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1/26 04:43:30
Name Again
Subject 티윈의 몰락은 선택과 집중
선택과 집중...
이게 말이 쉽지, 선택해서 집중한다는게 얼마나 힘든지는 아실겁니다.
선택해서 그것으로 쇼부본다는거...차라리 힘들더라도 바쁜게 낫습니다.
지칩니다 선수들은...
저같은 경우 언어만을 집중적으로 하니까
지겨워서라도 못하겠더군요.
바뻤을때가 더 성적이 좋았습니다.
괜시리 게을러지고 짜증만 늘어나고...
과거 임요환선수는 힘든 상황속에서도 WCG 우승 2회등,
이윤열선수는 그랜드슬램이라는 대업적을,
최연성선수는 양대리거 + 프로리그 에이스에 팀리그의 에이스
마재윤선수 마찬가지로 최연성선수의 전차를 밟았습니다.
바쁜상황이 오히려 선수들의 기량을 끌어올리고
오히려 집중이 더 잘됩니다.
(제가 선수들의 입장이 안되어봐서 모르겠습니다만, 개인적인 직감으로는...)
선택과 집중해서 얻은 결과는 뭐죠?
결국엔 다시 양대리거 허락했죠.
늦은 조치였습니다.
티원은 그후로 정확히 몰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소한 결정이 KTF팬인 저로써 화나게 해주었던 때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ps. 이대로 몰락하는 티원을 보고싶진 않네요.
KTF팬인데 괜시리 허전합니다.
정확히 말해서 티원이 질때마다 좋아했는데 (죄송합니다 티원팬분들...)
이제는 이겨달라...부활하라 라고 외치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T트레이너
08/01/26 04:56
수정 아이콘
T1팬들 이미 많이 등돌렸을껏 같아요
오프 얼마나 가실지..
순모100%
08/01/26 07:34
수정 아이콘
T1은 그 전부터 하락세였습니다.
선택과 집중은 그 하락세를 반등시키고자 내놓은 거였는데(프론트의 압박도 있었을테고) 효과를 못본 것일 뿐,
그것이 T1이 망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라고 딱 부러지게 말하긴 어렵네요.
제가 보는 T1의 부진은 꽤나 오래됐거든요.
프로리그 3연패이후 동기부여가 잘 안되었거나 임요환이 빠진 이후 대체할 정신적 기둥이 없어진다거나 뭐 그런 심리적인 이유가 더 클 듯.
모짜르트
08/01/26 08:38
수정 아이콘
전 이때부터 T1이 지기를 바랬습니다.
T1이 부진해서 T1의 그런 선택이 잘못된 선택이었다는걸 증명되길 바랬습니다.
또한 T1이 저런 선택을 해서 긍정적 효과를 얻게 되면 다른팀도 T1을 따라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까지 했었죠.

사실 처음부터 말이 안되는 억지였고 결과적으로는 선수들의 꿈과 의지를 짓밟은 셈이죠.
이제동이나 송병구는 선택과 집중해서 개인리그도 잘 나가고 프로리그도 잘 나가나요...
08/01/26 09:24
수정 아이콘
T1팬으로써 T1의 몰락은 프링글스 시즌1이었던가요?
16명 중 8명이 T1선수이면서 가장 전성기이기도 했지만,
그 때를 전후로 경기력을 본다면 주전 선수들의 약세가 뚜렷했죠.
2006후기리그에서도 초반 굉장히 잘나갔던 모습에서 - 5승1패였나 가물가물 합니다만 -
극단적인 신인 기용을 시작하면서 끝없는 연패에 빠졌고요. (사실 이때도 신인들의 성적이 괜찮을 땐
결정적인 순간에서 주력 선수들이 무너지고, 주력 선수들이 이기면 신인 선수들이 맥없이 패하곤 했죠.)

개인적으로는 2006 후기리그에서 끝없이 박태민, 최연성, 전상욱, 고인규 선수만 출전시켰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르까프나 CJ, 삼성은 주력 선수가 많아서 잘 하나요. 에이스급 선수가 존재하니 잘하는 거죠.
08/01/26 09:59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가 지금 MSL에서도 전승 온게임넷 에서도 전승 프로리그에서도 날아다니는것 보면
T1의 선택과 집중이라는 것은 개인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 합니다.
택용스칸
08/01/26 11:27
수정 아이콘
선수들도 말하죠. 경기가 뜸한 것 보다 바쁜 것이 오히려 기쁘고 보람있다고 말하죠.
08/01/26 12:09
수정 아이콘
예선부터 선택한게 크죠. 솔직히 그거할때 '거만한거 아니야? 지들이 다 통과할줄아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마인드가 현재의 성적하락을 만들었다고 생각하고요.
정문초소유령
08/01/26 12:38
수정 아이콘
오죽하면 선택과 실신이라는 말이 생겨났겠습니까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820 모두가 재미없다던 팀플... 과연 트로이는 어떨까요? [18] GoThree4771 08/02/01 4771 1
33818 송병구우우우~!! [58] 종합백과6884 08/02/01 6884 0
33815 그랜드파이널 맵순서도 나왔네요. [19] SKY924711 08/02/01 4711 0
33814 스타챌린지 예선대진표 발표되었습니다.(+서바이버 예선대진표도요~) [39] SKY926945 08/02/01 6945 0
33813 2008년 2월 KesPA 랭킹이 업데이트 되어있습니다. [15] 택용스칸6007 08/02/01 6007 0
33810 훌륭합니다. 이재호선수. [66] SKY9210153 08/01/31 10153 1
33809 신맵 트로이의 경기양상 및 맵 밸런스 [12] 노맵핵노랜덤6600 08/01/31 6600 0
33808 가난하게 선포지 더블을 하면 오드론을 막을수 없을까? [31] 수험생8971 08/01/31 8971 1
33807 [문제제기]프로게임계와 약물, 그리고 도핑 테스트 [24] Timeless8188 08/01/30 8188 1
33805 이제동선수 6년만의 대기록에 도전합니다. [148] 처음느낌10334 08/01/30 10334 0
33803 CSI 수사대의 짝퉁 SC(OC)I를 공개합니다(설정만) [4] 몽땅패하는랜4121 08/01/30 4121 0
33802 재미로 보는 테란의 역사 [37] 매콤한맛5853 08/01/30 5853 1
33801 곰TV MSL 시즌4 16강, 'Face Off'는 현실이 되는가 [12] AnDes8668 08/01/29 8668 0
33800 곰티비 시즌 4 MSL 16강 2회차가 시작했네요 [153] Timeless8714 08/01/29 8714 1
33799 [스타구경] 온게임넷 박카스 스타리그 16강 4회차 [14] ls4962 08/01/29 4962 0
33798 [알림] 연재(Series) 게시판이 생성 되었습니다. [9] 메딕아빠4505 08/01/28 4505 0
33797 르까프 오즈팀의 2007시즌 후기리그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11] 4thrace5305 08/01/29 5305 0
33796 Boxer팬의 시각에서 봤던 Nada. 그리고 그에 대한 재평가. [61] forever.Boxer9301 08/01/28 9301 19
33792 스타베넷어택을 PD 사칭한 ID사기 조심하세요. [30] Bikini9205 08/01/28 9205 0
33791 곰 TV 인비테이셔널에 대한 기대감. [6] 8145614 08/01/28 5614 0
33789 상대를 고려 하지 않고 종족별 최고의 선수 한명씩만을 뽑는다면 [50] Dark6540 08/01/28 6540 0
33788 곰TV 인비테이셔널 조추첨식 결과입니다. [69] 택용스칸8746 08/01/28 8746 0
33786 이벤트전이 되기를 자청한 스타인비테이셔널의 아쉬움 [46] 매콤한맛6108 08/01/28 61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