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11/02 01:01:22
Name DEICIDE
File #1 stork.jpg (74.7 KB), Download : 34
Subject 스스로 구원하라.



"노루가 사냥군의 손에서 벗어나는 것 같이

새가 그물 치는 자의 손에서 벗어나는 것 같이


스스로 구원하라.”


(잠언 6:1-2, 영화 '올드보이' 中)




당신이라면 어떨 것 같습니까?

당신은 지금 결승전 5경기를 앞두고, 모니터 앞에 앉아 있는 송병구입니다.

손에 흥건해진 땀을 손수건으로 닦으며, 당신의 마음 속에는 수도 없는 말, 말들이 폭풍처럼 맴돌고 있습니다.

아니, 단 하나의 단어만 메아리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준우승.

악몽 같은 그 단어를 떨쳐내고자 수도 없는 시간을 악착같이 연습했던 시간들이 오히려 마음을 짓누릅니다.

두 번의 연이은 승리로 이제 그것을 거의 손에 잡았다 여겼는데

두 판을 내리 지고 나서, 마음 속은 아득해지고 등줄기에는 한기가 지나갑니다.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어두운 표정으로, 마우스와 키보드에 손을 올려둔 송병구를 보며, 제가 떠올린 말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스스로 구원하라'



아무의 도움도 받을 수 없고, 누구의 덕을 볼 수도 없습니다.

궁지에 몰린, 부담감의 극한에 처한 송병구를 구해낼 수 있는 건

바로 자기 자신 뿐이었습니다.



결국, 감동은 직접 선수들이 손으로 써 내려가는 것입니다.

해설진과, 대회를 기획하는 이들은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위해 끊임없이 이야기를 각색해 냅니다.

Be The Legend 라는 이번 스타리그의 컨셉은

정명훈 선수의 '진 로열로더의 완성' , 송병구 선수의 '가을의 전설 재현' 으로

어떻게든 스토리가 완성되도록 이야기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허나, 우리들이 감동한 것은, 만들어낸 이야기 '가을의 전설' 이 아닌,

그 극한 상황에서 스스로를 구해낸, 한 젊은이의 강인함이었습니다.



우리 또한 이 시대를 살아가며, 누군가에게 의지하려고 하고, 남의 탓을 하고, 나태해지거나 나약해지지 않았는지요.

결국, 인생의 어두운 안개를 헤쳐 나가는 원동력이 되어야 할 것은 땀과 결실로 쌓은 스스로의 힘입니다.

답답한 일 많고, 미소짓기 어려운  참 힘든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이 나라 이 때의 우리에게

자기 자신을 극복해 낸 순박한 청년의 눈물은 삶을 살아가는데 분명 힘과 용기를 줍니다.



고맙습니다, 송병구 선수.

당신의 우승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ThEnd.


p.s. 최고의 결승전을 함께 만들어 준, 정명훈 선수 또한 정말 멋진 경기력이었습니다.

당신 또한 남이 만들어 둔 '로열 로더' 라는 족쇄에 묶여 있지 말고, 앞으로 더욱 멋진 경기를 보여주십시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실이
08/11/02 01:53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에서 질럿과 옵저버가 멀티를 앞에두고 돌아서는걸 보고, 아 정말 승리의 신이 있어서 장난을 치나.... 하는 생각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작렬하는 스톰샤워를 보니 ...... 저주따위 내가 내손으로 찢어버리겠어! 하는 느낌이 들더군요.
레이미드
08/11/02 02:29
수정 아이콘
글 참 잘 읽었습니다.
제가 5경기 직전, 타임머신 안에서 모니터를 응시하는 송병구 선수의 입장이라고 생각하니까..
저절로 긴장이 되네요.

'스스로 구원하라.'
쉬운 듯 하면서 결코 쉽지 않은 말이죠.

상대의 몰래멀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에서의 큰 승리로 gg 를 받아내는 것을 보면서
운이나 승리의 여신 같은 말은 애초에 송병구 선수와는 별로 상관 없었던 것 같아요.

송병구 선수는 결승전에서 스스로를 극복했고, 그것이 결승전에서의 경기로 표현이 된 것 같습니다.
집에가는길
08/11/02 03:24
수정 아이콘
공실이님// 저도 그렇게 느꼈어요. 쵱멀티때문에 질질 끌다가 역전당하는줄 알았는데, 마지막 스톰샤워 피날레는 정말 -_-b
팬들에게 걱정마 이렇게 말하는듯
도달자
08/11/02 13:22
수정 아이콘
질럿과 옵저버가 멀티앞에서 돌아서는걸 보고는.. 우승은 송병구를 외면하는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그 스톰샤워는....
08/11/02 15:4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첨부하신 사진이 오영종 선수네요..;유니폼도 플러스 유니폼인데..
08/11/02 15:51
수정 아이콘
봄봄님// 예, 맞습니다. 지난번 제가 쓴 글에서 오영종 선수의 사진을 각색해서 올렸던 사진을 그대로 사용해 보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235 이영호선수가 다른팀으로 이적한다면!! [26] pharmacist7472 08/12/09 7472 1
36233 마이스타 카페를 돌아다니다가 한 글을 보고[그저 뜬금없는KTF응원글] [15] HaSSaD4974 08/12/08 4974 0
36232 이성은vs이제동 - 1편만한 속편 없다?! [29] 호수청년8278 08/12/08 8278 2
36230 현재 테vs저, 프vs저 밸런스가 심각한 지경입니다 [275] 산화10722 08/12/08 10722 2
36229 낭인왕 폭군, 제 21회 - 래두 수나이부(來逗 壽娜移夫) 진영수 - [12] aura4617 08/12/08 4617 0
36228 오늘의 프로리그-삼성vs르까프/CJvsMBCgame [307] SKY925351 08/12/08 5351 0
36225 스타크래프트 Legend Top 10 - 12월7일 투표결과. [25] legend7132 08/12/07 7132 1
36224 근심 [16] ToGI5584 08/12/07 5584 0
36223 이제동의 복수혈전? 이성은의 더큰충격선사? [47] 처음느낌9229 08/12/07 9229 0
36222 곰 tv 클래식 도재욱 vs 김정우 [131] 지니-_-V6339 08/12/07 6339 0
36221 IEF 2008 결승전 대박 3경기 (.rep 포함) [76] WizarD_SlayeR8246 08/12/07 8246 0
36219 스타크래프트 Legend top10 을 뽑아주세요. [127] legend5527 08/12/07 5527 0
36217 오늘의 프로리그-웅진vsSKT/KTFvs온게임넷(2) [56] SKY924351 08/12/07 4351 0
36215 오늘의 프로리그-웅진vsSKT/KTFvs온게임넷 [361] SKY924698 08/12/07 4698 0
36214 낭인왕 폭군, 제 20회 - 전운, 포로투수로! - [19] aura4594 08/12/07 4594 0
36213 ief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결승전 [67] SKY926396 08/12/07 6396 0
36212 12월 12일 바투 스타리그로 시작 + 예선 대진표 공개!! [26] Alan_Baxter8033 08/12/07 8033 0
36210 16인의 이야기3. - 홍진호 [2] 王非好信主4525 08/12/07 4525 0
36209 무엇을 위한 케스파 랭킹인가?? [14] 코세워다크4984 08/12/07 4984 1
36208 낭인왕 폭군, 제 19회 - 파장 - [23] aura4454 08/12/06 4454 1
36206 Starcraft Stats 서비스 중단의 글 [4] 프렐루드5050 08/12/06 5050 0
36205 MSL이 다시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30] S_Kun5226 08/12/06 5226 0
36204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 3 2조~ [189] SKY924845 08/12/06 48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