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3/16 01:59:35
Name Lupus
Subject 총사령관은 왜 프로토스의 강점을 포기했을까, ..
Q. 상성상 프로토스는 테란에게 앞섭니다. 왜 그럴까요?
사기적인 컨트롤을 탑재한 리버 때문에? 아니면 무조건 가야한다는 캐리어 때문에?

. . .

A. 토스가 주종이고 공방에서 토스로 몇천판을 해봤지만, 토스가 테란에게 앞설 수 있는 이유는 리버도 좋고 캐리어도 좋지만, 테란에 비해 토스에게 너무나도 웃어주고 있는 "초반" 이 아닐까 싶네요.

. 프 > 테

테란이 초반에 선택할 수 있는 빌드에 비해 토스가 초반에 선택할 수 있는 빌드는 상당히 많습니다. 테란이 센터배럭, 원팩더블, 투팩, 쓰리팩, 원팩원스타.. 정도의 초반빌드를 가지고 있다면, 토스는 전진투겟, 노겟멀티, 원겟멀티, 투겟멀티, 옵드라, 쓰리겟돌파, 리버드랍, 다크, 다크드랍, 거기에 패스트 캐리어 까지도 있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토스의 경우 옵저버를 빨리 띄운다면 테란의 빌드를 정찰하기도 용이하지만 테란은 그렇지 못합니다. 테란의 토스전 정석인 원팩더블, 혹은 투팩. 이것은 물론 이 빌드들이 최적화 된 빌드이기도 하지만 다른 의미로는 "다른건 할게 없어서", 혹은 "해도 안먹혀서" 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토스의 경우 왠만한 빌드들도 상대를 잘 교란시키기만 하면 "어느정도는 먹혀드는" 빌드이기 때문에 초반 선택의 폭이 넓고 이 때문에 테프전의 상성은 토스로 치우쳐져 왔습니다.

. 총사령관의 선택

송병구 선수를 까는건 아니지만 어제 결승을 보면서 느낀건 "아 .. 역시 송병구는 아직 우승할 재목은 못되는것 같다.. " 였습니다. 토스중에는 송병구 선수를 제일 좋아하지만 어쩔 수 없이 애정 섞인 비판을 하게 되더군요. 결승인데, 앞으로 경기가 더 남아있는 것도 아닌 마지막 경기인데 왜 이렇게 더블에 집착하는가.. .. 상대보다 더 먹는 것, 분명히 좋습니다. 그러나 그 "무조건 빨리 먹어놓고 리버 캐리어 띄워서 컨트롤로 승부보자"는 식의 생각은 프로토스의 최대 강점 중 하나를 져버리게 됩니다.

어떤 빌드로든, 어떤 유닛으로든 토스의 초반 찌르기, 그 압박이 테란에게는 가장 두려운 타이밍입니다. 당연히 더블을 예측하고 탱크 한기 터렛 한기 아껴가며 더블을 따라가는 테란의 허술한 방어벽을 멀어버린 눈을 파고드는 토스의 찌르기가 테프전에서의 토스의 가장 강력한 카드 중 하나인데 왜 그 카드를 그토록 아끼느냔 말입니다..

. 다른 선수들로부터 배워라,

개인적으로 송병구 선수 외의 강한 토스들이라 하면 김택용, 박영민, 윤용태 선수 들을 들 수 있겠지만, 그 중 토스의 이러한 초반 강점을 사용하는 선수로 김택용 선수나 박영민 선수를 꼽고 싶습니다. 김택용 선수같은 경우는 거의 왠만하면 초반 찌르기를 잘 시도하는 편입니다. 질럿 한두기에 드라군 대동하고 찌르고, 그 후의 빌드는 다크나 리버 혹은 더블, 아니면 게이트 물량등등 무궁무진. 토스가 가능한 초반 빌드들을 잘 활용하는 선수 중 하나라고 봅니다.

또한 박영민 선수 역시 빌드가 다양하지는 않지만 찌르기 하나만큼은 발군인 선수라고 봅니다. 멀티가 우선, 먹고보자는 식이 아니라 찌르고 먹자, 는 마인드가 테란이 맘편히 더블을 가져갈 수 없게 하고 빌드를 꼬이게 하고, 테란이 그런 패닉 상태에 빠져있을때 자신은 유유히 자원을 몇개씩 더 가져가는 플레이.

송병구 선수의 전투력은 발군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량 역시 출중하며 리버 캐리어의 컨트롤 역시 대단합니다. 그러나 초반에 다양함을 꾀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갖추었으면 합니다. 너무 안티 캐리어 빌드 격파에만 치중을 한 탓일까요. .. 다음번에는 보다 더 완벽한 모습으로 우승하길 기원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3/16 02:06
수정 아이콘
자주 사용하는 유닛의 차이도 크다고 생각 됩니다. 송병구선수가 잘쓰고 자주사용하는건 리버 캐리어 지상군..
김택용선수가 잘쓰고 자주 사용하는건 다크템플러, 커세어,아비터 이렇게 선수의 성향도 대변하는 듯한 느낌..
야인과나비
08/03/16 02:32
수정 아이콘
오영종선수 깜박하신듯.....오영종선수도 시종일관 주도권을 쥐는 스타일인데...
호드람
08/03/16 04:32
수정 아이콘
문제는 초반의 "어느정도는 먹혀드는" 빌드가 어느정도 먹혀들지 않으면 상당히 어려워진다는거죠.. 토스가 멀티가 빨라도 비등비등한데 피해 못 주고 멀티까지 늦으면 필패죠.. 송병구 선수는 후반 운영에 굉장한 자신감을 가진 선수라 괜히 초반에 그러한 변수를 품고서 경기하고 싶진 않은 듯합니다..
임요환의 DVD
08/03/16 10:21
수정 아이콘
Lupus 님 말씀대로 하면 결승까지 가기가 어렵고 하지 않으면 우승하기가 어려우니 후반중심으로 결승까지 간 후 초반중심으로 결승전을 치르면 우승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380 07년을 빛낸 e-스포츠 대상이 발표되었습니다. [56] 뱅뱅이8463 08/03/19 8463 0
34379 엄재경 해설위원을 지지합니다. [29] 문근영6244 08/03/19 6244 6
34377 엄해설의 해설을 싫어했던 한 분이 쓰신 글과 엄해설을 위한 나의 변론 [56] Alan_Baxter7925 08/03/19 7925 3
34376 삼황 오제 사천왕 -第六章- [8] 설탕가루인형3958 08/03/19 3958 1
34373 김택용의 장점 [36] 김연우10521 08/03/19 10521 8
34372 송병구선수 오늘 빌드가 약간.. [21] UZOO6257 08/03/18 6257 0
34371 송병구선수 트라우마가 생겼나요? [38] 태엽시계불태7975 08/03/18 7975 0
34370 저는 송병구가 막을줄 알았습니다 [21] yangjyess6261 08/03/18 6261 0
34368 송병구에게 부족한 것? - 박카스 스타리그 결승전 관전평 [9] ls5534 08/03/18 5534 2
34367 비판인가? 비난인가? 아니면 이곳은 정말로 해설의 '신'이 모여있는 곳인가? [64] 마음속의빛7641 08/03/18 7641 3
34364 유저(User)? 유저! [8] 영웅토스4106 08/03/18 4106 0
34363 게임 게시판의 공지사항 및 15줄 규정을 지켜주세요. [19] TaCuro5506 08/03/17 5506 22
34362 @@ 피지알 최고평점으로 본 두 이씨의 세상. [8] 메딕아빠6205 08/03/17 6205 1
34361 송병구 선수 이미 그대는 제게 슈퍼스타입니다. [24] 하성훈5662 08/03/17 5662 1
34360 이영호와 박성균... 이윤열과 서지훈.. [21] 레인메이커6558 08/03/17 6558 1
34359 제 3 리그의 출발. 곰티비 클래식. [52] 펠쨩~(염통)9541 08/03/17 9541 0
34358 이영호선수를 보며 이윤열선수를 느끼다. [37] Yes8034 08/03/17 8034 4
34357 패배주의에 젖어있었던 KTF의 팬이.... [21] 구아르 디올라5969 08/03/17 5969 1
34355 이번 결승전에 관한 아쉬움의 표현들... 그리고... [19] 5388 08/03/16 5388 0
34354 온겜넷 엠겜넷 제작진에 바란다. 제발 기본을 지키자 [68] 느낌10332 08/03/16 10332 0
34352 죽어있다 송병구, 일년동안 발전한게 하나도 없군. [26] 드림씨어터9068 08/03/16 9068 1
34346 기동전 [24] 김연우11067 08/03/16 11067 37
34342 MSL 역대 최고의 다전제(5전3선승제)는? [49] 당신은저그왕9057 08/03/16 905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