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7/22 23:53:49
Name 킹이바
Subject 역대최고의 죽음의 조 투표(?) 결과..
얼마 전에 제가 역대 최고의 죽음의 조에 관하여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부족한글솜씨임에도 주제가 주제인지라.. 많은 댓글이 달려서 논쟁 및 토론이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댓글 주신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 ^

그럼.. 역대 최고의 죽음의 조에 관한 여러분의 투표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애매하게 말씀하신분이나.. 죽음의 조 선정이 아닌 다른 내용을 언급하신 분들의 의견은 제외했습니다.)

1위  -  2003 올림푸스배 스타리그  (19표)
          이윤열 임요환 이재훈 박경락

2위  -  2003 마이큐브배 스타리그 (17표)
          홍진호 강  민 이윤열 조용호

3위  -  구룡쟁패 듀얼토너먼트F조 (4표)
          강  민 이윤열 마재윤 차재욱


곰TV3차 MSL - 김택용:이영호 이윤열:최연성 (3표)
질레트배스타리그A조 - 강  민 최연성 박정석 이병민 (2표)
2002스카이배스타리그B조 - 홍진호 강도경 박정석 조정현 (2표)
그외의 듀얼토너먼트 - 홍진호 김준영 한승엽 송병구 , 임요환 박정석 박성준 전상욱 (1표씩)

1,2위는 박빙이었고요.. 나머지조는 그 차이가 엄청나게 나는 바람에.. 투표의 의미가 무색되버렸습니다만;;
뭐 이는 1,2위의 2개조가 그만큼 역대최고의 죽음의 조임을 증명하는 게 되겠죠? ^ ^;

사실 이 글을 쓸까 말까 고민했습니다. 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이 전 글에서 죽음의 조 논쟁이 올림푸스vs마이큐브로 넘어가고
결국엔 이재훈선수와 박경락선수에 대한 논쟁으로 번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재훈선수 의견은 많은 의견충돌이 있었는데요..
그럴의도는 아니었으나 제가 떡밥을 던진 것같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

스토브리그(... 요즘같은 상황도 스토브리그라고 말할수있나요..? 리그는 끝나진 않았는데 경기가 드문...;;;;)기간이라..
피지알도 뜸한데.. 제 글에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세요...!!! ^ ^ (여름 감기가 무섭더라고요;;)


p.s : 아.. 급수정입니다.. ^^; 적을려고 한게 있었는데; 깜빡잊고 안적었네요..;;;
       요즘 스타리그는 죽음의조가 은근히 안나오는 추세인데요..;
       다음 스타리그에서.. 도재욱 이영호 이제동 박성균 기대해봅니다........... 이러면 윗 조들에 버금가는 대박조겠죠? ^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llenTemplar
08/07/22 23:5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코파지마
08/07/23 00:0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1)
가우스
08/07/23 00:0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2)
아름다운돌
08/07/23 00:0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3)
히라이예
08/07/23 00:07
수정 아이콘
하지만 지금은.
핫타이크
08/07/23 00:09
수정 아이콘
하지만 지금은. (2)
지니-_-V
08/07/23 00:17
수정 아이콘
언젠간 다시..
졸린쿠키
08/07/23 00:18
수정 아이콘
언젠간 다시.. (2)
08/07/23 00:23
수정 아이콘
올라가야..
스타대왕
08/07/23 00:5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그러고보면 손꼽히는 죽음의 조에는 거의 대부분 들어가있었던 느낌이;;

굳이 여기없는 조도 몇개 더 있을듯.
08/07/23 01:13
수정 아이콘
광탈은 괜히 하는게 아니야 보노보노..(뽀로리야~)
로토키스트
08/07/23 09:29
수정 아이콘
언젠간 다시.. (3)
군대가기전에 강민 선수가 개인리그 한번 올라가는거 보고 갔으면 하네요...
응???? 나는 8월 11일 입대구나......
서성수
08/07/23 12:0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가 다 껴 있네요. 역시나 대단해~
당신은저그왕
08/07/23 13:24
수정 아이콘
크크크..이윤열...
공실이
08/07/23 19:19
수정 아이콘
1,2위는 스타리그니까 가능한 일이지만,

정말 3위는 지금 생각해도 어떻게 저런조가 나올 수가 있을까 싶네요. 피씨방 갓 탈출해서 듀얼1R에서 어떻게 저런조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4019 08/08/15 4019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554 08/08/14 4554 0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284 08/08/14 7284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218 08/08/14 5218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266 08/08/14 15266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007 08/08/14 5007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643 08/08/13 7643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248 08/08/13 8248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4881 08/08/13 4881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097 08/08/13 4097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372 08/08/13 4372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300 08/08/13 4300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741 08/08/13 5741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777 08/08/13 4777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4079 08/08/12 4079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790 08/08/12 4790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5995 08/08/12 5995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436 08/08/12 8436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593 08/08/12 5593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817 08/08/12 8817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153 08/08/11 7153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501 08/08/11 5501 0
35447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D조입니다. [102] 보름달5262 08/08/11 52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