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7/24 07:57:10
Name UZOO
Subject 그때 그시절 팀리그 명장면


마지막 팀리그였던 mbc movies배 팀리그의 영상입니다.

이 팀리그는 마지막 팀리그였고 5전 3선승제로 사람들의 기억속에는 많이 남아있진 않은 대회지만

(이 리그때는 팀리그가 정말 분위기가 좀 아니었죠. 삼성의 몰수패사건과 특정팀의 선택과 집중이라는 이상한 정책으로 팀리그를 2군리그로 만들어버리는 행태때문에 말이죠.)


이 영상은 팀리그의 최고 스타 최연성선수가 슈퍼스타 이윤열선수를 꺾고 역올킬을 해내는 내용입니다.

단순한 역올킬이 아니라

상대의 최고에이스로 인해 위기에 처한 팀을 우리팀의 최고의 에이스로 역전시키는

팀리그의 매력을 단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새 팀리그에 대한 논란이 뜨거운데요


사실 제 솔직한 심정은

지금 팀리그를 한다고 해봤자

예전의 그 재미를 느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예전의 서지훈, 변은종, 최연성 같은 슈퍼스타가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팀리그에서 사실 레이드어설트라는 맵이 껴있었었는데

프로토스가 나오면 테란이 이기기 힘든 맵이었습니다.

다른맵들도 종족간의 유불리가 없는건 아니었지만..

그런데 지금처럼 맵이 특정 종족에게만 손을 들어주는 형태라면

계속 스나이퍼 종족 선수만 나오는 혹은 동족전만 나오는 양상이 나오지 않을까요.

그래서 승부는 맵의 순서에 영향을 크게 받는거죠.

제가 말하고 싶은건 현재의 맵 문제죠.

아프리카에서 해주는 팀리그만 봐도 이런 문제는 없습니다.  바바라 라는 인터넷방송국에서 해주는 팀리그도 정말 재밌더군요.


맵이 지금같다면 팀리그라고 해도 현재 프로리그가 가지고 있는 암덩어리를 치료해주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ergKamp
08/07/24 08:20
수정 아이콘
대장불패 시절이네요
彌親男
08/07/24 09:43
수정 아이콘
선택과 집중은 이때가 아니죠. 선택과 집중은 무려 이로부터 2년 후입니다.

팀리그에서 2군과 같은 엔트리가 나온적은 제가 알기로는 딱 2번으로 기억합니다만, 그때는 팀리그 조별리그(즉, 풀옵 가기 전의 경기)와 온게임넷 프로리그 플레이오프가 겹쳤었으니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죠..
PT트레이너
08/07/24 09:55
수정 아이콘
최연성머리를 보아하니 스프리스결승전이 생각나는데 시기가 비슷하죠? 맞을려나 ......
아 최군 그립습니다

갠적인생각도 현재 팀리그부활해도 예전만큼의 인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것같습니다
왜냐 ......

선수가 너무 없어요
요즘 게임게시판봐도 그렇고 .. 선수들이 너무없네여

아 옛날이여
08/07/24 10:02
수정 아이콘
맵에 의한 스나이핑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면 팀리그 시스템에 큰 위협이 될 것 같습니다.
08/07/24 11:19
수정 아이콘
선택과 집중은 이때가 아닙니다. 팀리그가 없어진뒤 프로리그,개인리그만 남았을때 개인리그와 프로리그중에 프로리그를 우선순위로 두었던때 선택과 집중시기입니다.
나르는 드랍쉽
08/07/24 12:13
수정 아이콘
이때는 2005년 아니었나요? T1이 선택과 집중을 한건 2006년 전기리그 이후로 기억합니다. 그때 전기리그 결승전 MVP 받으면서 양대리거 된 고인규를 MSL만 두고 스타리그를 포기하게 만들었던 기억이 나거든요.
08/07/24 13:42
수정 아이콘
음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저는 티원의 선택과 집중 선언을 얘기한게 아니라 그냥 팀리그를 포기한 듯한 몇몇 구단의 행태를 얘기한겁니다.. 제가 굳이 선택과 집중이라고 쓴게 잘못이군요 수정하겠습니다.
Carrier_Kim
08/07/24 14:22
수정 아이콘
스프리스배는 5~8월.. 늦봄~여름시즌.. 아마 당골왕배와 시즌이 맞물렸을거라 생각되네요...

mvp 뱃지 하나 달고 있는걸로 보아 에버스타리그 우승하고 난 뒤 일듯..
08/07/24 15:31
수정 아이콘
스나이핑이 성공하면 더 재밌는 팀리그가 될겁니다 위협은 무슨 ㅡ_ㅡ 스나이핑이 제대로 먹히면 투싼 같은 리그가 나오는거고 안먹히면 최연성과 같은 괴물도 나오는거죠.
서성수
08/07/24 20:40
수정 아이콘
스나이핑의 기준이 뭐죠?

이영호 선수가 나온다면 누가 스나이핑을 나와야 되나요?
만약 박찬수 선수를 붙여 . 박찬수 선수가 이긴다면 스나이핑 된건가요?

누가 나오던 이영호 선수를 이긴다면 스나이핑이 되는건가요?

스나이핑이란 특정 대상만을 노리는 건데..
그럼 박찬수 선수를 이영호 선수 나올때까지 계속 썩혀야 하는가요?
08/07/24 21:41
수정 아이콘
서성수님// 스나이퍼 선수가 아니라 스나이퍼 종족이라고..; 그 맵에서 그 종족에게 확실히 유리한 종족 선수를 꺼낸다는 표현이었습니다..;
Sunday진보라
08/07/25 11:51
수정 아이콘
저때 양박+천재가 공존하던 시절인듯 싶네요
저때 이윤열 선수 제2의 전성기 시작됐을시점이죠

저 시절에 엠겜결승,온겜결승,프리미어3위,팀리그 준우승, 프로리그는
가물가물한대 아마 6경기 팀플에서 심소명,김상우가 져서 준우승했던거같은데
암튼 최연성만 만나면 허무하게 지곤했죠 ;
날으는씨즈
08/07/25 23:43
수정 아이콘
Sunday진보라님// 아 최연성 바드득.....그래도 보고싶네요...최선수....
개그매냐
08/07/26 09:25
수정 아이콘
선택과 집중 수정 안된 것 같은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73 어린 영웅의 마지막(?) 발자취... [16] 가을이횽의5468 08/08/15 5468 0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4019 08/08/15 4019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556 08/08/14 4556 0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284 08/08/14 7284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218 08/08/14 5218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266 08/08/14 15266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007 08/08/14 5007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643 08/08/13 7643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249 08/08/13 8249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4881 08/08/13 4881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099 08/08/13 4099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372 08/08/13 4372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302 08/08/13 4302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741 08/08/13 5741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778 08/08/13 4778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4079 08/08/12 4079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790 08/08/12 4790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5995 08/08/12 5995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436 08/08/12 8436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594 08/08/12 5594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817 08/08/12 8817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153 08/08/11 7153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501 08/08/11 55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