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2/26 17:35:14
Name 루트
Subject 패자전-최종전 징크스

박대만 선수가 어제 스타챌린지에서 이겼더라구요.
5경기를 보고있는데 어떤 분이 들고있는 응원문구 중에 패자전을 이기고 올라온 선수가 최종전에 반드시 이긴다는 얘기가 있더군요.
재미삼아 찾아봤어요. 지금 진행되고 있는 스타챌린지와 서바이버리그에서요.

E조 패자전 박대만 승 최종전 박대만 승
D조 패자전 고석현 승 최종전 고석현 승
C조 패자전 신희승 승 최종전 신희승 승
B조 패자전 이윤열 승 최종전 이윤열 승
A조 패자전 한동욱 승 최종전 한동욱 승

패자전에서 올라온 선수가 최종전 전승이네요. 승률 100%

J조 패자전 이성은 승 최종전 이성은 승
I조 패자전 강민 승 최종전 박찬수 승   (X)
H조 패자전 주현준 승 최종전 주현준 승
G조 패자전 서경종 승 최종전 서경종 승
F조 패자전 정명훈 승 최종전 정명훈 승
E조 패자전 문성진 승 최종전 문성진 승
D조 패자전 김윤중 승 최종전 김윤중 승
C조 패자전 한상봉 승 최종전 한상봉 승
B조 패자전 정영철 승 최종전 진영수 승 (X)
A조 패자전 김명운 승 최종전 박영민 승 (X)

서바이버역시 패자전을 이기고 올라온 선수가 최종전에서 이길 확률이 월등히 높습니다. 승률 70%  

서바이버+스타챌린지 승률은 80%

이 정도면 징크스라고 할만 하지 않을까요..?^^

기회가 되면 이러한 "듀얼"방식으로 진행된 대회에서
패자전 승자가 최종전에도 이길 확률을 계산해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당~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재님
08/02/26 17:44
수정 아이콘
그런 경우가 많기는 많더군요
그리고 1차전에서 졌는데 그 선수를 최종전에서 만나면 또 복수를 많이 하더라구요
승자전에서 지는 선수들을 보면 항상 좀 불안해지네요 그래서
compromise
08/02/26 18:39
수정 아이콘
패자전에서 올라오는 선수는 승리를 경험해서 그런 걸까요? 신기하네요.
Polaris_NEO
08/02/26 19:02
수정 아이콘
이럴때 엄옹께서 하시는 말이 있죠..
'기세에요 기세, 와~ 하는 기세로 몰아치면 제아무리..(후략)'
따듯한담요
08/02/26 19:23
수정 아이콘
아아 들린다..
큐라큐라
08/02/26 19:23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이번 예선전을 보면서 1차전에서 붙었던 선수끼리
다시 5경기에서 리매치 할 경우 어김없이 1차전에서 졌던 선수가 이기더라구요;
근데 실제로 승률 80% 라니;;
08/02/27 00:14
수정 아이콘
패배한 선수는 전략을 수정하고, 승리한 선수는 승리했던 전략을 그대로 들고나오기 때문일까요?

뭐 맵이 다르면 해당이 없는 이야기겠지만... 약간 그런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패배한 선수가 자신이 취약했던 부분을 곱씹어보고 보완해서 다시 붙는 식으로요.
어느 글에서 동영상 보니, 강민의 할루시네이션 아비터를 이병민선수가 싸베 EMP로 극복해 내던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364 유저(User)? 유저! [8] 영웅토스4197 08/03/18 4197 0
34363 게임 게시판의 공지사항 및 15줄 규정을 지켜주세요. [19] TaCuro5573 08/03/17 5573 22
34362 @@ 피지알 최고평점으로 본 두 이씨의 세상. [8] 메딕아빠6289 08/03/17 6289 1
34361 송병구 선수 이미 그대는 제게 슈퍼스타입니다. [24] 하성훈5736 08/03/17 5736 1
34360 이영호와 박성균... 이윤열과 서지훈.. [21] 레인메이커6630 08/03/17 6630 1
34359 제 3 리그의 출발. 곰티비 클래식. [52] 펠쨩~(염통)9649 08/03/17 9649 0
34358 이영호선수를 보며 이윤열선수를 느끼다. [37] Yes8102 08/03/17 8102 4
34357 패배주의에 젖어있었던 KTF의 팬이.... [21] 구아르 디올라6040 08/03/17 6040 1
34355 이번 결승전에 관한 아쉬움의 표현들... 그리고... [19] 5478 08/03/16 5478 0
34354 온겜넷 엠겜넷 제작진에 바란다. 제발 기본을 지키자 [68] 느낌10389 08/03/16 10389 0
34352 죽어있다 송병구, 일년동안 발전한게 하나도 없군. [26] 드림씨어터9167 08/03/16 9167 1
34346 기동전 [24] 김연우11170 08/03/16 11170 37
34342 MSL 역대 최고의 다전제(5전3선승제)는? [49] 당신은저그왕9133 08/03/16 9133 1
34341 댓글잠금 어제 3경기 해설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있어 부득이하게 제목을 바꿉니다) [126] 하얀나비23222 08/03/16 23222 3
34339 2008. 3. 16 pp랭킹 [6] 택용스칸4734 08/03/16 4734 1
34338 프로토스 암울론은 그저 팬심이 빚어낸 핑계에 불과하다. [31] 마음속의빛6717 08/03/16 6717 1
34337 경기에서 졌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30] 꼭데페6090 08/03/16 6090 1
34336 다음(NEXT) 온게임넷 스타리그 스폰서는 에버일 것 같습니다. 그밖에 방송개편에 대해 [24] Alan_Baxter8345 08/03/16 8345 0
34335 총사령관은 왜 프로토스의 강점을 포기했을까, .. [4] Lupus5611 08/03/16 5611 0
34333 송병구선수 패인분석 [15] 4thrace5740 08/03/16 5740 1
34332 스타관련리그 결승전은 7전 4선승제 확실히 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30] 샤르미에티미6129 08/03/16 6129 0
34331 오늘 결승에서 아쉬웠던 한가지. [12] 핫타이크4854 08/03/16 4854 0
34330 데뷔 초기의 송병구 & 이영호 [2] S@iNT4991 08/03/16 49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