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2/13 23:59:39
Name 중견수
File #1 리그_그래프.jpg (0 Byte), Download : 234
File #2 리그랭킹자료.zip (0 Byte), Download : 108
Subject 그래프로 보는 역대 OSL,MSL,GSL 단계별 평균랭킹과 리그랭킹


-표 x축- (03-1은 2003년 1차 시즌을 뜻함)
03-1: 올림푸스 스타리그, 스타우트 MSL
03-2: 마이큐브 스타리그 , TG삼보 MSL
03-3: 한게임 스타리그 , 센게임 MSL
04-1: 질레트 스타리그 , 스프리스 MSL
04-2: 에버 스타리그 2004 , 당골왕 MSL
04-3: 아이옵스 스타리그 , x
05-1: 에버 스타리그 2005 , 우주 MSL
05-2: So1 스타리그 , x
05-3: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 싸이언 MSL
06-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 프링글스 MSL 시즌1
06-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 , 프링글스 MSL 시즌2
06-3: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 곰TV MSL 시즌1
07-1: 다음 스타리그 , 곰TV MSL 시즌2
07-2: 에버 스타리그 2007, 곰TV MSL 시즌3
07-3: 박카스 스타리그 , 곰TV MSL 시즌4
08-1: 에버 스타리그 2008 , 아레나 MSL , 곰TV클래식 시즌1
08-2: 인쿠르트 스타리그 , 클럽데이온라인 MSL , 곰TV클래식 시즌2

-표 y축-
평균 랭킹수치(높을수록 좋음)

=========================================================================================

리그가 진행중인 당시 선수들 랭킹을 알아보고 각각의 진행 시기를 그래프로 표기하였습니다.
그래프에서 05-1 까지는 기준이 KESPA랭킹, 05-2 이후부터는 WP랭킹입니다.
(KESPA랭킹 21위 이하는 21위로 통일. 그리고 WP랭킹 31위 이하는 31위로 통일. KESPA랭킹이 한계선이 더 낮은 이유는 05년도 중반 이후 점점 상향평준화가 되어갔고 당시 KESPA랭킹 점수를 살펴보면 21위나 30위나 별 차이가 없기 때문. 평균은 소수점 한자리까지 반올림)

이전 버전은 로열로더가 우승할 때 전제적인 점수가 굉장히 낮아졌지만 이번 버전에는 로열로더에게 유리하게 바뀌었습니다.
이번 버전에는 올림푸스,마이큐브 스타리그, 곰tv클래식 시즌1,2를 추가하였습니다.

종합평균랭킹 공식 = (16강 평균랭킹 + 8강 평균랭킹 + 4강 평균랭킹 + 결승랭킹 + 우승자랭킹) ÷ 5
특이사항: 16강,8강,4강,결승 랭킹에서 우승자 랭킹은 전부 제외. 그리고 우승자랭킹은 결승일 이후의 랭킹.

=========================================================================================

★종합랭킹 수치가 높은 리그가 전체적으로 수준이 높은 리그입니다.

☆전체적으로 비교적 수준높은 리그 (베스트)
-OSL-
1위: 에버2007 (5.9)
2위: 에버2005 (6.3)
3위: 신한06시즌3 (6.7)
4위: 올림푸스 (7.2)
5위: 아이옵스 (7.4)
6위: 에버2004, 박카스 (7.5)
-MSL-
1위: 아레나 (6.6)
2위: 당골왕 (6.9)
3위: 스프리스 (7.3)
4위: 스타우트 (7.6)
5위: 센게임 (8)
6위: 프링글스시즌1 (8.7)

☆전체적으로 비교적 수준낮은 리그 (워스트)
-OSL-
1위: 인쿠르트 (13.4)
2위: 에버2008 (12.7)
3위: 신한06시즌2 (11.1)
4위: 한게임 (11)
5위: 다음 (10.7)
6위: 신한06시즌1 (10.4)
-MSL-
1위: 곰시즌4 (14)
2위: 싸이언 (13.1)
3위: 곰시즌3 (12.3)
4위: 프링글스시즌2 (12)
5위: TG삼보 (10.2)
6위: 우주 (10.1)

자세한 리그별 랭킹자료를 보시려면 첨부파일의 리그랭킹자료.zip 를 확인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lan_Baxter
09/02/14 00:26
수정 아이콘
이 그래프를 포토샵으로 보기 편하게 제작 중인데, 중견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밑에 리그 순위 포함)
중견수
09/02/14 00:43
수정 아이콘
저야 대환영이죠^^ 포토샵이나 파워포인트,엑셀이 없어서 한글2002로 제작했다는.. ㅜㅜ
그래프사진 화질 좀 선명하게 바꿨습니다~
중견수
09/02/14 01:03
수정 아이콘
16강,8강,4강,결승에서 당시 우승자 랭킹까지 포함된 정보를 보시려면 https://pgr21.net/zboard4/zboard.php?id=free2&page=1&sn1=&divpage=6&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956 로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가셔서 압축파일 받으시면 됩니다^^
중견수
09/02/14 02:21
수정 아이콘
그래프 옆에 정확한 수치도 넣어놨습니다. (그림판 노가다 헉헉..;;)
중견수
09/02/14 02:58
수정 아이콘
물론 종합점수에서 4강과 결승의 3:0혹은 3:2같은 흥행요소가 반영되지 않았기때문에 약간 의아한 면도 있긴 하지만 그런 부분은 우승자랭킹 부분에 소폭 반영되기 때문에(wp랭킹은 고렙을 많이 이길수록 점수가 오르니..)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애초부터 이 자료는 흥행의 척도를 나타내는게 아니라 그 당시마다 상대적인 실력수준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니까요.
Kotaekyong
09/02/14 10:04
수정 아이콘
김택용선수가우승했던 07.3의 그래프가....후...
택용스칸
09/02/14 11:18
수정 아이콘
Kotaekyong님// 07-3은 이제동 선수가 김구현 선수를 잡고 우승한 곰TV S4입니다.
택용스칸
09/02/14 11:20
수정 아이콘
정말 곰클래식은 부커진이라도 있나요. 결승랭킹은 정말 대단해보이는..
5개 팀이 참가 안했을 때는 리쌍록. 3개 팀이 참가 안했어도 무용록.
09/02/14 14:21
수정 아이콘
확실히 보니까 온게임넷은 어느정도 두각을 나타낸 후 우승하는 경우가 많고, MSL은 MSL에서 포텐셜이 터지면서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것 같네요;;
우승자 랭킹에서 MSL이 확 떨어진 때에 랭킹을 떨어뜨린 자가 최연성, 마재윤, 김택용, 박성균이군요 덜덜덜...
09/02/14 14:2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 수치로 굳이 표현하기는 힘들지만, '수준이 낮은', '수준이 높은' 리그라고 평하기는 어려울 것같네요^^;;

낮은 랭킹의 선수가 우승 혹은 4강 이상의 성적을 낸 이후에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도 많기 때문에...

실제로도 다음, 우주 등 명경기가 속출했던 리그들이 하위에 있고
OSL 최고의 리그라고 평해지던 SO1은 어느 랭킹에도 없는 걸 보니;; 수준과 재미는 서로 연관성이 적은 걸까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11408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744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5257 13
81227 [모바일] 세븐나이츠 리버스_원작을 해 보셨던 유저라면 한 번 즐겨보시죠. [4] 원스501 25/05/20 501 0
81224 [오버워치] OWCS 2025 스테이지 2 2주차 리뷰 Riina1265 25/05/20 1265 0
81223 [LOL] 2025 Hall of Legends : UZI [53] EnergyFlow4658 25/05/20 4658 5
81222 [기타] [마비노기 모바일] 글라스기브넨 어려움과 문제 메세지창의 역습 [30] 시린비2885 25/05/20 2885 0
81221 [뉴스] 혼다, 팀 리퀴드와의 네이밍스폰 계약을 해지 [14] EnergyFlow5917 25/05/19 5917 3
81220 [기타] lck선수로 뛰어본 썰 (끝) [31] 크산테6201 25/05/19 6201 53
81219 [LOL] 지우 정지우 CL 출전 [17] SAS Tony Parker 6233 25/05/19 6233 2
81218 [발로란트] 스트리머 에피나, T1 아카데미 입단. 일렉트3052 25/05/19 3052 1
81217 [기타] lck선수로 뛰어본 썰-2 [15] 크산테6207 25/05/19 6207 14
81216 [LOL] 나란히 승리한 현존 LCK 두개의 탑 - 던파를 꺾은 한화와 T1 을 제압한 젠지 [70] 하이퍼나이프7616 25/05/18 7616 6
81215 [랑그릿사 모바일] 빨리 보물을 찾으러 떠나자! - 뉴비용 랑피스 공략 [8] 통피2645 25/05/18 2645 2
81214 [LOL] 중부권 팀들 남은 대진 [21] roqur4327 25/05/18 4327 1
81213 [발로란트] 마스터즈 토론토에 진출하는 12개의 팀 정리. [6] 일렉트5287 25/05/17 5287 1
81212 [LOL] 파죽의 2연승 DK와 도파민 그런거 없다는 젠지 [16] 하이퍼나이프10361 25/05/16 10361 4
81211 [발로란트] T1, 아카데미에서 DH 동호 선수 콜업 [9] 김삼관6410 25/05/16 6410 0
81210 [기타] lck 선수로 뛰어본 썰 [50] 크산테13496 25/05/16 13496 36
81209 [LOL] lck 현재 순위 및 이런저런 잡설 [25] 마술의 결백증명8298 25/05/16 8298 0
81208 [LOL] KT의 화려한 업셋과 T1의 복수 - 통신사들의 승리데이 후기 [39] 하이퍼나이프8954 25/05/15 8954 8
81207 [오버워치] 좀 늦은 OWCS 2025 스테이지 2 1주차 리뷰 [6] Riina3043 25/05/15 3043 0
81206 [기타] 난 뭘 위해서 게임을 하지? [32] 버드맨6441 25/05/15 6441 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