 0
37380 Lost Saga MSL 2009 The Final - 박찬수 VS 허영무 (3) [364] 별비6120 09/03/21 6120 0
37379 Lost Saga MSL 2009 The Final - 박찬수 VS 허영무 (2) [209] 별비4307 09/03/21 4307 0
37378 Lost Saga MSL 2009 The Final - 박찬수 VS 허영무 [334] 별비4561 09/03/21 4561 0
37375 로스트사가 MSL Final 박찬수 vs 허영무 예상글.. [10] 도달자4599 09/03/21 4599 0
37373 몇몇 Pgr 분들에 대해 좀 의아한 구석이 있습니다.(개인적인의견) [57] sgoodsq2897708 09/03/21 7708 0
37372 스타7224중 최고로 재밌네요! [11] 김재혁7620 09/03/21 7620 0
37371 6룡시대의 최후를 막아야 할 최후의 프로토스, 허영무 [13] 최후의토스6270 09/03/21 6270 0
37370 국본[國本]! T1 테란라인의 적자를 주목하라! [14] 아우구스투스5886 09/03/20 5886 0
37369 [설탕의 다른듯 닮은] 이영호와 토레스 [6] 설탕가루인형5325 09/03/20 5325 1
37368 국본[國本]이라는 이름보다도... [17] 츠카모토야쿠5166 09/03/20 5166 0
37365 skt1팬과 김택용 선수의 팬으로써... [15] 다음세기5256 09/03/20 525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